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직업을 선택할 때 직업에 대한 이미지는 사람들이 가지는 인상, 신념, 태도를 형성하며(Ko, 1994), 어떤 직업이든 긍정적인 이미지 확립은 중요하다. 특히 고등학생들은 직업에 대하여 경험을 해보지 않고 주위 사람들의 권유와 알려진 정보로 진로를 결정한다. 이에 직업에 대한 이미지는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치과위생사는 구강보건 향상을 위하여 노력하는 전문적인 자격을 가진 인력으로 구강보건교육, 예방치과처치, 진료보조의 업무를 주로 담당한다(Kang 등, 2014). 또한 상담기술, 대인관계기술, 경영관리 업무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어(Choi, 2001) 치과위생사의 업무와 역할이 더욱 중요 시 되고 있다. 이처럼 치과위생사의 역할은 치과 진료와 서비스에 영향을 끼치고 치과 병·의원의 이미지 형성 및 치위생직의 이미지 확립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미지는 객관적이기보다는 개인적인 생각이나 신념의 주관적인 요소이다. 치과위생사의 좋은 이미지는 전문직으로서 직무만족도를 높이고, 환자만족도를 높이게 되는 반면 나쁜 이미지는 치과의료서비스의 질 저하와 함께 치위생과를 지원하고자 하는 수요가 줄어들어 인력 부족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치과위생사 제도가 우리나라에 도입된 지 40년이 지났고, 매년 많은 수의 치과위생사가 배출되고 있지만, 학문적 발전과 전문직으로서 위상, 그리고 치과위생사의 직업에 대한 인식도는 많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치과위생사 국가시험 면허취득자는 2019년(제 47회) 4,890명, 2018년(제46회) 4,510명, 2017년(제45회) 4,710명으로 많은 치과 위생사가 배출되고 있다(Korea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Institude, 2020). 그러나 취업 현황은 면허취득자의 절반 정도이고, 활동하고 있는 치과의사와 치과위생사의 비는 1:1 정도로 나타난다는 보고에 따라(Kim, 2013) 최근 치과 병·의원에서 인력 부족에 대한 어려움은 여전히 남아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려면 내원 환자와 치과위생사, 치위생과 학생들의 이미지도 중요하지만 직업 선택을 고려하는 고등학생 때부터 치과위생사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여 긍정적 이미지를 확립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치과위생사의 이미지에 대한 선행연구는 치위생과 학생(Hwang과 Lee, 2003), 병원종사자(Yoon 등, 2010) 등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많으나, 고등학생 대상으로 조사한 연구는 거의 없다. 이에 부산지역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치과위생사에 대한 이미지와 치위생과를 선택할 진로 고려의사를 파악하여 치과위생사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이미지를 확립하여 치위생직을 선택하는 데 있어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측정도구
본 연구는 2017년 8월부터 9월까지 부산지역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고등학교 1학년, 2학년,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선정하였으며, 총 325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기기입식에 의해 응답하게 한 후 총 318부(97.9 %)를 회수하였다. 이 중 불성실한 21부를 제외한 297부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설문 작성에 동의한 자에 한해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치과위생사의 이미지는 Cho(2000)의 연구에 사용된 문항 중 본 연구에 타당한 문항을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Likert 5점 척도를 사용하였고, 점수가 높을수록 치과위생사의 인식도가 긍정적인 것을 의미한다. 다른 직종과 비교되는 외관적 이미지를 측정하기 위한 직업적 이미지 7문항, 치과에서 실제로 수행하는 치과위생사의 구체적 의료서비스에 대한 이미지 측정을 위한 업무적 이미지 7문항, 개인적으로 경험하는 치과위생사의 외향적 태도나 성격에 대한 이미지 측정을 위한 개인적 이미지 6문항, 사회에서 비춰지는 치과위생사의 이미지 측정을 위한 사회적 이미지 6문항으로 총 26문항이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도구의 신뢰도는 직업적 이미지 Cronbach’s α=0.80, 업무적 이미지 Cronbach’s α=0.64, 개인적 이미지 Cronbach’s α=0.83, 사회적 이미지 Cronbach’s α =0.62였다.
2. 자료분석
자료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ver 24.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치과위생사의 이미지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과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과위생사의 이미지와 진로선택 관련 특성에 따른 치과위생사의 이미지와의 그룹 간 차이 비교는 independent sample t-test와 one-way ANOVA로 분석하였다. 치과위생사의 이미지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Ⅲ. 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Table 1). 고등학교 1학년이 89명(30.0 %), 2학년이 106명(35.7 %), 3학년이 102명(34.3 %)이었다.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2. 연구대상자의 치과위생사에 대한 이미지
치과위생사의 이미지 전체 평균은 3.87점으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과위생사의 직업적 이미지 평균은 4.09점이었고, 7문항의 평균점수를 각각 살펴보면, ‘전문가이다’가 4.21점, ‘과학적 지식을 가지고 있다’가 4.15점, ‘환자의 입장을 이해한다’가 4.11점, ‘지적 수준이 높다’가 4.09점, ‘숙련된 기술을 가지고 있다’가 4.08점, ‘환자우선주의로 일을 처리한다’가 4.05점 ‘의지할 수 있다’가 3.96점으로 나타나 직업적 이미지에서는 ‘전문가이다’ 라고 인식하는 부분에서 가장 점수가 높았다.
업무적 이미지 평균은 4.07점으로 나타났다. 7문항의 평균점수를 각각 살펴보면 ‘의사의 보조역할을 한다’가 4.13점, ‘건강문제를 해결한다’가 4.13점, ‘하는 일이 정확하다’가 4.12점, ‘치과의사와 환자의 중간 매개역할을 한다’가 4.12점, 독자적으로 진료를 보조한다’가 4.06점, ‘병원정책결정에 참여한다’가 3.98점 이였으며, ‘지도력이 있다’가 3.97점으로 나타났다.
업무적 이미지에서는 ‘건강문제를 해결한다’와 ‘치과의사의 보조역할을 한다’라고 인식하는 부분에서 가장 점수가 높았다.
개인적 이미지는 평균은 4.08점으로 나타났다. ‘단정하다’가 4.15점, ‘친절하다’ 4.15점, ‘성실하다’가 4.10점, ‘불친절하다’가 4.07점, 로 나타났으며, 또한 ‘매력적이다’가 4.01점, ‘타인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가진다’가 3.99점으로 조사되었다. 개인적 이미지에서는 ‘친절하다’가 가장 점수가 높았다.
사회적 이미지 평균은 3.28점으로, ‘국민구강건강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가 4.11점,‘사회적으로 인정받는다’가 4.05점, ‘성숙한 인격자이다’는 3.99점이며, ‘상담자이다’가 3.92점, ‘권위의식을 남용한다’가 3.10점이었다. 또한 ‘치과간호사라고 인식한다’가 2.31점으로 나타나 사회적 이미지에서는 ‘국민구강건강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가 점수가 가장 높았다(Table 2).
Table 2. Image for dental hygienists in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3. 연구대상자 일반적 특성과 이미지 분석
본 연구 대상자는 총 297명이었으며, 인문계 고등학생 1,2,3학년 학생 중 2학년이 35.7 %로 가장 많았으며, 대중매체 등을 통해 치과위생사의 소개나 설명을 들은 경우가 52.5 %로 많았고, 치위생과 입시설명을 안들은 경우가 91.9 %, 가족 중 치과위생사가 없는 경우가 82.5 %, 교정을 위해 치과를 방문한 적 없는 경우가 82.5 %, 치료받은 경험이 2~4년 이내인 경우가 38.4 %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중매체를 통해 치과위생사에 대해 알게 된 경우, 가족 중 치과위생사가 있는 경우, 치아교정을 한 경우, 그리고 치과치료를 받은 경험이 1년 이내인 경우 직업적 이미지(p<0.05), 업무적 이미지(p<0.05), 개인적 이미지(p<0.05), 사회적 이미지(p<0.05) 모두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Table 3).
Table 3. Image for dental hygienists according to the career-related characteristics in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The figures are average ± standard deviation.
p-value was calculated by t-test, One-way ANOVA.
abDuncan's post-hoc test: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ame characters.
4. 진로 고려의사 관련 특성과 치과위생사의 이미지 분석
고등학생의 진로선택 관련 특성은 진로 의논 대상이 부모님일 경우 58.9 %로 가장 많았고, 진로선택에 치위생(학)과를 고려하지 않았다는 경우가 81.4 %로 나타났다. 또한, 치위생직을 고려하는 경우에 직업적 이미지, 업무적 이미지, 개인적 이미지, 사회적 이미지 모두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Table 4).
Table 4. Image for dental hygienists according to the career-related characteristics in academic high school student
The figures are average ± standard deviation.
p-value was calculated by t-test, One-way ANOVA.
abDuncan's post-hoc test: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ame characters.
Table 4. Image for dental hygienists according to the career-related characteristics in academic high school student(Cont.)
The figures are average ± standard deviation.
p-value was calculated by t-test, One-way ANOVA.
abDuncan's post-hoc test: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ame characters.
5. 연구대상자의 치과위생사 이미지에 대한 요인간의 분석
치과위생사 이미지의 요인 간의 상관관계에서 직업적 이미지와 업무적 이미지(r=0.957, p<0.05), 개인적 이미지와 직업적 이미지(r=0.942, p<0.05), 사회적 이미지와 직업적 이미지(r=0.865, p<0.05), 업무적 이미지와 개인적 이미지(r=0.924, p<0.05), 업무적 이미지와 사회적 이미지 (r=0.858, p<0.05), 개인적 이미지와 사회적 이미지(r=0.882, p<0.05)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Table 5).
Table 5. Analysis between the factors on the dental hygienist image of the study subjects
* p<.05
Ⅳ. 고찰
치과위생사는 구강건강관리를 담당하는 인력으로서 치과 병·의원, 학교 내 구강 보건실, 보건소, 군부대 의무실 등 구강 건강과 관련된 분야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치과 의료기관도 대형화되고 전문화됨에 따라 치과위생사의 업무와 역할의 비중은 상당히 높아졌으며 이러한 역할은 치과위생사의 대중적 이미지뿐만 아니라 치위생직의 일반적인 이미지 형성에 크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더 나아가 저출산으로 인한 대학들의 학령인구감소로 신입생 모집이 어려워지는 시점에 우수한 학생들이 치위생(학)과를 선택하고 기술과 지식을 습득하는데에 치과위생사의 이미지와 진로 고려의사는 중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앞으로 치위생직을 선택할 고등학생의 치과위생사에 대한 인식 도와 치위생직 고려의사를 파악하여 바람직한 치과위생사에 대한 합리적인 기준제시와 올바른 인식, 그리고 이미지를 확립하여 치위생직에 대한 올바른 정보제공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행하였다.
업무적 이미지는 실제로 병원에서 행하는 구체적 의료 서비스의 여러 형태에 대하여 일반인들의 이미지를 뜻하고, 사회적 이미지는 우리의 일반적 사회생활에서 투영되는 이미지를 의미한다(Jo, 2002). 직업적 이미지는 일반인들에게 비춰지는 외관적 이미지로 타 직업과 비교되는 이미지이며, 개인적 이미지는 일반인이 개인적으로 경험하는 대상의 외향적 성격이나 태도에 대한 이미지를 정의하여 구체적인 이미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치과위생사에 대한 이미지는 총 26문항으로 5점만 점에 3.87점이었고, 영역별 평균은 직업적 이미지가 4.09점, 업무적 이미지가 4.07점, 개인적 이미지가 4.08점, 사회적 이미지가 3.28점 순이었다. 본 연구에서 고등학생들은 치과위생사는 청결하고 단정하며, 국민구강건강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라고 응답하는 등 전반적으로 치과위생사에 대한 이미지는 다소 긍정적이었지만, 치과간호사라는 인식과 권위를 남용하는 면에서 사회적 이미지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등학생들에게 치과위생사라는 올바른 호칭과 업무를 알리고 치과위생사라는 이미지를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홍보하고 교육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고등학생들에게 치과위생사의 표면적으로 보이는 진료보조자로서 역할만 보는 게 아닌 치과위생사의 업무나 역할 등에 더 관심을 가지고 보도록 구체적인 방법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직업적 인식은 높아지고 이미지가 긍정적일수록 사회적 인식이 증가하여야 하지만 Choi 등(2004)의 연구처럼 본 연구에서도 치과위생사에 대한 인식도는 큰 차이가 없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치과위생사가 대중으로부터의 긍정적인 이미지가 형상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고등학생의 일반적인 특성과 치과위생사의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가족 중 치과종사자가 있고, 치과 치료경험이 2~4년인 경우, 그리고 교정치료를 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에 업무적, 직업적 이미지가 높게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가족을 통해 치과에서 실제로 수행되는 구체적인 의료서비스를 보고 직업적, 업무적 이미지가 높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치과방문횟수가 높을수록 치과위생사에 대한 업무를 자세히 파악할 수 있다는 보고(Kang, 2006)에 와 본 연구는 비슷한 결과로 나타났다. 치과방문 횟수가 높을수록 치과위생사에 대한 업무를 자세히 파악하고 경험할 수 있다는 점을 통해 이미지가 높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치위생직에 대한 소개나 설명을 들은 경우에는 설명을 듣지 않은 경우보다 사회적 이미지가 약간 높게 나타났다. 이는 남자 고등학생과 학부형, 교사를 대상으로 간호사의 인식도를 조사한 연구(Kim과 Lee, 2012)에서 간호직에 대한 소개나 설명으로 간호직 인식도가 높았다는 양상과 유사하였다. 따라서 보다 명확한 치위생직에 대한 정보제공과 진로체험기회를 확대하여 치과위생사에 대한 이미지 향상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 참여한 고등학생들 중 진로 고려 시 부모님과 상의를 하겠다는 학생이 58.9 %로 가장 많았으며 진로 선택 시 치위생직을 고려하겠다고 응답한 경우가 18.86 %로 대부분이 고려하지 않겠다고 응답했으며, 치위생직을 고려하겠다고 응답한 경우 직업적, 업무적 이미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진로를 고려하는 이유에는 안정된 직업과 취업의 용이 등이 나타났다. 치과위생사에 대한 인식 부족과 정보 부족으로 인하여 치위생직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결과는 이를 위한 홍보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고 치과위생의 호칭의 정립과 업무의 재정립화를 통한 앞으로의 치과위생사 이미지를 높여야할 것이다. 또한 이는 실질적으로 고등학생들의 치위생과 전공 선택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줄 것이며 치과위생사의 인력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이 될 것으로 보인다. 치과위생사 이미지의 요인 간의 상관관계에서 직업적 이미지와 업무적 이미지, 개인적 이미지와 직업적 이미지, 사회적 이미지와 직업적 이미지, 업무적 이미지와 개인적 이미지, 업무적 이미지와 사회적 이미지, 개인적 이미지와 사회적 이미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사회적 이미지와 업무적 이미지는 다른 요인간의 분석보다 다소 낮았으나, 모두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부산지역의 인문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치과위생사에 대한 이미지와 치위생직 고려의사를 파악하고자 시행된 연구였으나, 일부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기 때문에 표집의 적절성에 다소 부족함이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고등학생의 치과위생사에 대한 이미지와 진로 고려의사에 관한 연구 결과는 진로를 고민하는 고등학생에게 치위생직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를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하며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더 많은 변수와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객관화되고 일반화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며 치과위생사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와 부정적 이미지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긍정적 이미지를 통한 바람직한 치과위생사 이미지 구축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Ⅴ. 결론
본 연구는 인문계 고등학생 1, 2, 3학년을 대상으로 치과위생사에 대한 이미지와 치위생직 고려의사를 파악하기 위해 부산광역시의 인문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29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과위생사에 대한 이미지는 전체평균 3.87점이었고, 이미지의 영역별 평균은 직업적 이미지가 4.09점, 업무적 이미지가 4.07점, 개인적 이미지가 4.08점, 사회적 이미지가 3.28점 순으로 나타났다.
2. 고등학생의 일반적인 특성과 치과위생사의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대중매체를 통해 치과위생사에 대하여 들은 경우, 치위생과 입시설명을 들은 경우, 가족 중 치과관련 종사자가 있는 경우, 치과 치료를 받은 경험이 2~4년 이내인 경우 긍정적 이미지가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3. 진로선택 시 치위생직을 대부분 고려하지 않겠다고 응답하였다.
4. 치과위생사 이미지의 요인 간의 상관관계에서 직업적 이미지와 업무적 이미지, 개인적 이미지와 직업적 이미지, 사회적 이미지와 직업적 이미지, 업무적 이미지와 개인적 이미지, 업무적 이미지와 사회적 이미지, 개인적 이미지와 사회적 이미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 고등학생의 치과위생사에 대한 이미지는 다소 긍정적이었으나, 사회적 이미지가 낮은 편이었으며, 대부분의 학생이 치위생직을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치과위생사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진로체험으로 치과위생사에 대한 바람직한 이미지 구축과 치과위생사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References
- Cho SH(2000). A study on the image of dental hygienist. Graduate school of Dankook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Master's thesis.
- Choi EM, Sovg YS, Lee SH(2004). A study on dental hygienist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inhabitants in Seoul and Kyunggi-do. Kyung Bok Collection of Dissertations, 2004, 399-414.
- Choi EY(2001).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dental hygienist.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Master's thesis.
- Hwang MY, Lee SM(2003). A study of dental hygienist image impressed on the students of dental hygiene department. Bulletin of Dongnam Health College, 21(2), 117-125.
- Jo KH(2002). A study on the marketing strategies of hospital in Korea. Graduate school of Sookmyung Women's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Master's thesis.
- Kang BW(2006). A study on the deterninant factors the image of dental hygienists. J Korean Soc Dent Hyg, 6(1), 1-12.
- Kang HS, Kim SJ, Kim YN, et al(2014). Dental hygieology. 6th ed, Seoul, Komoonsa, pp.5.
- Kim DY, Lee SH(2012). Recognition of college-preparatory students for dental hygienist. J Korean Soc Dent Hyg, 12(1), 103-111. https://doi.org/10.13065/jksdh.2012.12.1.103.
- Kim SJ(2013). A review on utilization of dental hygienist professionals. Graduate school of Chung-Ang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Master's thesis.
- Ko CS(1994). The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desirable viewpoint of occupation for the adolescent. Graduate school of Dong-A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Master's thesis.
- Yoon HS, Kim JS, Lee MO, et al(2010). Trend in preference for dental hygienist image among health care workers. J Dent Hyg Sci, 10(4), 211-218.
- Korea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Institude. National examination pass rate by year, 2020. Available at http://www.kuksiwon.or.kr/Publicity/ExamStatistic.aspx?SiteGnb=5&SiteLnb=2/ Accessed March 25,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