References
- 강수균. (2000). "고령화사회에 있어서 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동서정신과학, 3(1), 113.
- 곽금주, 민하영, 김경은, 최지영, 전숙영. (2011). "중년 직장 남성의 가족관계, 가족 외 관계 및 직무만족이 행복심리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18(3), 115-133.
- 권명진. (2018). "노인의 가족 형태에 따른 삶의 질 영향 요인".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12), 741-752.
- 김금자, 도광조, (2020). "교정공무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를 매개변수로". 교정복지연구, 65, 1-33.
- 김노영. (2013). 민원행정서비스에서 여성공무원의 감정노동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여성인적자원개발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미령. (2012). "연령과 성별에 따른 노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 차이분석". 한국노년학, 32(1), 145-161.
- 김아래미, 김민정, 김영우, 김진석. (2019). "사회복지 종사자 처우의 재개념화: 일자리 질을 중심으로". 비판사회정책, 65, 7-42.
- 김용성, 최성열. (2018). "유아교사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자아탄력성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상담심리교육복지, 5(2), 5-17.
- 김용탁, 윤희숙. (2012). "고령자 고용 사업의 개선 방안". 장애와 고용, 22(4), 139-167.
- 김유빈, 최 충. (2018). "고용.직업 안정성의 노동시장 효과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 김은하. (2007). "일자리의 질과 노동 생산성 및 분배의 관계에 관한 비교 연구". 사회복지정책, 30(1), 115-141.
- 김춘지, 이수영. (2017). "일자리참여 노인의 직무만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교육여부의 조절효과". 사회복지경영연구, 4(1), 101-124.
- 김태은. (1994). 경력개발 프로그램 (CDP) 유형에 따른 종업원의 조직몰입, 직무안전성 및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태형, 권중생, 김정원. (2006). "고용형태에 따른 고용특성과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간 관계".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0(4), 209-232.
- 문필동, 이정화. (2013). "임금근로 여성 장애인의 고용안정성과 장애차별경험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임금수준의 매개효과 검증". 직업재활연구, 23(3), 85-111.
- 민병원. (2018). "항공객실승무원의 고용안정성이 일과 삶의 질,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사조직학회 발표논문집, 2018(1), 1-23.
- 민주홍. (2013). "한국 노인의 사회참여가 주관적 건강 및 건강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다양한 사회참여의 영향을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3(4), 105-123.
- 박경하. (2012). "노인일자리 사업의 개선과제 및 활성화 방안". 보건복지위원회, 5-28.
- 박성윤, 조병완. (2020). "포항지진 투입 소방공무원의 직무만족도 결정요인". 한국방재학회. 163-168
- 박세정, 고수현. (2008). "치매 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 복지행정논총, 18(2), 115-142.
- 박윤아, 이영호. (2017). "양육미혼모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성격강점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2(2), 143-171.
- 박정우. (2018). "돌봄 일자리의 질 개선 가능성-돌봄 노동시장 내 '괜찮은 일자리'이동". 사회복지정책, 45(2), 39-66. https://doi.org/10.15855/SWP.2018.45.2.39
- 보건복지부. (2019). 2019 자살예방백서. 보건복지부.
- 보건복지부. (2019). 2020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운영안내. 보건복지부.
- 보건복지부. (2019). 노인 재능나눔 활동 지원사업 운영 안내. 보건복지부.
- 손신영. (2015). "정규직 및 비정규직 고용형태가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구". 보건의료산업학회지. 9(4). 171-182. https://doi.org/10.12811/kshsm.2015.9.4.171
- 송현주, 임란, 왕승현, 이은영. (2017). "중.고령자의 경제생활 및 노후준비 실태-제 6 차 (2015 년도)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KReIS) 기초분석보고서". 국민연금공단, 2016(1), 0-255.
- 신승배. (2017). "한국 정규직과 비정규직 노동자의 삶의 질". 인문사회, 21, 8(1), 925-956.
- 심옥수. (2015). "경제활동 노인의 일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우울의 조절효과 분석".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17, 161-179.
- 유병홍, 정흥준. (2013). "공기업구성원의 고용안정 인지가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공공서비스동기의 매개효과".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7, 87-115.
- 윤진호. (2003). "미국의 고용조정: 신화와 현실". 산업노동연구, 9(2), 261-305.
- 이시균, 이주현. (2008). "고용안정성에 관한 특성 분석". 한국고용정보원. 112-127.
- 이재완, 백대현. (2018). "고용 안정성이 행복에 미치는 효과: 일자리 질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30(3), 129-155. https://doi.org/10.21026/JLGS.2018.30.3.129
- 장민. (2019). "우리나라의 고령층 빈곤율 현황과 시사점". 주간금융브리프, 28(20), 11-13.
- 전기복, 이현심. (2014). "민간경비원의 직업 활동 경험에 관한 연구: 60 세 이상 노인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66, 213-230.
- 정원호. (2005). "네덜란드와 덴마크의 유연안정성 비교". 국제노동브리프, 3(12), 35-43.
- 정효정. (2017). "아동권리 관점의 보육서비스 품질 제고를 위한 보육 쟁점 논의". 한국영유아보육학, 107, 139-164.
- 조민경, 전병규, 허규창, 임형수. (2019).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사회융합연구, 3, 55-65.
- 최정희, 현병환. (2020). "소상공인의 일터학습과 서비스품질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18(4), 23-35. https://doi.org/10.14400/JDC.2020.18.4.023
- 최지선. (2009). "중증장애인 근로자의 고용안정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도 매개효과와 직장 내 차별경험의 조절효과 검증". 사회복지정책, 36(4), 343.
- 통계청. (2010). 2010년 하반기 연구보고서 제 1권. 통계청.
- 통계청. (2019). 2019 2/4분기(5월 기준) 임금근로 일자리 동향. 통계청
- 통계청. (2019). 2019 고령자 통계. 통계청
- 통계청. (2019). 2019년 장래인구특별추계를 반영한 세계와 한국의 인구현황 및 전망. 통계청
- 통계청. (2020). 2020 4월 고용동향. 통계청
- 한국고용정보원. (2020). 2020 고령자 연구패널 이용자 가이드(User's Guide). 한국고용정보원
-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19). 2018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통계동향. 한국노인인력개발원
- Aziri, B. (2011). "JOB SATISFACTION: A LITERATURE REVIEW". Management Research & Practice, 3(4). 77-86
- Bagwell, D. K. (2019). "Quality of life". Salem Press Encyclopedia of Health.
- Baron, R. M., and D. A. Kenny.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t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 Felce, D., and J. Perry. (1995). "Quality of life: Its definition and measurement".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16(1), 51-74. https://doi.org/10.1016/0891-4222(94)00028-8
- Gurdogan, E. P.. and E. C. Uslusoy. (2019). "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Work Life and Happiness in Nurses: A Sample from Turkey". International Journal of Caring Sciences, 12(3), 1364.
- Hoppock, R. (1935). Job Satisfaction. Harper and Brothers, New York.
- Kong, W., Y. Yang., F. F. Zhang., H. Wang,. and D. Feng. (2020). "Mediating role of occupational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uroticism and quality of life among Chinese civil servant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Health Qual Life Outcomes, 18(1), 34.. https://doi.org/10.1186/s12955-020-01295-2
- Preacher, K. J., D. D. Rucker., and A. F. Hayes. (2007). "Addressing moderated mediation hypotheses: Theory, methods, and prescription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42(1), 185-227. https://doi.org/10.1080/00273170701341316
- Rue, L. W., and L. Byars. (2003). Management, Skills and Application. 10 ed. McGraw-Hill/Irwin, New York.
- United Nations Economic Commission for Europe. (2015). Handbook on Measuring Quality of Employment. United Nation.
- Vo, N. X., T. Q. Vo,, S. Watanapongvanich., and N. Witvorapong. (2018). "Measurement and Determinants of Quality of Life of Older Adults in Ho Chi Minh City". Vietnam. Social Indicators Research. 142(3). 1285-1303.
- Vroom, V.H. (1964). "Work and motivation".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p.99.
- Wen, J., Y. K. Shi,, Y. P. Li., P, Yuan., and F. Wang. (2012). "Quality of life, physical diseases, and psychological impairment among survivors 3 years after Wenchuan earthquake: a population based survey". PLoS One, 7(8).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