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ildren's daily Hanbok design using the patterns in the Armita Buddhist paintings and Avalokitesvara of the Goryeo period of Korea

고려 아미타불 및 관세음보살도에 나타난 문양을 응용한 아동 생활한복 디자인

  • Jang, Hyun-Joo (Dept. of Fashion & Textiles, Jeju National University) ;
  • Ko, Soon-Hee (Dept. of Clothing & Textiles, Jeju National University)
  • 장현주 (제주대학교 패션의류학과) ;
  • 고순희 (제주대학교 패션의류학과)
  • Received : 2020.03.31
  • Accepted : 2020.06.13
  • Published : 2020.06.30

Abstract

In this study, the pattern of texture was developed by applying the pattern shown in the Amita Yeoraebul and the Avalokitesvara with symbolism suitable for children's clothing. In addition, the design and the manufacturing of a children's wearable Hanbok were attempt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Amitha Yeoraebul is a Buddha who oversees paradise in Buddhism, and Avalokitesvara controls both paradise and the real world and provides mercy. Applying the various patterns in the Buddhist paintings, four daily hanboks for children were produced using patterns featuring symbolic the meanings of large round original patterns chrysanthemums, turtles, and lotus patterns. The lotus symbol represents love, nobility, and wealth, while the turtle symbol represents longevity, the chrysanthemum pattern symbolizes auspiciousness, and the large round original pattern means a constant continuation. To maintain the traditional hanbok form but allow convenient wear it in daily life, it is made in the jeogori + shorts, vest + long pants, and one-piece + jacket style. Currently, the daily dress of Hanbok and the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Korean clothes are being promoted. At this point, the study developed Hanbok fashion products that contain symbolic stories suitable for children are trying to maintain the image of traditional culture as much as possible.

Keywords

References

  1. 강우방. (2007). 한국미술의 탄생. 서울: 솔출판사.
  2. 강순제. (2015). 한국복식사전. 서울: 민속원.
  3. 고승희. (2017). 한국의 불화문양. 경기: 지식산업사.
  4. 고승희. (2000). 고려불화의 문양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고순희, 장현주. (2015). 한국 전통 나비매듭을 응용한 텍스타일 및 어린이 원복 디자인 개발.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7(1), 83-92.
  6. 김혜진, 홍나영. (2015). 만 3-6세 유아의 성장을 고려한 한복 디자인 제안. 한복문화, 18(3), 95-111.
  7. 김민지, 김순영. (2019). 후백제 기와문양을 응용한 영유아 생활한복 디자인 개발. 복식, 69(1), 91-108.
  8. 김신혜, 김은정. (2018). 십이지(十二支) 동물을 활용한 생활한복 스타일의 유치원복 디자인 개발. 한복문화, 21(3), 81-95.
  9. 김정희, (2009). 불화: 찬란한 불교 미술의 세계(테마 한국 문화사 07). 서울: 돌베개.
  10. 문화관광부. (2001). 우리 옷 이천년. 서울: 미술문화.
  11. 배리듬, 윤은영, 김은정. (2016). 한국 전통 복식조형미를 응용한 국내 유치원 졸업예복 디자인개발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 19(1). 107-118.
  12. 심연옥. (2010). 고려불화에 표현된 복식문양 연구. 한복문화, 13(2), 128.
  13. 이명숙. (2012). 한국공예품에 표현된 봉황문양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4(1), 179.
  14. 이미경. (2001). 고려불화에 나타난 연화문양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이주원, 이병화. (2011). 온라인 시장분석을 통한 아동 한복 확대 방안 연구. 한복문화, 14(2), 61-74.
  16. 임영주. (1983). 韓國紋樣史: 韓國美術 樣式의 흐름. 서울: 미진사.
  17. 임영주. (1998). 한국전통 문양 2. 장생.오복.사랑의 상징문양. 서울: 예원.
  18. 위혜주. (2004). 고려불화법의에 표현된 장식문양.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자현. (2017). 불화의 비밀. 서울: 조계종출판사.
  20. 장현주. (2016). 고구려 고분벽화의 별자리를 응용한 유아동 신한복 디자인 개발. 한복문화, 19(4), 59-76.
  21. 장현주, 고순희. (2013). 효제문자도의 효자도(孝字圖)를 응용한 텍스타일 및 어린이 원복 디자인 개발. 한국디자인포럼, 41, 311-320.
  22. 장현주, 김소희. (2017). 고구려 고분벽화의 해.달문양을 응용한 유.아동 신한복 디자인 개발. 한복문화, 20(3), 23-34.
  23. 절강대학. (2018). 고려화전집 1 구미장품권. 중국: 절강대학출판사.
  24. 정수진. (2015). 유치원복 디자인의 색채 선호감성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1(3), 621-632.
  25. 전성연. (2018). 천연염색 소재를 이용한 유치원복디자인 개발 I.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4(3), 523-532.
  26. 최진, 도월희, 김은정. (2019). 유아동 한복치수 체계에 관한 연구; 0세-12세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생활과학 연구소, 29(1), 89-102.
  27. 한국 지식백과 미의 재발견 용어모음. 자료검색일 2019. 12. 5, 자료출처 http://www.terms.naver.com
  28. 한국의 미 7. (1994). 고려불화. 서울: 중앙일보사.
  29. 허균. (2002). 전통문양. 서울: 대원사.
  30. 허선영. (2008). 고대 한.중 인동당초문양 명칭과 형태의 재고. 동아시아고대학, 18, 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