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a Physical Computing Convergence Class to the Science Exploration Experiment Subject of High School on the SW Education Recognition and the Convergence Literacy

고등학교 과학탐구실험 교과에 피지컬 컴퓨팅을 융합한 수업이 SW 교육 인식 및 융합 소양에 미치는 영향

  • 이유라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 김태영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Received : 2020.04.30
  • Accepted : 2020.06.23
  • Published : 2020.07.31

Abstract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onvergence, various discussions and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develop future social talents, and through this, the need for creative convergence talents is increasing. In line with the change to a software-oriented society,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trying to strengthen SW education, but high school students'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information subject and SW education that is the center of convergence is insufficient. Therefore, opportunities for convergence of the information subject and various fields should be provided. In this study, information education was converged to the science exploration experiment subject to construct an educational program that can develop creative convergence, and a convergence class using physical computing were applied to high school students for 9 hours.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recognition of SW educa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improv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learner's convergence literacy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trol group that conducted the general science experiment class.

4차 산업혁명과 융합시대를 맞이하여 미래 사회 인재 육성을 위해 다양한 논의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창의적인 융합인재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소프트웨어 중심 사회로의 변화에 발맞추어 세계 각국에서는 SW 교육을 강화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나 융합의 중심이 되는 정보 교과와 SW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고등학교 학생들의 인식이 부족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정보 교과와 다양한 분야와의 융합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학탐구실험 교과에 정보 교육을 융합하여 창의적인 융합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9차시에 걸쳐 피지컬 컴퓨팅을 활용한 융합 수업을 적용하였다. 실험 결과 과학과 정보의 융합 수업을 실시한 실험 집단의 SW 교육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었으며, 또한 학습자의 융합 소양 향상에 있어서도 융합 수업을 실시한 실험 집단이 일반 과학실험 수업을 실시한 통제 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태은.이재진.우연경(2017).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에 대한 교육계 내.외부의 견해 비교. 한국교육학연구, 23(2), 157-190.
  2. 전용주 (2017). 새로운 교육과정의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컴퓨팅 사고력 기반 창의적 문제해결(CT-CPS) 수업모형의 개발 및 적용. 박사학위 논문, 한국교원대학교.
  3. 전용주 (2017). 중등 소프트웨어 수업에서 컴퓨팅 사고력 기반 창의적 문제해결(CT-CPS) 수업모형의 인지적.정의적 효과성 분석.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0(4), 47-57.
  4. 정영식 (2017).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소프트웨어 교육방안. 한국정보화진흥원.
  5. 오미자 (2017). 스크래치 프로그램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에 대한 비전공자의 인식 연구.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0(1), 1-11.
  6. 김왕동 (2012). 창의 융합인재에 관한 개념 틀 정립: 과학 기술과 예술 융합 관점. 영재와 영재교육. 11(1), 97-119.
  7. 오헌석.성은모 (2013). 융합인재역량 분석-K대학교 공과대학 신기술융합학과대학원 사례를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14(4), 201-228.
  8. 최유현.노진아.이봉우.문대영.이명훈.장용철.박기문.손다미.임윤진.이은상 (2012). 창의적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STEAM 교육과정 모형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2(3), 63-87.
  9. 최유현.노진아.임윤진.이동원.이은상.노준호 (2013). 초.중.고등학생용 융합인재소양 측정도구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3(2), 177-198.
  10. 정미경 (2015). 가정학에서의 융합교육 실현 방안.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8(1), 121-141.
  11. 교육부 (2015). 2015 개정 교육과정 운영지침 해설서.
  12. 김혜영 (2013). 융합교육의 체계화를 위한 융합교육의 방향과 기초융합교과 설계에 대한 제언. 교양교육연구. 7(2), 11-38.
  13. 김민정 (2018). 인문계 고등학교 학년에 따른 정보과목 수업 현황 분석.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서주영 (2018). 대학의 비전공자 SW교양교육에 관한 인식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학회지. 16(5), 21-31.
  15. 황요한.문공주.박윤배 (2016). 소프트웨어 활용 탐구 활동을 통한 고등학생의 프로그래밍과 컴퓨팅 사고력에 대한 인식변화와 과학 학습에 대한 태도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2), 325-335. https://doi.org/10.14697/jkase.2016.36.2.0325
  16. 이상진, 박우찬, 여경준, 장명호, 김희주, 최희석, ... & 유헌창. (2014). 피지컬 컴퓨팅에서 아두이노 실험 교육을 통한 MBL 인터페이스 대체효과.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18(1), 97-100.
  17. 이성 (2018). SW를 활용한 초등 과학 수업이 학생들의 문제 해결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 논문, 경인교육대학교.
  18. 박동진 (2017). 아두이노를 활용한 과학기반 STEAM 프로그램이 초등영재학생의 과학학습동기와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대구교육대학교.
  19. 전성균.서영민.이영준 (2010). CPS 기반의 창의적 프로그래밍 수업 모형.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14(2), 95-99.
  20. 삼성주니어소프트웨어 (2013). SW교육 인식검사 설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