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Self-Management Program and Its Measurement for the Elderly with Chronic Illness in the community

국내 지역사회 거주 만성질환 노인 대상 자기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및 측정도구에 대한 고찰

  • Shin, Ga-I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
  • Park, Hae Yea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Health Science, Yonsei University)
  • 신가인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
  • 박혜연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Received : 2019.11.03
  • Accepted : 2020.01.02
  • Published : 2020.05.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self-management programs and the measurement used for elderly people with chronic illness living in the community. Databases used for study search were Google Scholar, RISS, and Dbpia. And research questions were selected based on the PICO framework. We searched the study published from January 2010 to September 2019 and selected the final six studies by applying inclusion criteria and exclusion criteria. As a result, the selected study had qualitative level of Level 1-2. In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 nurses conducted the most programs, and the program was operated for 50 elderly people or less. In addition, the program was conducted mainly in public health centers, senior centers. The subjects were the most studies for chronic patients with hypertension. The dependent variables of the program covered the cognitive domains in all the studies, and many of the studies measured the physical domains as the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the effectiveness of self-management intervention for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s living in the community, and highlight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for chronic diseases in the community.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measuring tools related to various cognitive, physical, mental, social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and suggests the necessity of multidisciplinary research.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자기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및 사용하는 측정도구가 무엇인지 확인하는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문헌검색을 위해 사용된 데이터베이스는 Google Scholar, RISS, Dbpia였으며, PICO 기준틀을 기반으로 연구질문을 선정하였다. 2010년 1월부터 2019년 9월까지 발표된 문헌을 검색하여 포함기준과 배재기준을 적용하여 최종 6편의 문헌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선정된 문헌은 Level 1-2의 질적수준을 가지고 있었다. 프로그램의 일반적 특성에서는 간호사가 가장 많이 프로그램을 진행 하였으며, 프로그램은 노인 50명 이하를 대상으로 운영되었다. 또한, 주로 보건소와 노인정, 경로당에서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고혈압을 가진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한 문헌이 가장 많았으며, 프로그램의 종속변수는 모든 문헌에서 인지적 영역을 다루었고, 그 뒤로 신체적 영역을 종속변수로 측정한 문헌이 많았다. 본 연구결과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에게 자기관리에 대한 중재의 효과성을 제공하고, 지역사회에 만성질환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한다. 또한, 노인의 다양한 인지적,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삶의 질의 영역에 관련된 측정도구를 제시하며 다학제간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힌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2018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8S1A3A2074904)

References

  1. 강혜연, 구미옥. (2015). 노인 당뇨병 환자를 위한 동기강화상담 당뇨병 자기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45(4), 533-543. doi.org/10.4040/jkan.2015.45.4.533
  2. 고하나, 송미순. (2018). 노인복지관 당뇨병 자기관리프로그램의 과정과 평가: 실행연구방법. 한국노년학회, 38(1), 169-185.
  3. 김명숙, 송미순. (2015). 동사섭 훈련 적용 자기관리프로그램이 고혈압 노인의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자기관리행위 및 혈압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45(4), 576-586. doi.org/10.4040/jkan.2015.45.4.576
  4. 김혜숙. (2009).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민은실. (2011). 고혈압 환자의 지식, 건강신념 및 치료지시 이행. 을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박영임, 이강이, 김동옥, 엄동춘, 김지현. (2014). 지역사회 노인의 약물복용실태와 약물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5(3), 170-179. doi.org/10.12799/jkachn.2014.25.3.170
  7. 박초롱, 송미순, 조비룡, 임재영, 송욱, 장희경, 박연환. (2015). 만성질환 노인에서 임파워먼트 이론에 근거한 다학제적 자기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45(2), 192-201. doi.org/10.4040/jkan.2015.45.2.192
  8. 보건복지부 (2019). 지역사회 통합 돌봄(커뮤니티케어) 선도사업 추진계획. Retrieved from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47345&page=1
  9. 이종경. (2013). 지역사회 고혈압 노인의 약물 자기관리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43(2), 267-275. doi.org/10.4040/jkan.2013.43.2.267
  10. 장해련, 김현리. (2016). 농촌지역 고혈압노인을 위한 동기강화 자가관리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농촌의학.지역보건, 41(3), 152-161. doi.org/10.5393/JAMCH.2016.41.3.152
  11. 정경희. (2016). 노년기 거주 현황과 과제: 거주 실태의 다양성을 중심으로. 보건복지포럼, 239, 6-20.
  12. 통계청. (2018). 노인실태조사 : 노인의 만성질환(의사진단 기준) 개수. Retrieved from: http://kostat.go.kr/wnsearch/search.jsp
  13. 통계청. (2017). 만성질환 현황. Retrieved from: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438
  14. Arbesman, M., Scheer, J., & Lieberman, D. (2008). Using AOTA's critically appraised topic and critically appraised paper series to link evidence to practice. OT Practice Magazine, 13(5), 18-22.
  15. Bodenheimer, T., Wagner, E. H., & Grumbach, K. (2002). Improving primary care for patients with chronic illness. Jama, 288(14), 1775-1779. doi.org/10.1001/jama.288.14.1775
  16. Cochran, J., & Conn, V. S. (2008). Meta-analysis of quality of life outcomes following diabetes self-management training. The Diabetes Educator, 34(5), 815-823. doi.org/10.1177/0145721708323640
  17. De Vries, N. M., Van Ravensberg, C. D., Hobbelen, J. S. M., Rikkert, M. O., Staal, J. B., & Nijhuis-Van der Sanden, M. W. G. (2012). Effects of physical exercise therapy on mobility, physical functioning, physical activity and quality of life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with impaired mobility, physical disability and/or multi-morbidity: a meta-analysis. Ageing research reviews, 11(1), 136-149. doi.org/10.1016/j.arr.2011.11.002
  18. Khusid, M. A., & Vythilingam, M. (2016). The emerging role of mindfulness meditation as effective self-management strategy, part 2: clinical implications for chronic pain, substance misuse, and insomnia. Military medicine, 181(9), 969-975. doi.org/10.7205/MILMED-D-14-00678
  19. Norris, S. L., High, K., Gill, T. M., Hennessy, S., Kutner, J. S., Reuben, D. B., ... & Landefeld, C. S. (2008). Health care for older Americans with multiple chronic conditions: a research agenda.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6(1), 149-159. doi.org/10.1111/j.1532-5415.2007.01530.x
  20. Wilski, M., & Tasiemski, T. (2016). Illness perception, treatment beliefs, self-esteem, and self-efficacy as correlates of self-management in multiple sclerosis. Acta Neurologica Scandinavica, 133(5), 338-345. doi.org/10.1111/ane.124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