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Koreans' Time Use and Satisfaction by Age and Region: Focusing on Lifestyle Types

한국인의 연령별 및 지역별 생활시간 사용과 만족도: 라이프스타일 유형을 중심으로

  • Yang, Min Ah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
  • Won, Kyung-A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
  • Park, Ji-Hyuk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Health Science, Yonsei University)
  • 양민아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 원경아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 박지혁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Received : 2019.11.13
  • Accepted : 2020.01.05
  • Published : 2020.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lifestyle types for Koreans' time use through the 2014 National Time Survey. In this 2014 national life time survey data, the required maintenance time, mandatory time, and free time presented in the triangle model were divided into three areas, and compared and analyzed by age and region. In this type of lifestyle, teenagers, people in their 20s and 50s were given reasonable life-seeking, people in their 30s and 40s were given achievement-seeking, and people in their 60s, 70s and 80s were given passive real-life seeking. The required maintenance time of each regional lifestyle activity was Jeonbuk, Ulsan, and Gangwon took up the most time during free time. The higher the age, th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of each age, th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of life, while the satisfaction level of each region was the highest in Daejeon and the lowest in Ulsan. The satisfaction level for each lifestyle type was higher, followed by rational life pursuit, achievement pursuit and passive reality. It seems that systematic research on lifestyle will be needed in future studies through the diversification of areas of tim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leisure characteristics, and type of lifestyle.

본 연구의 목적은 2014년 국민생활시간조사 자료를 통해 한국인의 연령별, 지역별 생활시간 사용형태에 대한 라이프스타일 유형을 규명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2014년 국민생활시간조사 자료 중 주 행동의 시간만을 사용하여 삼각형 모델에 제시된 필수유지시간, 의무시간, 자유시간 총 3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연령별 및 지역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연령별 라이프스타일 유형에서 10대, 20대, 50대는 합리적 생활추구형, 30대, 40대는 성취추구형, 60대, 70대, 80대 이상은 소극적 현실직시형을 차지하였다. 지역별 라이프스타일 활동 시간 중 필수유지시간은 전북, 의무시간은 울산, 자유시간에서는 강원이 가장 많은 시간을 차지하였다. 연령별 만족도는 연령이 높을수록 삶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고, 지역별 만족도는 대전이 삶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울산이 가장 낮았다.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삶에 대한 만족도는 합리적 생활추구형, 성취추구형, 소극적 현실직시형 순으로 만족도 점수가 높았다. 앞으로의 연구에서 생애주기별 접근과 여가의 특징에 따른 분류, 라이프스타일 유형 세분화를 통해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 또는 저서는 2018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8S1A3A2074904).

References

  1. 김경식, 이루지. (2011). 한국인의 여가활동과 여가만족 및 행복: 국가통계자료 이용.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11), 424-433. doi.org/10.5392/JKCA.2011.11.11.424
  2. 김용수. (2009). 여가참여 상태 유영화 연구 : 여가제약 요인과 여가촉진 요인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국제관광대학원 석사학위.
  3. 남외자. (2007). 한일간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여가활동 유형의 선택에 대한 비교연구. 관광연구, 21(4), 245-265.
  4. 설수영, 프란시스 로보. (2010). 강원도민의 건강, 스포츠, 여가시간에 대한 인식. 여가학연구, 7(3): 45-71 https://doi.org/10.22879/SLOS.2010.7.3.45
  5. 안정옥. (2010). 시간의 탈구와 일상의 비참: 울산 자동차 노동자의 사례. 사회와 역사 (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88, 345-386.
  6. 양영순. (Young Soon Yang).(2007). 고령화사회에서 노인의 시간사용과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160(): 1-26
  7. 유소이, 최윤지. (2002). 성인남녀의 생활시간 실태 및 결정요인 분석.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3(3), 53-68.
  8. 이신숙. (2011). 은퇴한 노인의 생활시간 사용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6(2), 35-58.
  9. 이중섭. (2012). 전라북도 노인생활실태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전북발전연구원.
  10. 전병진. (2011). 노인의 생활시간 사용과 작업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전지원. (2017). 시간균형 관점에서 본 한국인의 잠: 다국적시간연구 (MTUS) 자료를 활용한 생애주기별 수면시간 국제 비교 연구. 통계연구, 22(2), 26-52. https://doi.org/10.22886/JKOS.2017.22.2.26
  12. 정순둘, 성민현. (2012). 연령집단별 사회적 자본과 삶의 만족도 관계비교. 보건사회연구, 32(4), 249-272. https://doi.org/10.15709/HSWR.2012.32.4.249
  13. 최숙희. (2009). 여가활동 유형과 정책과제: 연령과 가구소득 중심으로. 여성경제연구, 6(2), 111-128.
  14. 통계청. (2018). 한국의 사회동향 2018.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1/index.board?bmode=read&aSeq=372006
  15. 통계청. (2019). 생활시간조사. http://kostat.go.kr/assist/synap/preview/skin/doc.html?fn=synapview376004_2&rs=/assist/synap/preview
  16. Helliwell, J. F., Layard, R., & Sachs, J. (2018). World Happiness Report, The UN Sustainable Development Solutions Network.
  17. Edgelow, M., & Krupa, T. (2011). Randomized controlled pilot study of an occupational time-use intervention for people with serious mental illnes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5(3), 267-276. doi.org/10.5014/ajot.2011.001313
  18. Uniform Terminology for Occupational Therapy - Third Edition. Am J Occup Ther 1994;48(11):1047-1054. doi.org/10.5014/ajot.48.11.1047.
  19. Christiansen, C. H., &Matuska, K. M. (2006). Lifestyle balance: A review of concepts and research. Journal of Occupational Science, 13(1), 49-61. doi.org/10.1080/14427591.2006.9686570
  20. Fidler, G. S. (1996). Life-style performance: From profile to conceptual model.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0(2), 139-147. doi.org/10.5014/ajot.50.2.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