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Validation of Short Form Age Integration Scale and Relationships betwee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Age Integration: A Comparison of Age Groups

단축형 연령통합척도 타당화 및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연령통합인식 관계: 연령집단 간 비교

  • 정순둘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임정숙 (이화여대 연령통합고령사회연구소)
  • Received : 2019.11.28
  • Accepted : 2020.01.07
  • Published : 2020.02.28

Abstract

This study validates an abridged version of the age integration scale by Chung et al. (2015), which constitutes sub-dimensions of age flexibility and age heterogeneity-from Riley et al. (1994)-and observes disparities in the perception of age integration among different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analyzed 1,433 people in the "Age Integration and Generation Integration Survey" data, with the support of the Social Science Competency Enhancement Project (SSK) (supported by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This paper analyzed the data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ultiple-group factor analysis, and a compare means 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cale was abridged to 13 items from 28, of which eight items concern age heterogeneity and five concern age flexibility. Second, the multi-group analysi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younger, middle, and older age groups, therefore allowing the scale to be used among all age groups. Third, when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younger adults showed differences in their levels of age integration, age heterogeneity, and age flexibility regarding their residential area. Middle-aged adults showed dif f erences in their levels of age integration, age heterogeneity, and age flexibility regarding their residential area and social status. Older adults showed differences in their level of age integration regarding their residential area, education level, and social status. They also showed differences in the level of age flexibility regarding their residential area and social status and differences in the level of age heterogeneity regarding their residential area and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political and practical measures to promote perception on age integration in the future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정순둘 등(2015)이 개발한 연령통합척도를 Riley 등(1994)이 개념구성한 연령유연성과 연령다양성을 하위요인으로 한 단축형 연령통합척도로 척도의 타당성을 검증하여 척도의 실용성을 확보하고, 인구사회학적 특징에 따른 연령통합인식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연구재단에서 지원한 사회과학역량강화지원사업(SSK)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령통합 및 세대통합 조사'자료의 총 1433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다집단 요인분석, 평균비교 등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척도는 총 28문항에서 13문항으로 수정되었으며, 연령다양성 8문항, 연령유연성 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청년, 중년, 노년 집단으로 분류하여 다집단 요인분석에서 연령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전 연령에서 사용가능성이 확보되었다. 셋째, 연령집단 간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연령통합인식 차이에서 청년집단은 거주지역에서만 연령통합인식, 연령유연성, 연령다양성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년집단에서는 거주지역과 계층인식에서 연령통합인식, 연령 유연성, 연령다양성 차이를 보였다. 노년집단은 연령통합인식에서는 거주지역, 교육수준, 계층인식이 유의미하였으며, 연령유연성에서는 거주지역과 계층인식, 연령다양성에서는 거주지역과 교육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연령통합인식 향상을 위한 연구를 위한 방향과 정책 및 실천을 위한 함의를 제언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6년도 정부재원(교육과학기술부 인문사회역량강화사업비)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NRF-2016-S1A3A2924582).

References

  1. 김경호. (2005). 연령통합의 관점에서 고찰한 노인복지 관련 실정법상 연령기준의 정책적 함의. 법과 정책연구, 5(1), 553-582.
  2. 김미리, 정순둘. (2018). 위계적 선형모형(HLM)을 이용한 연령집단별 연령통합인식에 미치는 영향분석. 조사연구, 19(1), 163-194. doi.org/10.20997/SR.19.1.6
  3. 김호식, 정미녀, 손경숙. (2005). 고령화 사회의 노인문제에 대한 세대간 해결방안. 한국정책과학학회보, 9(1), 73-93.
  4. 우종필. (2016). 구조방정식모델의 비판과 고찰. 상품학연구, 34(4), 83-93.
  5. 정경희. (2004). 인구고령화와 연령통합 사회. 사회연구, 5(1), 11-26.
  6. 정경희, 황남희, 이선희, 김주현, 정순둘. (2015). 연령통합 지표 개발과 적용. 한국보건사회연구원.
  7. 정경희. (2016). 연령통합 지표로 본 한국의 연령통합 수준. 보건복지포럼, 233, 74-86.
  8. 정순둘, 정세미, 이미우, 임정숙. (2016). 연령통합에 대한 인식 및 영향요인: 연령집단별 비교. 보건사회연구, 36(1), 261-285. doi.org/10.15709/hswr.2016.36.1.261
  9. 정순둘, 기지혜, 이은진, 최혜지. (2015). 연령통합척도 개발 및 타당성 연구. 보건사회연구, 35(2), 380-404. doi.org/10.15709/hswr.2015.35.2.380
  10. 정순둘, 정세미, 이미우, 임정숙. (2016). 연령통합에 대한 인식 및 영향요인: 연령집단별 비교. 보건사회연구, 36(1), 261-285. doi.org/10.15709/hswr.2016.36.1.261
  11. 정순둘, 임정숙, 홍영란, 박난숙, 최성문. (2018). 세대통합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38(1), 125-142.
  12. 최혜지, 박정화, 권미리, 정순둘. (2015). 고령사회 대안 패러다임으로써 연령통합의 유용성에 대한 고찰: 연령통합의 영향에 대한 사회일반과 전문가 인식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67(3), 107-112.
  13. 최혜지, 전혜상, 정순둘. (2015). OECD 국가비교를 통해 본 노인 연령통합의 좌표와 유용성. 사회복지정책, 42(2), 343-364.
  14. 최혜지, 전혜상, 유영림, 정순둘. (2016). 연령통합적 관점에 기초한 임금피크제의 고령근로자 노동시장 통합 효과. 한국사회정책, 23(2), 25-48. https://doi.org/10.17000/KSPR.23.2.201606.25
  15. 통계청(2019). 국가통계포털 장애인구추계. http://kosis.kr/index/index.do
  16. Foner, A. (2000). Age integration or age conflict as society ages?. The Gerontologist, 40(3), 272-276. https://doi.org/10.1093/geront/40.3.272
  17. Harwood, J., Hewstone, M., Paolini, S., & Voci, A. (2005). Grandparent-grandchild contact and attitudes toward older adults: Moderator and mediator effect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31(3), 393-406. https://doi.org/10.1177/0146167204271577
  18. Neugarten, B. L., & Neugarten, D. A. (1996). The changing meanings of age. The meanings of age: Selected papers of Bernice L. Neugarten, 72-78.
  19. Riley, M. W., Kahn, L. R., & Foner A. (1994). Age and Structural Lag: Society's Failure to Provide Meaningful Opportunities in Work, Family, and Leisure. NY: Wiley.
  20. Riley, M. W., & Riley, J. W. (2000). Age integration conceptual and historical background. The Gerontologist, 40(3), 266-270. https://doi.org/10.1093/geront/40.3.266
  21. Uhlenberg, P. (2000a). Integration of Old and Young. The Gerontologist 40(3), 276-279. https://doi.org/10.1093/geront/40.3.276
  22. Uhlenberg, P. (2000b). Introduction Why Study Age Integration? The Gerontologist, 40(3), 261-266. https://doi.org/10.1093/geront/40.3.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