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경훈, 김성현, 김상현, 김정균, 성낙주, 이수정, 정미자. 김치 저장 중 N-nitrosodimethylamine 생성에 젓갈의 함량과 종류의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5: 1302-1309 (2016) https://doi.org/10.3746/jkfn.2016.45.9.1302
- 강경훈, 김성현, 김상현, 김정균, 성낙주, 임희경, 정미자. 국내 유통 김치 중 N-nitrosodimethylamine과 그 전구물질의 함량 분석 및 안전성 평가.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6: 244-250 (2017) https://doi.org/10.3746/jkfn.2017.46.2.244
- 고영태, 황자경, 백인희. 젓갈 첨가가 김치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지 36: 123-128 (2004)
- 구경형, 조진숙, 박완수, 남영중. 솔비톨 및 당류 첨가가 김치발효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지 31: 794-801 (1999)
- 김남일. 자외선과 오존을 이용한 비열 식품살균시스템 개발. 석사논문, 경원대학교, 경기도 성남시. (2009)
- 김다미, 김경희. 소금의 종류와 침지 농도에 따른 배추김치의 유산균의 생육과 품질특성.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9: 286-297 (2014) https://doi.org/10.7318/KJFC/2014.29.3.286
- 김용휘, 권태은. Part 02 김치산업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젓갈의 현대화. WiKim 2019-03. pp. 45-75. 2019 김치산업론. 세계김치연구소, 광주광역시 (2019)
- 김준환, 장영상, 신효선. 김치숙성 중 숙성온도, pH 및 소금농도가 니트로스아민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13: 332-336 (1998)
- 김준환, 신효선. 김치 숙성 중 니트로스아민의 생성에 대한 주원료 및 젓갈의 영향. 식품위생학회지 12: 333-339 (1997)
- 김지희, 박건영, 최혜선, 양지영. 시중 절임배추의 품질평가.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3: 659-663 (2010)
- 문성원, 신현경, 지근억. 자일리톨과 자몽씨추출물이 배추김치의 관능성과 발효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지 35(2): 246-253 (2003)
- 박건영, 최홍식. 김치와 니트로소아민.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1: 109-116 (1992)
- 박경숙. 고춧가루 오염 미생물의 제어에서 방사선종별 조사 효과. 방사선학회학술지 8: 1-5 (2015)
- 박덕천, 김은미, 김은진, 김영명, 김선봉. 젓갈 및 젓갈대용 부재료 첨가 김치의 유기산 및 핵산관련 물질의 함량. 한국식품과학회지 35: 769-776 (2003)
- 박동민, 이정민, 이경희, 백인현. 김치종균 보급 및 확산 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세계김치연구소 용역보고서. 특허법인 남촌 (2018)
- 박민경, 인만진, 정영철. 프락토올리고당과 클로렐라가 김치숙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향과학회지 31(5): 760-764 (2002)
- 박성훈, 정선화. 2018년도 김치산업동향. WiKim 2019-04. 세계김치연구소, 광주광역시 (2019)
- 박성희, 민승기. Part 05 김치제조용 당류의 제안. WiKim 2019-03. pp. 147-167. 2019 김치산업론. 세계김치연구소, 광주광역시 (2019)
- 박완수. 김치산업의 현황과 전망. 한국미생물학회 미생물과 산업지 23(2): 2-12 (1997)
- 식품의약품안전처. 13. 절임류 또는 조림류. 식품의 기준 및 규격.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20-40호. p. 194 (2020)
- 신상운, 김영숙, 김양희, 김한택, 엄경숙, 홍세라, 강효정, 박광희, 윤미혜. 젓갈류 및 배추김치에서의 바이오제닉 아민류 함량조사 연구. 한국수산과학회지 52: 13-18 (2019) https://doi.org/10.5657/kfas.2019.0013
- 안영훈. 시판 고춧가루의 품질특성 및 저장 중 주요 성분 변화에 관한 연구. 석사 학위논문, 한경대학교 산업대학원. (2002)
- 오픈서베이. 식품사가 알아야 할 대한민국 푸드 트렌드 (2019)
- 이귀주, 한정하. 전분질 첨가 김치의 숙성중 물리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의 변화. 한국조리과학회지 14: 195-200 (1998)
- 이영숙. 백련초 추출 첨가 배추김치의 저장성 증진 및 품질평가. 박사학위 논문, 전북대학교, 전라북도 전주시. (2019)
- 이예영, 김유나, 유성은, 김관수, 안동환. 가구유형에 따른 한식 소비형태 분석. 동아시아 식생활학회지. 28(6): 453-462 (2018)
- 이정상, 양성희. Part 06 트렌드변화에 대응하는 미래김치 연구. WiKim 2019-03. pp. 171-195. 2019 김치산업론. 세계김치연구소, 광주광역시 (2019)
- 임현숙, 전현주. Part 04 고춧가루의 위생적인 품질관리. WiKim 2019-03. pp. 113-143. 2019 김치산업론. 세계김치연구소, 광주광역시 (2019)
- 장심교. 김치, '건강기능식품'으로 변신. 식품음료신문, http://www.thinkkfood.co.kr/news/articlesView.html?idxno=44044 (2011)
- 장지윤. Part 01 종균 적용에 따른 김치발효 패러다임의 변화. WiKim 2019-03. pp. 21-41. 2019 김치산업론. 세계김치연구소, 광주광역시 (2019)
- 정진주. 적외선 살균이 고춧가루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업대학원. (2011)
- 최선아, 안성은, 정희경, 이서현, 문광호, 김중법. 시중 유통 중인 젓갈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평가.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25: 270-278 (2018) https://doi.org/10.11002/kjfp.2018.25.2.270
- 함선옥, 경민숙. Part 03. 소금의 위생.안전. WiKim 2019-03. pp. 79-109. 2019 김치산업론. 세계김치연구소, 광주광역시 (2019)
- Cho JH, Lee DY, Yang CN, Jeon JG, Kim JH, Han HU. Microbial population dynamics of Kimchi, a fermented cabbage product. FEMS Microbiol. Lett. 257: 262-267 (2006) https://doi.org/10.1111/j.1574-6968.2006.00186.x
- Choi IK, Jung SH, Kim BJ, Park SY, Kim J, Han HU. Novel Leuconostoc citreum culture system for the fermentation of kimchi, a fermented cabbage product. Antonie Van Leeuwenhoek 84: 247-253 (2003) https://doi.org/10.1023/A:1026050410724
- Jeong SH, Lee SH, Jung JY, Choi EJ, Jeon CO. Microbial succession and metabolite] changes during long-term storage of Kimchi. J. Food Sci. 78: M763-M769 (2013) https://doi.org/10.1111/1750-3841.12095
- Jung MY, Kim TW, Lee CS, Kim JY, So HS, Kim YB, Ahn SW, Kim JS, Roh SW, Lee MJ, Cho KH, Lee JH. Application of 16S rDNA PCR-RELP analysis for the rapid identification of Weiddella specie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8: 455-460 (2010)
- Kim B. Mun EG, Kim D, Park Y, Lee HJ, Cha YS. A survey for research papers on the health benefits of kimchi and kimchi lactic acid bacteria. J. Nutr. Health 51: 1-13 (2018) https://doi.org/10.4163/jnh.2018.51.1.1
- Kim JE, Lee DU, Min SC. Microbial decontamination of red pepper powder by cold plasma. Food Microbiol. 38: 128-136 (2014) https://doi.org/10.1016/j.fm.2013.08.019
- Lee JS, Heo GY. Lee JW, Oh YJ, Park JA, Park YH, Pyun YR, Ahn JS. Analysis of kimchi microflora using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Int. J. Food Microbiol. 102: 143-150 (2005) https://doi.org/10.1016/j.ijfoodmicro.2004.12.010
- Lee SH. Role of jeotgal, a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ish sauce, in microbial dynamics and metabolite profiles during kimchi fermentation. Food Chemistry 165: 135-143 (2018)
- Mheen TI, Kwon TW.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443-450 (1984)
- Noh BS, Seo HY, Park WS, Oh SS. Chapter 19. Safety of Kimchi. pp. 369-394, In: Regulating safety of traditional and ethnic foods. edited by Prakash V, Martin-Belloso O, Keener L, Astley S, Braun S, Mcmahon H, Leieveld H. Acamemic Press. New York. (2016)
- Park WS. Kimchi industry in Korea. Korea AgraFood. The Korea Agriculture Food Monthly Magazine 2: 13-15 (1996)
- Park WS. Present status of kimchi industry in Korea and its prospect, in Proceedings of the 7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Vegetable Quality, pp.10-15, Korea.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and International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Oct. 27-30, Seoul, Korea. (1997)
- Raymond J. World's healthiest foods : Kimchi (Korea). Health [Internet]. Tampa: Health Media Ventures, Inc. (2006)
- Shin DH, Jo EJ, Hong JS. Chemical composition of imported table salts and kimchi preparation test. Korean J. Food Hyg. Safety 14: 277-281 (1999)
- Shin DH, Kim YM, Park WS, Kim JH. 11. Ethnic fermented foods and alcoholic beverages of Korea. pp. 263-308. In: Ethnic fermented foods and alcoholic beverages of Asia. Tamang JP ed. Springer, India. (2016)
- Washington Post. To promote kimchi abroad, Korean scientists are trying to get rid of the smell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