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Space Composition in Special Schools - Based on public schools established and planned after 2013 -

특수학교 공간구성 현황에 관한 연구 - 2013년 이후 설립 및 예정 공립학교를 중심으로 -

  • 김성룡 (국립한경대학교 디자인건축융합학부)
  • Received : 2020.05.28
  • Accepted : 2020.06.30
  • Published : 2020.06.30

Abstract

Since the 5th Five-Year Plan for the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in 2013, special schools have been trying to improve facility standards to advance special education suppor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urrent status of the spatial composition of facilities for public special schools that will be established and planned after 2013, and analyze the differences from the existing school spatial composition to determine the space composition ratio and details required for the establishment of special schools in the futur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total area of facilities of special schools established after 2013 increased by an average of 1,822.1㎡ (about 16%). Through actual drawing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both the dedicated area and the public area had increased. The cause of the increase in the public area was confirmed to be an increase in hallway width and ramps, halls, and toilet between classrooms, and the reason for the increase in the dedicated area was that the newly installed 'Learning Support Space' had an average of 20 additional rooms installed per school.

2013년 제4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 이후 특수학교는 특수교육지원 고도화를 위해 시설·설비 기준의 개선을 도모하여 왔다. 본 연구는 특수학교 시설·설비 기준을 적용한 2013년 이후에 설립 및 예정인 공립 특수학교를 대상으로 시설의 공간구성 현황을 파악하고, 기존의 학교 공간구성과의 차이를 분석하여, 향후 특수학교 신설시 필요한 공간구성비율 및 내역을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2019년 현재까지 설립 및 개교예정 국공립학교 85개 학교를 대상으로 시설의 공간구성 자료와 2013년 이후 설립 또는 예정인 25개교 학교별 공간구성 내역(스페이스 프로그램)을 수집,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로 2013년 이후에 설립된 특수학교의 시설 연면적이 평균 1,822.1㎡(약 16%) 증가하였는데, 실제 도면분석을 통해보면, 전용면적과 공용면적이 모두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공용면적의 증가는 복도 폭 및 경사로, 홀, 교실간화장실 등의 증가가 원인임을 확인 할 수 있었고, 전용면적의 증가는 신설된 학습지원 공간(전공과 관련공간, 직업관련군, 치료관련군, 장애지원, 편의공간 등)이 학교당 평균 20개실 공간이 추가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조진일, 특수학교 시설기준 마련을 위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1
  2. 교육부 특수교육정책과, 제4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13-'17), 2013.8
  3. 강병근, 성기창, 박광재, 김은경, 국내.외 실태분석을 통한 특수학교 건축계획 방향,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23 n.11, 2007.11
  4. 오형석, 최병관, 특수학교의 진로.직업교육 공간계획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논문집, Vol. 17 n.05, 2015.10
  5. 조찬묵, 학교신설비 예산지원 기준 마련 - 교부면적 및 교부 단가 -, 한국교육개발원,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