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Factors of Leisure Affecting Happiness of the Elderly by Sex in Korea

성별에 따른 노인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여가 요인 연구

  • Park, Chanje (Dept. of Social Welfa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박창제 (경북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Received : 2019.12.16
  • Accepted : 2020.01.09
  • Published : 2020.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leisure factors affect happiness of the elderly by sex in Korea and then to discuss implications for the findings. Data of National Leisure Activity Survey conducted by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in 2016 were used for this study. From this dataset, 891 male elderly and 970 female elderly aged above 65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Ordered logistic regression model was used by considering the nature of the dependent variabl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hoice proportions of leisure activities classified by four type are different by sex of the elderly. Second, among control variables, household income, residential area, joining a club have different significant effect on happiness of the elderly by sex but volunteering have same significant effect on happiness of the elderly by sex. Third, any type of leisure activity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happiness of both the male elderly and the female elderly. Fourth, cost of leisure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of both the male elderly and the female elderly but has different significance by sex. Fifth, focus on leisure rather than work has ver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of both the male elderly and the female elderly. Sixth, leisure life satisfaction has ver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of both the male elderly and the female elderly.

본 연구의 목적은 성별로 65세 이상 노인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여가 요인들이 무엇인지 분석한 다음, 이를 바탕으로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문화관광교육원이 2016년도에 조사한 「2016년 국민여가활동조사」 자료에서 65세 이상 남성 노인 891명, 여성 노인 970명, 총 1,861명을 추출하여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분석 방식은 순서형 로짓모형을 사용하여 회귀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4가지로 분류된 여가활동 유형 선택에서 남성 노인과 여성 노인이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통제변수 중 가계소득, 거주 지역, 동호회 참여는 노인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이 성별로 달랐고, 자원봉사활동은 노인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이 성별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여가활동 유형은 남성 노인과 여성 노인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여가비용이 남성 노인의 행복감에 아주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유의성이 높지는 않았지만, 여성 노인의 행복감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일보다는 여가에 집중하는 경우가 남성 노인과 여성 노인의 행복감 모두에 아주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여가생활만족도는 남성 노인과 여성 노인의 행복감 모두에 아주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은나, 김혜진, 김영선. (2017). 도시지역 1인가구 중고령자의 여가활동유형과 우울수준. 보건사회연구, 37(2), 184-215 doi.org/10.15709/hswr.2017.37.2.184
  2. 강은나. (2016). 경제활동참여 중고령자의 성별에 따른 여가유형과 여가만족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71(2), 111-137.
  3. 강희엽, 이철원, 이민석. (2017). 노인들의 진지한 여가, 스트레스 관련 성장 및 행복과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1(1), 1-14.
  4. 국민연금공단. (2018). 2017 국민연금 생생통계.
  5. 곽한병(2005). 여가문화론. 서울:대왕사.
  6. 김경. (2012). 인문.사회과학편: 수영참가 노인들의 사회적 지지, 여가만족, 심리적 행복감 및 참여행동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1(3), 53-62.
  7. 김외숙. (2016), 노인의 여가참여유형에 따른 생활만족도의 차이,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1), 23-42.
  8. 김종순, 오세숙. (2018). 일과 여가균형 정도에 따른 남성 베이비부머의 여가시간, 여가생활만족 및 행복수준의 차이. 여가학연구, 16(3), 37-51 https://doi.org/10.22879/SLOS.2018.16.3.37
  9. 김종표. (1999). 고령자의 여가.스포츠 참가 유형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38(4), 887-903.
  10. 김태현. (2007). 노년학. 서울: 교문사.
  11. 나항진. (2003). 서울지역 노인의 여가의식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22, 35-54
  12. 문화체육관광부. (2019). 2018 문화향수실태조사 결과. 보도자료. 2019/02/11.
  13. 문상정, 박상훈. (2018). 노인의 여가경험과 여가만족, 심리적 행복감, 죽음불안의 구조적 관계. Tourism Research, 43(4), 45-70 https://doi.org/10.32780/KTIDOI.2018.43.4.45
  14. 박기남. (2005). 성별.지역별 특성에 따른 노인의 삶의 만족도 연구. 여성연구, 69, 5-34
  15. 박재간. (1997). 노년기 여가생활의 실태와 정책과제. 노인복지정책연구, 2(2), 7-51
  16. 박창제. (2014). 베이비부머와 전(前고)베이비부머의 재무적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63, 309-335.
  17. 박창제. (2015). 고령자의 주요 사회활동참여활동 유형과 생활만족도의 관계. 사회보장연구, 31(2), 157-183.
  18. 박창제. (2017). 고령자의 재무적 노후준비 경향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1998년, 2002년, 2009년, 2015년의 비교. 사회복지정책, 44(3), 163-188. doi.org/10.15855/swp.2017.44.3.163
  19. 박창제, 신동호. (2018). 농어촌지역 고령자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 보건사회연구, 38(4), 98-128. doi.org/10.15709/hswr.2018.38.4.98
  20. 보건복지부. (2017). 빈곤의 덫에 빠진 고령층' 65세 이상 빈곤율, 사상 최고」기사에 대한 보도설명자료. http://www.mohw.go.kr/front_new/al/sal0301vw.jsp? PAR_MENU_ID= 04&MENU _ID =0404&CONT_SEQ=338144&page1 2017/1/17
  21. 사혜지, 이철원, 김민정. (2017). 노인들의 여가참여, 성공적 노화, 그리고 사회적 지지의 구조적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6(5), 511-521
  22. 석재은, 장은진. (2016). 여성독거노인과 남성독거노인의 관계자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71(2), 321-349.
  23. 안종철, 임왕규. (2014). 농촌노인의 사회활동 및 여가활동이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4), 189-210. https://doi.org/10.5392/JKCA.2014.14.04.189
  24. 오상훈, 임화순, 고미영. (2006). 현대여가론. 서울: 백산출판사
  25. 이봉진, 홍상욱. (2012). 노인의 여가활동이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동북아관광, 8(2), 139-156.
  26. 이현기. (2008). 노인여가활동의 성별차이와 관련요인 비교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18, 165-188
  27. 유소현, 박창제. (2018). 성별에 따른 고령자 생활만족도 결정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9(11), 244-252. doi.org/10.5762/KAIS.2018.19.11.244
  28. 윤소영. (2016). 고령화 시대 문화의 역할과 과제: 고령자를 중심으로.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9. 정경희, 오영희, 이윤경, 오미애, 강은나, 김경래 등. (2017). 2017년 노인실태조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0. 정경희, 오영희, 황남희, 권중돈 등. (2014). 노인단독가구의 생활현황과 정책과제.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1. 정순둘, 이현주, 최혜지, 김고은, 이소영. (2012). 한국 중산층 남성노인과 여성노인의 사회적 자본 경험과 의미. 노인복지연구, 57: 221-259
  32. 통계청. (2019a). 장래인구특별추계 2017~2067. 보도자료. 2019/03/28.
  33. 통계청. (2019b). 2019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 보도자료. 2019/07/23.
  34. 통계청. (2019c). 장래가구특별추계: 2017~2047년. 보도자료. 2019/07/23.
  35. 최창현, 곽미정(2015). 노인의 여가만족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 관하여 - 성별과 연령을 중심으로 - 연구자관계 분석 GRI 연구논총, 17(1), 133-156
  36. 황남희. (2014). 한국 노년층의 여가활동 유형화 및 영향요인 분석. 보건사회연구, 34(2), 37-69 https://doi.org/10.15709/HSWR.2014.34.2.37
  37. Calvo, E., Sarkinsian, N., & Tamborini, C.R. (2013). Causal effects of retirement timing on subjective physical and emotional health. Journal of Gerontology Series B: Social Sciences, 68B(1), 73-84. doi.org/10.1093/geronb/gbs097
  38. Diener, Ed, & Biswas-Diener. (2017). Happiness: unlocking the mysteries of psychological wealth, Hongkong: Blackwell Publishing
  39. Erik, V. I., & Koen, V. E. (2009). Leisure and social capital; an analysis of types of company and activities. Leisure Science, 31(2), 192-206. doi.org/10.1080/01490400802686078
  40. Fontenelle, S. M., & Zinkhan, G. M. (1993). Gender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leisure: a conceptual model.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20, 534-540
  41. Havighurst, R.J. (1963). "Successful aging", in R. Williams, C. Tibbitts and W. Donahoe(eds), Process of aging(pp.311-315).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2. Hillier, Susan M., & Barrow, Georgia M. (2011). Aging, the Individual, and Society, Belmont: Wadsworth.
  43. Jaumot-Pascual, N., Monteagudo, M. J., Kleiber, D. A., & Cuenca, J. (2016). Gender differences in meaningful leisure following major later life event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48(1), 83-103. doi.org/10.18666/jlr-2016-v48-i1-6244
  44. Iso-Ahola, S. E. (1980). The Social Psychology of Leisure and Recreation. W. C. Brown Company Publishers
  45. Jokela, M., Ferrie, J. E., Gimeno, D., Chandola, T., Shipley, M. J., Head, J. and Kinvimaki, M. (2010). From mild life to early old age: health trajectories associated with retirement, Epidemiology, 21, 284-290. doi.org/10.1097/EDE.0b013e3181d61f53
  46. Kaplan, R. I. (1960). The use of leisure. C. Tibbits(ed)., In Handbook of Social Gereontology,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7. Kelly, John R. (1982). Leisure, Englewood Cliffs: Prentice Hall.
  48. Kim, J., Yamada, N., Heo, J. & Han, A.(2014). Health benefit of serious involvement in leisure activities among older Korean Adults. Journal of Qualitative Studies on Health and Well-being, 9, 1-9. doi.org/10.3402/qhw.v9.24616
  49. Lee, J. H., Lee, J. H., Park, S. H. (2014).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as Predictor of Quality of Life in Korean Urban-dwelling Elderly. Occupational Therapy International, 21(3), 124-132. doi.org/10.1002/oti.1371
  50. Leung, G. T., Fung, A. W., Tam, C. W., Lui, V. W., Chiu, H. F., Chan, W. M., Lam, L. C.(2011). Examining the association between late life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and global cognitive decline in community dwelling elderly Chinese in Hong Kong.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6(1), 39-47. doi.org/10.1002/gps.2478
  51. Lietner, M.J. and Leitner, S.F. (1985). Leisure in Later Life. New York: The Haworth Press.
  52. Lymbomirsky, S. Shelson, K.M., & Schkade, D. (2005). Pursuing happiness: the architecture of sustainable change. Review of General psychological, 9(2), 111-131. doi.org/10.1037/1089-2680.9.2.111
  53. Matsunaga, T., Naito, M., Wakai, K., Ukawa, S., Zhao, W., Okabayashi, S., Ando, M., Kawamura, T. & Tamkoshi, A. (2017).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and risk of disability incidence: A 12-year prospective cohort study among young elderly of the same age at baseline. Journal of Epidemiology, 27(11-12), 538-545. doi.org/10.1016/j.je.2016.11.004
  54. Newman, D.B., Tay, L., & Diener, E.(2014). Leisure and Subjective Well-Being: A Model of Psychological Mechanisms as Mediating Factors. Jouranl of Happiness studies 15(3), 555-578 https://doi.org/10.1007/s10902-013-9435-x
  55. Nimrod, Galit. (2007). Retirees's leisure: activities, benefits, and their contribution to life satisfaction. Leisure Studies, 26(1), 65-80. doi.org/10.1080/02614360500333937
  56. Thin, Neilm. (2012). Social happiness: Theory into policy and practice, Bristol: The Policy Press.
  57. Zhang, Wei, Feng, Qiushi, Lacanienta, Joy, Zhen, Zhihong(2017). Leisure participa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Exploring gender differences among elderly in Shanghai, China.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67, 45-54. doi.org/10.1016/j.archger.2016.1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