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Government Emergency Preparedness Policy Priority Elicitation

정부 비상대비정책 우선순위 도출에 관한 연구

  • 최원상 (충남대학교 군사학과) ;
  • 신진 (충남대학교 군사학과)
  • Received : 2020.06.01
  • Accepted : 2020.06.25
  • Published : 2020.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applic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ICT) dur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or the efficient implementation of government emergency preparedness policies. Brainstorming by experts categorized the government's emergency preparedness policies into 4 types and 12 detailed tasks. Classification results were used by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to analyze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ies. The AHP survey found that strengthening crisis management responsiveness was the most important detailed task. Artificial Intelligence(AI), Internet of Things(IoT), Unmanned Autonomy System, Virtual Reality(VR), and Augmented Reality(AR) were presented as maj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ICT) for the efficient execution of detailed tasks.

본 연구는 정부 비상대비정책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 4차 산업혁명기 주요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의 적용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전문가들에 의한 브레인스토밍을 하여 정부의 비상대비정책을 4개 유형과 12개 세부과제로 분류하였다. 분류 결과는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분석하기 위해 계층화 분석법(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이용하였다. AHP 설문 결과 위기관리 대응력 강화가 가장 중요한 세부과제로 분석되었다. 세부과제의 효율적 실행을 위한 주요 정보통신기술(ICT)로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무인자율체계(Unmanned Autonomy System),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채언, "한국의 국가위기관리 조직체계에 관한 연구", Crisisonomy, 제7권, 제4호, pp.57-76, 2011.
  2. 노영숙, "정부의 위기관리체계와 효율적 운영 방안", 사회과학연구, 제34권, 제1호, pp.227-250, 2017.
  3. 길병옥, "국가비상사태 대비 국가위기대응법 제정방안에 관한 논고", 군사논단, 제64호, pp.123-148, 2010(겨울).
  4. 이재은, "국가위기관리기본법 제정 방안에 관한 소고", Crisisonomy, 제10권, 제3호, pp.193-211, 2014.
  5. 이재은, "위기관리 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논집, 제10권, 제1호, pp.113-130, 1998.
  6. 정찬권, "국가위기관리훈련 발전방안 연구: 법적.제도적 측면을 중심으로", Crisisonomy, 제4권, 제2호, pp.1-16, 2008.
  7. 이주호.변성수.이재은, "국가위기관리연습 통합모델 구축 방향", Crisisonomy, 제6권, 제1호, pp.139-158, 2010.
  8. 김열수, '21세기 국가위기관리체제론', 오름, 2005.
  9. 이재은, "포괄적 안보 개념 하에서의 국가위기관리 법제화의 의의와 내용분석", 한국위기관리논집, 제2권, 제2호, pp.19-35, 2006.
  10. 정지범, "행정학 패러다임에 입각한 국가위기관리의 진화", Crisisonomy, 제6권, 제2호, pp.4-8, 2010.
  11. 조영갑, "전쟁과 재난", 비상기획보, 제64호, p.23, 2003.
  12. 김열수, '21세기 국가위기관리체제론', 오름, 2005.
  13. 설현주.이수훈.길병옥, "4차 산업혁명과 항공무인무기체계 발전 전망", 한국군사학논총, 제6집, 제2권, p.215, 2017.
  14. 최현호, "확대되는 군사분야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설계, 교육을 넘어 전술훈련까지", 국방과 기술, 제449호, pp.53-61, 2016.
  15. 김영철.정재필.이상미, "IT와 재난관리", 전자공학회지, 제35권, 제12호, pp.16-17, 2008.
  16. 강희조, "공공안전 재난관리를 위한 차세대 통합무선 재난통신",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제9권, 제10호, pp.187-195, 2011.
  17. 이은미, "빅데이터의 정부 의사결정 반영에 관한 탐색적 연구: 사회적 관심의 재난위기 단계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제24권, 제4호, pp.491-511, 2015.
  18. 설현주.이수훈.길병옥, "4차 산업혁명과 항공무인무기체계 발전 전망", 한국군사학논총, 제6집, 제2권, p.215, 2017.
  19. 김영도.권혁진, "국방지휘통제체계 AI적용을 위한 고찰", 정보처리학회지, 제24권, 제1호, pp.13-18, 2017.
  20. 임은선, "계층분석과정(AHP)-선택의 기로에서 합리적으로 판단하기", 국토(4월호), pp.128-135, 2006.
  21. 기획재정부, '2018년도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 집행지침', 2018.
  22. 최원상, 이종용, 신진, "4차 산업혁명기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운용을 위한 개인정보 보호와 이용에 관한 연구", 융합보안논문지, 제19권 5호, p.67, 2019.
  23. 이영욱, "4차 산업혁명시대 우리나라 드론의 발전 방향", 융합보안논문지, 제18권 5호, pp.8-9, 2018.
  24. 박상준, 신규용, 김동욱, 김태호, 노효빈, 이원우, "증강형실 기반 지휘통제훈련 시뮬레 이터개발", 융합보안논문지, 제18권 5호, p.58,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