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hanges of Mathematical Textbooks System in Korean Elementary Schools - Focusing on textbooks after the 7th curriculum-

한국 초등학교의 수학 교과서 체제 변천에 관한 연구 -7차 교육과정 이후 교과서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20.01.20
  • Accepted : 2020.02.07
  • Published : 2020.02.28

Abstract

South Korea places the core of public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 and textbooks are compiled based on curriculum announced by the Education Ministry. Therefore, the compilation of high-quality textbooks is very important and requires more than just revising the curriculum. Korea had been working on developing textbooks several times, but it has been evaluated as a uniform textbook in terms of external system and editing design compared to advanced foreign textbooks. This can be said to be the result of the based to only the textbook's internal system, which should be dealt with in the textbook when compiling the textbook. The textbooks which were developed at seventh curriculum were made remarkable changes in the history of South Korea textbooks. In this study, we want to examine the nation's state-authored textbooks, from the seventh textbook to the current textbook in 2015 by order of magnitude and to give a careful look at what aspects of the changes are being made. To this end, the composition of textbooks is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external and internal systems. The external system of textbooks focuses on changes in plate form, shape, lipid, color, and illustration, while the internal system focuses on changes in the composition system of the unit, the composition system of the contents by lesson, and the style of question. As a result, we led to a significant conclusion on the changes in textbooks.

우리나라는 교육의 핵심을 공교육인 학교 교육에 두고 있으며 교육부가 고시한 교육과정을 토대로 교과서가 편찬되고 있다. 따라서 질 높은 교과서의 편찬은 매우 중요하며 교육과정을 개정하는 일 이상의 정성과 노력이 요구된다. 우리나라도 그 동안 여러 차례 교과서 개발에 힘써왔으나 선진 외국 교과서와 비교해 볼 때 외적 체제나 편집 디자인 면에서 획일적인 교과서라는 평가를 받아왔다. 이는 교과서를 편찬할 때 교과서에서 다루어야 하는 내용인 교과서의 내적 체제에만 편중된 결과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과서 역사상 괄목할만한 변화가 있었던 7차 교과서에서부터 2015 현행 교과서에 이르기까지의 우리나라 국정 교과서를 차수별로 살펴보고, 어떠한 변화의 양상을 보이는가에 대해 의미있는 고찰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교과서의 구성 체제를 외적 체제와 내적 체제로 나누어 분석한다. 교과서의 외적 체제는 판형, 자형, 지질, 색상의 변화와 삽화 분량의 변화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내적 체제는 단원의 구성 체제와 차시의 구성 체제의 변화 및 발문 방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교과서의 변화 양상에 대한 유의미한 결론을 도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신포, 김성준, 임은희 (2005). 초등수학 교과서 삽화 분석 연구 - 2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8(2). 183-201.
  2. 교육과학기술부 (2010a). 수학 3-1. 서울: (주)두산동아.
  3. 교육과학기술부 (2010b). 수학 3-1 교사용지도서 . (주)두산동아.
  4. 교육부 (1997).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 [별책8].
  5. 교육부 (2014a). 수학 3-1. 서울: (주)천재교육
  6. 교육부 (2014b). 수학 3-1 교사용지도서. 서울: (주)천재교육.
  7. 교육부 (2018a). 수학 3-1. 서울: (주)천재교육.
  8. 교육부 (2018b). 수학 3-1 교사용지도서. 서울: (주)천재교육.
  9. 교육인적자원부 (2001a). 수학 3-가. 서울: (주)천재교육.
  10. 교육인적자원부 (2001b). 수학 3-가 교사용지도서. 서울: (주)천재교육.
  11. 교육인적자원부 (2007). 초등학교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 [별책2].
  12. 김은미, 임문규 (2007). 한국과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교과서 비교 연구 - 5, 6학년 수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1(1). 61-80.
  13. 김판수, 임미인, 장혜원 (2017)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구성 체제 비교 및 교사 선호도 조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1(2). 263-289.
  14. 노명완, 정혜승, 윤준채, 박정진, 김종윤, 오택환 (2004). 교과용 도서 내적체제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교과서연구재단.
  15. 백명진, 최종길, 강환동, 최화봉 (1998). 교과서 외적 체제 개선에 한 연구. 한국교과서연구재단.
  16. 정지혜 (2010). 해방 이후 중․고등학교 일본어 교과서 변천 연구 - 교과서의 외적 체제 변화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정유경 (2018) 한국과 베트남 초등 수학교과서의 비교 분석 - 평면도형과 넓이 측정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2(4). 517-538.
  18. 이용숙 (2002). 교과서 내용 구성 및 체제 개선의 방향성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부설열린교육연구소.
  19. 이재춘, 김선유, 강홍재 (2009). 한국과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교과서 비교 연구 -4학년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3(1). 1-15.
  20. 이춘식 (2007). 실과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목공 단원의 교과서 개발 방향. 실과교육연구, 13(3). 253-269.
  21. 허강, 이종국, 현영호, 정민택, 강환동, 조성준 (2005). 교육과정 수시 개정에 따른 교과서 외적 체제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교과서연구재단.
  22. 외형체제(한국검인정교과서협회) http://www.ktbook.com/info/info_04.asp 2019년 11월 접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