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ctors Related to the Willingness to have a Child, Parental Age at First Child's Birth, and the Planned Number of Children among Men and Women

남녀의 출산의향, 출산 희망연령과 계획 자녀수의 영향 요인

  • Hong, Sung-Hee (Dept. of Consumer Information Studies, Keimyung University)
  • 홍성희 (계명대학교 소비자정보학과)
  • Received : 2020.03.20
  • Accepted : 2020.05.18
  • Published : 2020.05.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related to the willingness to have a child, parental age at first child's birth, and the planned number of children. The data came from the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from the Survey Research Center at Sung Kyun Kwan University. The sample data set included 488 men and women between the ages of 18 and 49.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gender, age,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 the value of marriage, the value of family succession, and willingness to increase spending on education significantly affected the willingness to have a child among unmarried and married participants without children. Second, among people willing to have a child, the factors that influenced parental age at first child's birth were gender, education, satisfaction with household economic condition, the value of marriage, and the willingness to increase spending on education. Third, across the sample, the planned number of children was decided by satisfaction of family relations, the value of childbirth, the value of marriage, and home ownership. Overall, the value of marriage was the factor most strongly associated with the three dependent variables. The more a person agree with living with their partner before marriage, the more willing they were to give birth, the younger they were when they became a parent, and the more children they planned to have. The higher satisfaction of family relations, the higher willingness to have a child, and the more children a participant planned to have. In addition, the more a participant was willing to increase spending on education, the higher their willingness was to have a child and the older they were when they became a parent.

Keywords

References

  1. 고선강(2016). 기업의 가족친화제도가 기혼 직장여성의 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 여성의 연령 집단별 비교.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3), 151-171.
  2. 김나영(2011). 미혼남녀의 출산관련 가치관과 이상적인 자녀수의 인과관계. 사회과학연구논총, 26, 5-23.
  3. 김명원.강민주(2011). 맞벌이 부부의 성역할태도와 사회적 지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9(8), 25-35.
  4. 김미정.정계숙.박희경(2011). 20-30대 유자녀 모의 심리적.사회적 요인이 기대자녀수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10(4), 1-18.
  5. 김승권.박종서.김유경.김연우.최영준.손창균.윤아름(2012). 2012년 전국 결혼 및 출산동향조사, 보건복지부 보건사회연구원 정책보고서,
  6. 김주희.고선강(2015). 신혼기 기혼여성과 부모 간의 자원이전과 출산의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2), 27-49.
  7. 김혜정(2010). 미혼남녀별 결혼 및 자녀출산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일부 미혼남녀 대상. 경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류연규(2005). 복지국가의 아동양육지원제도가 출산율에 미친 영향에 대한 비교 연구, 사회보장연구, 21(3), 233-261.
  9. 마미정(2008). 맞벌이부부의 둘째 자녀 출산의도와 출산기피 요인 탐색 연구. 부모교육연구, 5(1), 75-116.
  10. 박현주(2006). 기혼여성의 출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배광일.김경신(2012). 가족가치관 및 출산정책이 희망자녀수 출산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 43(3), 239-266.
  12. 송혜림(2016). 주부의 취업유무에 따른 출산태도와 돌봄지원정책 요구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3), 67-93.
  13. 신윤정(2017). OECD 지표를 통해서 본 우리나라 저출산 대응 정책의 진단과 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 ISSUE & FOCUS.
  14. 연합뉴스(2020. 2. 26) 4년간 185조원 썼는데... 출산율 1.13명$\rightarrow$ 0.92명 ʻ역주행ʼ https://www.yna.co.kr/view/AKR20200226094300002?input=1195m
  15. 오유진.박성준(2008). 저출산의 경제학적 분석. 한국경제학보, 15(1), 91-102.
  16. 우해봉.한정림(2018). 저출산과 모멘텀 그리고 한국의 미래 인구변동. 보건사회연구 38(2), 9-41. 한국보건사회연구원. https://doi.org/10.15709/HSWR.2018.38.2.9
  17. 유계숙.강민지.윤지은(2018). 청년층의 가족개념과 가치 : 2001년과 2017년 20대 미혼 청년세대 비교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30(3), 42-69.
  18. 이미란(2010). 기혼 여성이 처한 환경적 요인이 자녀에 대한 가치관과 출산 행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5(1), 99-121.
  19. 이삼식.최효진(2014). 취업여성의 출산행태와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 이소영.김은정.박종서.변수정.오미애.이상림.이지혜(2018). 2018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1. 이소영(2019). 자녀 출산 실태와 정책 함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포럼, 35-46.
  22. 이승주.이소민.문승현(2017). 부모 자녀의 이중부양부담이 기혼여성의 출산의사에 미치는 영향 : 현 자녀수와 향후 출산의사의 관계에서 노부모 동거 부양부담의 조절효과 분석, 가족과 문화, 29(3), 111-138.
  23. 이연숙.김하늬.이정우(2016). 남녀 대학생의 가족가치관 유형에 따른 자녀출산에 대한 인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1), 109-140.
  24. 이완.채재은(2017). 기혼여성의 자녀가치관과 추가출산의향 간의 관계에서 출산장려정책의 조절효과 분석,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9), 65-78. https://doi.org/10.14400/JDC.2017.15.9.65
  25. 이지나 (2019). 기혼취업여성의 출산 자녀수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9(9), 659-667.
  26. 이진숙.최원석(2012). 기혼 직장여성의 출산계획 경로에 관한 연구: 성역할태도, 일 가족양립 갈등, 결혼행복감과 출산계획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3(4), 5-30.
  27. 이형민(2012). 후속출산계획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한국의 영아기 자녀를 둔 가구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70, 1-31.
  28. 전은주(2015). 기업의 가족친화 프로그램 제공 정도가 기혼여성의 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직장-가정갈등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정선영(2017). 삶의 만족도가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 OECD 국가를 대상으로. 가족과 문화, 29(1), 105-127.
  30. 정성호(2010). 저출산 요인의 인과모형, 사회과학연구, 49(1), 69-91.
  31. 정성호(2012). 저출산 정책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인구학, 35(1), 31-52.
  32. 정의룡.서정욱(2014). 국가별 출산율에 미치는 정책요인 분석: OECD 국가들에 대한 퍼지셋 분석. 한국정책학회 하계학술대회 자료집, 461-478.
  33. 진미정.정혜은(2010). 미혼남녀의 결혼의향과 결혼희망연령에 대한 가족가치관의 영향추세 연구: 2005년, 2009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 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3(3) 31-51.
  34. 최지훈.안선희(2018). 가족친화제도와 남편의 자녀 돌봄 참여가 기혼여성의 추가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6(1), 75-85. https://doi.org/10.7466/JKHMA.2018.36.1.75
  35. 최효미(2017). 청년 미혼층의 결혼 및 출산의향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017 공동춘계학술대회 자료집, 49-55.
  36. 한영선.이연숙(2015), 여성취업과 일.가정양립 지원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3(1), 49-66. https://doi.org/10.6115/fer.2015.004
  37. Becker, G. S. and H. G. Lewis.(1973). 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Quantity and Quality of Children.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81(2), 279-288. https://doi.org/10.1086/260166
  38. Becker, G S.(1993). A Treatise on the Family.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39. Carmichael, G. A. and A. Whittaker(2007). Choice and circumstance: Qualitative insight into contemporary childlessness in Australia. European Journal of Population, 23(2), 111-143. https://doi.org/10.1007/s10680-006-9112-4
  40. Dettling, L. J. & Kearney, M. S. (2011). House prices and birth rates: The impact of the real estate market on the decision to have a baby. NBER Working Paper No. 17485. Cambridge, MA: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41. Easterlin, R. A.(1973). relative economic status and the American fertility swings. in Family Economic Behavior, Eleanor B. Sheldon, ed. Philadelphia: Lippincott.
  42. Edema, W. (2012). Setting the Scene: The Mix of Family Policy Objectives and Packages across the OECD.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34, 487-498. https://doi.org/10.1016/j.childyouth.2011.10.007
  43. Jutta, M. J.(2010). Children and the timing of women's paid work after childbirth : A further specification of the relationship.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59(4), 1008-1021. https://doi.org/10.2307/353799
  44. Newman, L(2008). How parenthood experiences influence desire for more children in Australia: A qualitative study. Journal of Population Research, 25(1), 1-27. https://doi.org/10.1007/BF03031938
  45. OECD.(2011). doing better for families, OECD Publishing. Retrieved from. http://dx.doi.org/10.1787/9789264098732-en.
  46. William, E. E.(2011). Career interruptions following childbirth. Journal of Labor Economics, 5(2), 255-277. https://doi.org/10.1086/298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