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고선강(2016). 기업의 가족친화제도가 기혼 직장여성의 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 여성의 연령 집단별 비교.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3), 151-171.
- 김나영(2011). 미혼남녀의 출산관련 가치관과 이상적인 자녀수의 인과관계. 사회과학연구논총, 26, 5-23.
- 김명원.강민주(2011). 맞벌이 부부의 성역할태도와 사회적 지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9(8), 25-35.
- 김미정.정계숙.박희경(2011). 20-30대 유자녀 모의 심리적.사회적 요인이 기대자녀수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10(4), 1-18.
- 김승권.박종서.김유경.김연우.최영준.손창균.윤아름(2012). 2012년 전국 결혼 및 출산동향조사, 보건복지부 보건사회연구원 정책보고서,
- 김주희.고선강(2015). 신혼기 기혼여성과 부모 간의 자원이전과 출산의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2), 27-49.
- 김혜정(2010). 미혼남녀별 결혼 및 자녀출산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일부 미혼남녀 대상. 경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류연규(2005). 복지국가의 아동양육지원제도가 출산율에 미친 영향에 대한 비교 연구, 사회보장연구, 21(3), 233-261.
- 마미정(2008). 맞벌이부부의 둘째 자녀 출산의도와 출산기피 요인 탐색 연구. 부모교육연구, 5(1), 75-116.
- 박현주(2006). 기혼여성의 출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배광일.김경신(2012). 가족가치관 및 출산정책이 희망자녀수 출산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 43(3), 239-266.
- 송혜림(2016). 주부의 취업유무에 따른 출산태도와 돌봄지원정책 요구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3), 67-93.
- 신윤정(2017). OECD 지표를 통해서 본 우리나라 저출산 대응 정책의 진단과 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 ISSUE & FOCUS.
-
연합뉴스(2020. 2. 26) 4년간 185조원 썼는데... 출산율 1.13명
$\rightarrow$ 0.92명 ʻ역주행ʼ https://www.yna.co.kr/view/AKR20200226094300002?input=1195m - 오유진.박성준(2008). 저출산의 경제학적 분석. 한국경제학보, 15(1), 91-102.
- 우해봉.한정림(2018). 저출산과 모멘텀 그리고 한국의 미래 인구변동. 보건사회연구 38(2), 9-41. 한국보건사회연구원. https://doi.org/10.15709/HSWR.2018.38.2.9
- 유계숙.강민지.윤지은(2018). 청년층의 가족개념과 가치 : 2001년과 2017년 20대 미혼 청년세대 비교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30(3), 42-69.
- 이미란(2010). 기혼 여성이 처한 환경적 요인이 자녀에 대한 가치관과 출산 행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5(1), 99-121.
- 이삼식.최효진(2014). 취업여성의 출산행태와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이소영.김은정.박종서.변수정.오미애.이상림.이지혜(2018). 2018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이소영(2019). 자녀 출산 실태와 정책 함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포럼, 35-46.
- 이승주.이소민.문승현(2017). 부모 자녀의 이중부양부담이 기혼여성의 출산의사에 미치는 영향 : 현 자녀수와 향후 출산의사의 관계에서 노부모 동거 부양부담의 조절효과 분석, 가족과 문화, 29(3), 111-138.
- 이연숙.김하늬.이정우(2016). 남녀 대학생의 가족가치관 유형에 따른 자녀출산에 대한 인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1), 109-140.
- 이완.채재은(2017). 기혼여성의 자녀가치관과 추가출산의향 간의 관계에서 출산장려정책의 조절효과 분석,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9), 65-78. https://doi.org/10.14400/JDC.2017.15.9.65
- 이지나 (2019). 기혼취업여성의 출산 자녀수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9(9), 659-667.
- 이진숙.최원석(2012). 기혼 직장여성의 출산계획 경로에 관한 연구: 성역할태도, 일 가족양립 갈등, 결혼행복감과 출산계획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3(4), 5-30.
- 이형민(2012). 후속출산계획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한국의 영아기 자녀를 둔 가구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70, 1-31.
- 전은주(2015). 기업의 가족친화 프로그램 제공 정도가 기혼여성의 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직장-가정갈등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선영(2017). 삶의 만족도가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 OECD 국가를 대상으로. 가족과 문화, 29(1), 105-127.
- 정성호(2010). 저출산 요인의 인과모형, 사회과학연구, 49(1), 69-91.
- 정성호(2012). 저출산 정책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인구학, 35(1), 31-52.
- 정의룡.서정욱(2014). 국가별 출산율에 미치는 정책요인 분석: OECD 국가들에 대한 퍼지셋 분석. 한국정책학회 하계학술대회 자료집, 461-478.
- 진미정.정혜은(2010). 미혼남녀의 결혼의향과 결혼희망연령에 대한 가족가치관의 영향추세 연구: 2005년, 2009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 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3(3) 31-51.
- 최지훈.안선희(2018). 가족친화제도와 남편의 자녀 돌봄 참여가 기혼여성의 추가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6(1), 75-85. https://doi.org/10.7466/JKHMA.2018.36.1.75
- 최효미(2017). 청년 미혼층의 결혼 및 출산의향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017 공동춘계학술대회 자료집, 49-55.
- 한영선.이연숙(2015), 여성취업과 일.가정양립 지원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3(1), 49-66. https://doi.org/10.6115/fer.2015.004
- Becker, G. S. and H. G. Lewis.(1973). 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Quantity and Quality of Children.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81(2), 279-288. https://doi.org/10.1086/260166
- Becker, G S.(1993). A Treatise on the Family.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 Carmichael, G. A. and A. Whittaker(2007). Choice and circumstance: Qualitative insight into contemporary childlessness in Australia. European Journal of Population, 23(2), 111-143. https://doi.org/10.1007/s10680-006-9112-4
- Dettling, L. J. & Kearney, M. S. (2011). House prices and birth rates: The impact of the real estate market on the decision to have a baby. NBER Working Paper No. 17485. Cambridge, MA: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 Easterlin, R. A.(1973). relative economic status and the American fertility swings. in Family Economic Behavior, Eleanor B. Sheldon, ed. Philadelphia: Lippincott.
- Edema, W. (2012). Setting the Scene: The Mix of Family Policy Objectives and Packages across the OECD.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34, 487-498. https://doi.org/10.1016/j.childyouth.2011.10.007
- Jutta, M. J.(2010). Children and the timing of women's paid work after childbirth : A further specification of the relationship.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59(4), 1008-1021. https://doi.org/10.2307/353799
- Newman, L(2008). How parenthood experiences influence desire for more children in Australia: A qualitative study. Journal of Population Research, 25(1), 1-27. https://doi.org/10.1007/BF03031938
- OECD.(2011). doing better for families, OECD Publishing. Retrieved from. http://dx.doi.org/10.1787/9789264098732-en.
- William, E. E.(2011). Career interruptions following childbirth. Journal of Labor Economics, 5(2), 255-277. https://doi.org/10.1086/298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