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저소득 재가노인의 식생활 보장에 관한 연구: 서울시 저소득 어르신 식사배달사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ood Security for Low-income Older Adults: A Case Study on Meals on Wheels Project in Seoul

  • 김정현 (서울시복지재단 정책연구실) ;
  • 전용호 (인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장혜자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Kim, Junghyun (Seoul Welfare Foundation, Policy Research Department) ;
  • Chon, Yongho (Incheon National University, Dept. of Social Welfare) ;
  • Chang, Hyeja (Dankook University, Dept.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투고 : 2020.05.05
  • 심사 : 2020.06.01
  • 발행 : 2020.11.30

초록

노년기 식생활은 신체적⋅심리적 건강 유지와 삶의 질 유지에 중요하다. 그러나 나이가 들수록 스스로 식사를 챙기기 어려워 영양 섭취가 어렵다. 그중에서도 저소득 재가노인은 적절한 영양섭취에 가장 취약한 인구집단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노년기 식생활 보장에 관한 사회복지 관점의 연구는 드물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저소득 재가노인 대상 식사배달사업의 운영현황을 파악하고 관련 쟁점을 탐색하여 저소득 재가노인의 식생활 보장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서울시 소재 노인 무료급식 사업 운영기관에 종사하고 있는 영양사(8인)와 사회복지사(7인)를 대상으로 표적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 FGI)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출된 서울시 저소득 어르신 식사배달에 관한 쟁점은 모호한 사업 대상자 선정 기준, 열악한 사업 운영 여건, 일선 인력의 업무 과중, 맞춤형 식사 제공 실현의 어려움 등으로 요약된다. 재가노인의 식생활 보장은 지역사회 계속 거주(aging in place)를 위한 전제조건이며, 이를 위해서는 사회복지 차원에서 저소득 재가노인의 욕구를 반영한 식사배달제공, 그리고 영양 및 위생관리가 가능한 사업 운영 여건을 어떻게 조성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It is important to maintain a healthy dietary habit to enjoy better health and quality of life in later life. However, taking care of one's dietary lifestyle at an older age may be a challenge. Especially, community dwelling low-income older adults are one of the most vulnerable population in regards to holding a well balanced healthy die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food delivery services for low-income older adults and explore related issues. In order to achieve the aim, this study conduced two sets of focus group interviews with 8 nutritionists and 7 social workers in Seoul.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re are issues related to meals on wheels such as vague eligibility, poor operation conditions, work overload, and difficulty in realizing customized meal delivery. Food security for low-income older adults is a prerequisite for aging in place.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ways to create favorable operating conditions to deliver customized meals and manage nutrition and hygiene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work.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연경, 이혜옥, 장린, 조여원. (2002). 65세 이상 노인에서 식습관, 영양소 섭취 및 질병 양상에 관한 연구(1).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7(4), 516-526.
  2. 김용득. (2018). 커뮤니티케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까? 월간복지동향(238), 5-10.
  3. 김정선, 황은미. (2017). 노인의 특징별 맞춤형 식사서비스 제공을 위한 지원 방안. 보건복지 이슈 & 포커스(341). ISSN 2092-7117.
  4. 김정현. (2014). 지역기반 노인 영양, 식생활 지원체계 현황 및 과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학회 2014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5. 김정현. (2016). 노인복지서비스 공급의 지역 간 형평성추이(2008~2015년): 노인복지관과 주.야간보호시설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71(3), 91-108. doi.org/10.21194/kjgsw.71.3.201609.91
  6. 박유경, 김영선, 임희숙, 임기웅, 안혜진, 신혜리. (2019). 지역사회 통합돌봄대상자(노인)의 자립생활 및 건강증진을 위한 식사제공서비스 지원방안 연구. 경기: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7. 보건복지부. (2001). 2001년도 노인보건복지 국고보조사업 안내. 서울: 보건복지부.
  8. 보건복지부. (2020). 2020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사업안내. 세종: 보건복지부.
  9. 서선희, 유은주, 김옥연. (2013). 배달 도시락 수혜노인의 '도시락 밥'에 대한 질적 연구.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46(6), 589-596. doi.org/10.4163/jnh.2013.46.6.589
  10. 서울시. (2019. 1.). 2019년 저소득 어르신 무료급식 운영계획.
  11. 서울시. (2020. 1.). 2020년 저소득 어르신 무료급식 운영계획.
  12. 석재은, 노혜진, 임정기. (2015). 좋은 돌봄의 필요조건과 저해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7(3), 203-225. doi.org/10.20970/kasw.2015.67.3.009009
  13. 양윤정. (2015). 한국 노인의 식품안정성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 영양섭취상태 및 정신건강 상태: 2008-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20(1), 30-40. doi.org/10.5720/kjcn.2015.20.1.30
  14. 이경은, 김기랑, 유창희, 정민재. (2017). 취약계층 어르신 맞춤 영양관리사업 모형 개발. 서울: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15. 이경은, 이나영, 박정연. (2009). 가정배달급식 수혜자의 위생지식 및 가정에서의 위생관리 습관. 한국식품영양과학지, 38(5), 618-625. doi.org/10.3746/kjfn.2009.38.5.618
  16. 이행신, 연미영, 박승주, 김도희, 이지연, 여윤재, 김이영. (2018). 서울시 먹거리 보장 구현을 위한 사회.경제적 취약계층 먹거리 실태 연구. 충남: 한국보건산업진흥원.
  17. 전미숙. (2015).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이용노인의 건강상태, 미래전망, 건강증진행위, 삶의 질의 관계 규명. 한국지역사회복지학, 54, 131-151. doi.org/10.15300/jcw.2015.54.3.131
  18. 전용호, 김춘남. (2016). 재가노인지원서비스의 필요성과 역할 정립에 관한 연구: 경기도의 이용자와 공급자의 관점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71(1), 275-304. doi.org/10.21194/kjgsw.71.1.201603.275
  19. 정경희, 오영희, 이윤경, 오미애, 강은나, 김경래, 황남희, 김세진, 이선희, 이석구, 홍송이. (2017). 2017년도 노인실태 조사.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 정은정, 심유진. (2007). 가정배달급식과 무료 회합급식 이용 노인의 건강 및 영양섭취상태 비교.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6(11), 1399-1408. https://doi.org/10.3746/JKFN.2007.36.11.1399
  21. 정순둘, 한경희, 박정숙. (2001). 사회복지관 무료급식서비스 이용 노인의 특성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47, 310-333.
  22. 조해림, 장혜자, 김정현. (2020). 거동불편한 취약계층 노인의 영양섭취상태 평가 무료급식 배달 서비스 대상자 중심으로.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9(5), 521-530. doi.org/10.3746/jkfn.2020.49.5.521
  23. 최영옥. (2019).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현황 및 발전방향. 예술인문사회 융햡 멀티미디어 논문지, 9(7), 845-854. doi.org/10.35873/ajmahs.2019.9.7.076
  24. 최혜지, 이미진, 전용호, 이민홍, 이은주. (2020). 노인복지론. 서울: 사회평론.
  25. 통계청. (2019). 장래인구추계. http://kosis.kr/search/search.do
  26. 황지윤, 김보경, 김기랑. (2014). 질적 연구를 통한 삶의 맥락적 관점에서의 노인의 도시락 및 밑반찬 배달 서비스에 대한 수용 태도 및 적응에 대한 이해.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19(5), 459-467. doi.org/10.5720/kjcn.2014.19.5.459
  27. Administration for Community Living(2014). Older Americans Act Nutrition Programs. DC: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Released from https://acl.gov/sites/default/files/news%202017-03/OAA-Nutrition_Programs_Fact_Sheet.pdf
  28. Ashour, FS. Wambogo, E. & Sahyoun, N. (2019). Diet quality of congregate and home-delivered meal recipients in the United States. Current Developments in Nutrition, 3(1), June 2019, nzz051.P04-076-19. doi.org/10.1093/cdn/nzz051.P04-076-19
  29. Bryman, A. (2004). Social Research Methods. London: Oxford Univ Press.
  30. Kontis, V. Bennett, JE, Mathers, C, Foreman, K. & Ezzati, M. (2017). Future life expectancy in 35 industrialised countries: projections with a Bayesian model ensemble, Lancet, 389, 1323-1335. doi.org/10.1016/S0140-6736(16)323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