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Debugging Tasks and Tool for Process-centered Assessment on Software Education

소프트웨어 교육에서 과정중심 평가를 위한 디버깅 과제 및 도구 개발

  • Received : 2020.04.07
  • Accepted : 2020.07.01
  • Published : 2020.07.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debugging task to support process-centered assessment on software(SW) education and to develop a service site. Achievement criteria for programming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W curriculum consists of control structures such as repetition and condition, and elements such as variables and input/output. In order to apply the process-centered assessment presen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present tasks that can be used in the actual classroom environment and to consider connection with achievement levels. Therefore, in this study, 12 tasks for elementary school and 15 tasks for middle school were developed as debugging tasks and their validity was verified. As a result of conducting Delphi verification for validity, it was found that the level and content of the debugging task are appropriate. In addition,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usability of the debugging challenge site by applying a heuristic evaluation method, it was found that it is suitable for use in the real educational field.

본 연구의 목적은 소프트웨어(SW) 교육에서 과정중심 평가를 지원하기 위한 디버깅 과제를 개발하고 서비스하는 사이트를 개발하는 것이다. 초등학교와 중학교 SW교육과정 중 프로그래밍 영역의 성취기준을 살펴보면 반복, 조건과 같은 제어구조를 구현하는 것과 변수, 입출력과 같은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교육부에서 제시하는 과정중심 평가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실제 수업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는 과제를 제시하고, 성취수준과의 연계를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디버깅 과제로 초등학교용 12과제, 중학교용 15과제를 개발하고 그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타당도 검증을 위해서 델파이 검증을 실시한 결과, 디버깅 과제의 수준과 내용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디버깅 챌린지 사이트의 사용성을 휴리스틱 평가법으로 검증한 결과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나, 실제 교육현장에서 활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2015). 실과(기술.가정)/정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호 [별책 10].
  2. 교육부 (2017).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7-131호 [별책 1].
  3. Denning, P. J. & Tedre, M. (2019). Computational Thinking. Cambridge, MA; The MIT Press.
  4. 김수환.김찬웅.김해영 (역) (2017). code.org를 활용한 컴퓨팅 사고력과 코딩 교육. Computational Thinking and Coding for Every Student. 서울: 한빛아카데미.
  5. 교육부.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과정을 중시하는 수행평가 어떻게 할까요?: 중등. 연구자료 ORM 2017-19-2.
  6. 교육부.충천남도교육청.한국과학창의재단(2019). 교사별 과정 중심 평가 강사요원 양성 직무 연수 자료집. 중학교 정보과.
  7. 반재천.김선.박정.김희경.이해선.김수진.신미경.김한승.유명한.정상명.여인경 (2018).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사별 과정중심 평가 활성화를 위한 학생 평가 모형 개발 연구. 교육부 11-1342000-000300-01.
  8. 강현석.이지은 (2016). 이해중심 교육과정을 위한 백워드 설계의 이론과 실천: 교실 혁명. 서울: 학지사.
  9. Brennan, K., & Resnick, M. (2012). New frameworks for studying and assessing the development of computational thinking. Paper presented at annual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meeting, Vancouver, BC, Canada.
  10. 미래인재연구소 (2015). 창의컴퓨팅 이슈리포트 2015-1. 인천: 경인교육대학교.
  11. Harvar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2011). CREATIVE COMPUTING. 2020. 04. 07. 검색. http://creativecomputing.gse.harvard.edu/guide/curriculum.html
  12. Getting Unstuck. 2020. 04. 07. 검색. https://gettingunstuck.gse.harvard.edu/
  13. Scratch in Practice. 2020. 4. 7. 검색. https://sip.scratch.mit.edu/
  14. CollegeBoard (2016). AP Computer Science Principles Coures and Exam Description. 2020. 04. 07. 검색. https://apcentral.collegeboard.org/pdf/ap-computer-science-principles-course-and-exam-description.pdf
  15. Snow, E., Tate, C., Rutstein, D., & Bienkowski, M. (2017). Assessment Design Patterns for Computational Thinking Practices in Exploring Computer Science. Menlo Park, CA: SRI International.
  16. 김성식 (2016). 프로그래밍(알고리즘) 자동평가 시스템의 국.내외 동향 및 활용 방안. 2016이슈리포트, 한국정보과학연합회, 한국과학창의재단.
  17. 김수환.송상수.임선명.김지현 (2016). Computational Thinking 평가를 위한 엔트리 자동 평가 시스템 개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학술대회 발표집.
  18. Martin, T., & Fields, D. (2014). Macro data for micro learning: Developing FUN! for Automated Assessment of Computational Thinking in Scratch. Poster presented at the 2014 Cyberlearning Summit, Madison, WI.
  19. 김수환 (2015). Computational Thinking 개념 평가를 위한 스크래치 코드 분석 시스템 개발.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8(6). 13-22.
  20. Drscratch. 2015. 8. 14일 검색. http://drscratch.programamos.es/
  21. Mislevy, R. J., Almond, R. G., & Lukas, J. F. (2003). A brief introduction to evidence-centered. Research report, RR-03-16. ETS,
  22. Nielsen J. (1994). "how to conduct a Heuristic Evaluation" USEIT.com, 2020. 04. 07. 검색. http://www.useit.com/papers/heuristic/heuristic_list.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