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동북아 발효문화의 기원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origin of fermentation culture in Northeast Asia

  • 투고 : 2020.03.19
  • 심사 : 2020.04.14
  • 발행 : 2020.06.30

초록

Northeast Asia comprises many characteristic cultural areas including China, Mongolia, Korea and Japan. These areas have their own traditional food cultures, and Korea is known as the home of fermented foods in this region. The origin of Northeast Asian fermented foods, cereal alcoholic beverages, fermented vegetables(kimchi), fermented fish and fermented soybean products were investigated in relation to the primitive earthen vessels developed in this region. The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background of the appearance of primitive pottery culture in the Korea Strait region, and its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fermentation technology in Northeast Asia were reviewed focusing on Korean dietary culture.

키워드

참고문헌

  1. Barnes GL, China, Korea and Japan, The Rise of Civilization in East Asia, Thames and Hudson (1993)
  2. Committee for the establishment of a Korean soybean museum (CEKSM). Soybean storytelling, Sikanyeon (2017)
  3. Lee CH, Kim ML. History of fermented foods. pp. 1-16. In Northeast Asia, Ethnic Fermented Foods and Alcoholic Beverages of Asia, Tamang JP (ed). Springer India (2016)
  4. Lee CH. Fermentation Technology in Korea, Korea University Press (2001)
  5. Lee CH. Importance of lactic acid bacteria in non-dairy food fermentation. pp. 8-25. In Lactic Acid Fermentation of Non-dairy Food and Beverages. Lee CH, Adler-Nissen J, Barwald G (ed). Han Lim Won (1994)
  6. Lee CH. Food biotechnology. pp. 85-114. In Food Science and Technology. Campbell-Platt G (ed). Wiley-Blackwell, Oxford, U.K. (2009)
  7. Lee CH. Korean Foods-History, Culture and Characteristics. pp.1-21. In Korean Functional Foods, Composition, Processing and Health Benefits. Park KY, Kwon DY, Lee KW, Park SM (ed). CRC Press (2018)
  8. 권신한. 대두의 기원. 한국콩연구회지(2): 4-8 (1985)
  9. 박태식, 이영호, 포항 원동 3지구(IV 구역) 청동기시대 주거지 출토 탄화곡물 분석. 한국문화재재단 문화재조사연구단 발간보고서 pp. 282 (2003)
  10. 박희현. 동물상과 식물상. 한국사론; 한국의 고고학 I (12권). 국사편찬위원회 (1983)
  11. 손보기. 석장리의 전기.중기구석기 문화층. 한국사 연구(7): (1972)
  12. 신숙정. 토기의 성분분석. pp. 592-614. 한국사론; 한국의 고고학 II (13권). 국사편찬위원회 (1983)
  13. 신숙정. 상노대도 조갯더미 유적의 토기연구. 백산학보(28): 212-271 (1984)
  14. 신용하. 고조선문명의 사회사. 지식산업사 (2018)
  15. 윤내현. 고조선연구 상.하. 만권당 (2015)
  16. 음식고고연구회. 취사실험의 고고학. 서경문화사 (2011)
  17. 이성우, 한국식품사회사. 교문사 (1984a)
  18. 이성우. 한국식품문화사. 교문사 (1984b)
  19. 이성우. 고대 동아시아속의 두장에 관한 발상과 교류에 관한 연구. 한국식문화학회지 5(3): 313-316 (1990)
  20. 이철호. 한반도와 동북아시아의 구석기 시대 식생활 환경. 민족문화연구(31): 415-458 (1998)
  21. 이철호. 동북아시아 원시토기문화 시대의 특징과 식품사적 중요성. 민족문화연구(32): 325-357 (1999)
  22. 이철호. 한국음식의 역사. 자유아카데미 (2017)
  23. 이철호, 권태완. 한국식품학입문.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3)
  24. 이철호, 권태완. 콩의 이용 역사. pp. 3-44. 콩.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5)
  25. 조현종. 선사 고대 유적 중의 콩. pp. 45-80. 콩,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5)
  26. 한병삼. 토기와 청동기.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4)
  27. 한영희. 지역적 비교. pp. 479-521. 한국사론; 한국의 고고학 I (12권). 국사편찬위원회 (1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