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the Ecological Theory of Daesoon Jinrihoe: Sangsaeng Ecological Theory

대순진리회 생태론 연구서설 - 상생생태론 -

  • Received : 2020.05.25
  • Accepted : 2020.08.01
  • Published : 2020.08.31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the field wherein theoretical issues of ecology are still in need of concentration. Ecological texts are reconsidered from a religious worldview by extracting eco-friendly notions within religion and discourse is also essential in the practical field. As a case study on this matter, this paper aims to describe various aspects of ecological theory in Daesoon Jinrihoe, a new religious movement in Korea. In short, in its view of the natural world, Daesoon Jinrihoe values that all things originated from the Supreme God who presides over them, and the two are organically interrelated. Hence, the principle of nature is cherished. Especially as the Later World draws near, the fundamental basis of nature is slated to undergo change, and this also features heavily in Daesoon Jinrihoe's view of the natural world. Furthermore, the Supreme God reforms nature, and human beings live lives in conformity and resonance with that reformed nature. Above all else, the doctrines of haewon sangsaeng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mutual beneficence) and boeun sangsaeng (the reciprocation of favors for mutual beneficence) are advocated in Daesoon Jinrihoe. Each supports its own form of ecological discourse, and together, they can be called Sangsaeng Ecological Theory (the Ecological Theory of Mutual Beneficence). Specific discussions of Daesoon Jinrihoe and ecology should be considered in light of this finding.

이 글은 생태학의 이론 문제에 대한 천착이 여전히 필요하다는 점, 종교 세계관으로부터 친 생태적인 요소를 추출하여 생태학의 내용을 더 보강하며 실천 영역의 담론화 작업까지 해야 한다는 점을 문제의식으로 삼고 출발한다. 이에 대한 사례 연구로서, 한국 신종교 가운데 하나인 대순진리회의 생태론을 기술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요약하자면, 대순진리회의 자연관은 최고신의 주재하에 놓인 만물의 근본이 같으며 만물은 유기적인 관계에 있다는 것, 자연의 법칙을 중요시한다는 것이다. 특히 개벽을 전후로 하여 자연의 본질이 바뀐다고 보는 것은 대순진리회만의 특징적인 자연관이다. 또 대순진리회는 최고신이 자연을 변혁한다는 것, 인간은 그 변혁된 자연에 순응·공명하는 삶을 산다고 보며, 해원상생·보은상생의 이념을 실천하는 방향으로 만물과의 관계를 이끌어가도록 독려한다. 그것은 각각 해원상생 생태 담론과 보은상생 생태 담론으로 정리될 수 있다. 이것을 묶어서 상생생태론이라고 부를 수 있으며, 대순진리회의 세부적인 생태 논의들은 이 틀 속에서 진행되어야 한다고 본다.

Keywords

References

  1. 대순진리회 교무부, 「대순회보」 3, 서울: 대순진리회 출판부, 1985.
  2. 대순진리회 교무부, 「대순지침」 2판,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2.
  3. 대순진리회 교무부, 「대순진리회요람」,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03.
  4. 대순진리회 교무부, 「전경」 13판,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5. 대순진리회 교무부, 「포덕교화기본원리 기이(其二)」, 대순진리회 출판부, 2003.
  6. 태극도 본부, 「태극도통감」, 필사본, 1956.
  7. 「六韜三略」.
  8. 고병철, 「대순진리회의 인간관」, 「대순사상논총」 28, 2017. htps:/doi.org/10.25050/jdaos.2017.28.0.1
  9. 곽신환, 「유교의 만물관-그 법칙과 생명」, 길희성 외 엮음, 「환경과 종교」, 서울: 민음사, 1997.
  10. 김광수, 「불교의 가치관을 통해 본 심층생태론 비판」, 「한국불교학」 66, 2013. http://uci.or.kr/G704-001245.2013..66.013
  11. 김도형, 「대한제국기 변법론의 전개와 역사서술」, 「동방학지」 110, 2000.
  12. 김도형, 「대한제국 초기 문명개화론의 발전」,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엮음, 「서구문화의 수용과 근대개혁」, 서울: 연세대학교 국학원, 2004.
  13. 김세정, 「유가생태철학의 특성과 미래」, 「환경철학」 20, 2015. http://doi.org/10.35146/jecoph.2015..20.003
  14. 김원중, 「대지윤리의 안과 밖: 인간중심주의에서 생태중심주의로의 전환」, 「현대영어영문학」 54-1, 2010. http://uci.or.kr/G704-001315.2010.54.1.002
  15. 김종서, 「과학과 종교, 그리고 환경-현대 환경 논의의 종교학적 의미」, 정진홍 외 엮음, 「종교와 과학」, 서울: 아카넷, 2001.
  16. 김학택, 「무자기와 자아실현」, 「대순사상논총」 13, 2001. http://uci.or.kr/G704-SER000013278.2001.13..011
  17. 로버트 매킨토시, 「생태학의 배경-개념과 이론」, 김지홍 옮김, 서울: 아르케, 1999.
  18. 류성민, 「'천지공사'의 종교윤리적 의미에 대한 연구」, 「대순사상논총」 23, 2014. http://doi.org/10.25050/jdaos.2014.23.0.1
  19. 류인희, 「노.장의 본체론」, 한국동양철학회 엮음, 「동양철학의 본체론과 인성론」, 서울: 연세대학교출판부, 1996.
  20. 박용철, 「해원시대를 전제하는 인존시대에 대한 이해」, 「대순사상논총」 27, 2016. http://doi.org/10.25050/jdaos.2016.27.0.135
  21. 배국원, 「현대종교철학의 프리즘」, 대전: 대장간, 2013.
  22. 배종호, 「동양 본체론 서설」, 한국동양철학회 엮음, 「동양철학의 본체론과 인성론」, 서울: 연세대학교출판부, 1996.
  23. 소기석, 「현대 환경윤리에 대한 종교학적 연구」, 파주: 한국학술정보, 2005.
  24. 송명규, 「사회생태학과 심층생태학의 생태파시즘 논쟁과 그 교훈」,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8-2, 2010. http://uci.or.kr/G704-000688.2006.18.2.002
  25. 안건훈, 「레오폴드의 대지윤리와 환경교육」, 「환경철학」 5, 2006. http://uci.or.kr/G704-001816.2006..5.001
  26. 와위크 폭스, 「트랜스퍼스널 생태학: 인간중심 환경주의를 넘어서」, 정인석 옮김, 서울: 대운출판, 2002.
  27. 유기쁨, 「생태주의와 종교연구-흐름과 전망」, 「종교문화연구」 9, 2007.
  28. 유기쁨, 「종교계 생태 NGO의 사회참여」, 강돈구 외 엮음, 「현대 한국의 종교와 정치」, 성남: 한국학중앙연구원, 2010.
  29. 유기쁨, 「생태적 불안사회의 종교: 생태 공공성과 종교의 자리」, 「종교문화비평」, 26, 2014. http://uci.or.kr/G704-SER000003135.2014.26.26.010
  30. 유기쁨, 「인간적인 것 너머의 종교학, 그 가능성의 모색: 종교학의 '생태학적 전회'를 상상하며」, 한국종교문화연구소 30주년 논총 편집위원회(엮음), 「한국의 종교학-종교, 종교들, 종교문화」, 서울: 모시는 사람들, 2019.
  31. 윤용택, 「환경철학에서 본 확장된 인간중심주의」, 「철학.사상.문화」 3, 2006. http://uci.or.kr/G704-SER000014015.2006..3.007
  32. 윤재근, 「대순사상과 생태적 환경보존의 문제」, 「종교연구」 23, 2001.
  33. 이재헌, 「한국 신종교의 생태담론과 생태사상: 동학, 원불교, 금강대도를 중심으로」, 「신종교연구」 15, 2006.
  34. 장규식, 「개항기 개화 지식인의 서구 체험과 근대 인식-미국 유학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엮음, 「서구문화의 수용과 근대개혁」, 서울: 연세대학교 국학원, 2004.
  35. 장석만, 「개항기 한국사회의 "종교" 개념 형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2.
  36. 장석만, 「종교와 동물, 그 연결점의 자리」, 「종교문화비평」 21, 2012. http://uci.or.kr/G704-SER000003135.2012.21.21.002
  37. 정대연, 「환경주의와 지속 가능한 발전」, 파주: 집문당, 2004.
  38. 정화열, 「몸의 정치와 예술, 그리고 생태학」, 이동수.김주환.박현모.이병택 옮김, 서울: 아카넷, 2005.
  39. 차선근, 「대순진리회 성지의 특성과 의미」, 「동AISA종교문화연구」 창간호, 2009.
  40. 차선근, 「강증산의 대외인식」, 「동ASIA종교문화연구」 2, 2010.
  41. 차선근, 「정역사상과 대순사상의 비교 연구- 우주론을 중심으로」, 「종교연구」 60, 2010. http://doi.org/10.21457/kars..60.201009.35
  42. 차선근, 「근대 한국의 신선 관념 변용-대순진리회의 지상신선사상을 중심으로」, 「종교연구」 62, 2011. http://doi.org/10.21457/kars..62.201103.139
  43. 차선근, 「대순진리회 상제관 연구 서설(I) -최고신에 대한 표현들과 그 의미들을 중심으로」, 「대순사상논총」 21, 2013. http://doi.org/10.25050/jdaos.2013.21.0.99
  44. 차선근, 「중국 초기 민간도교와 대순진리회의 종교윤리 비교연구-승부(承負)와 척(慼)을 중심으로」, 「종교연구」 75-4, 2015. http://doi.org/10.21457/kars.75.4.201512.117
  45. 차선근, 「숫자 3, 그리고 연원과 종통」, 「대순회보」 189,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6.
  46. 최종덕, 「비판적 생명철학」, 서울: 도서출판 당대, 2016.
  47. 최준식, 「한국 민족종교의 관점에서 본 생명과 환경-수운.해월.증산. 소태산.정산의 자연관을 중심으로」, 「종교연구」 11, 1995.
  48. 한성구.지준호, 「동양 전통사상의 현대적 전환을 위한 비판적 고찰-유학의 생태사상을 중심으로」, 「한국철학논집」 36, 2013. http://doi.org/10.35504/kph.2013..36.008
  49. Grassie, William, "Ecology And Religion: Science, Religion, and Ecology" in Lindsay Jones, chief eds., Encyclopedia of Religion 4, Detroit: Macmillan Reference USA, 2005.
  50. Tucker, Mart E..Grim, John A., "Ecology And Religion: An Overview" in Lindsay Jones, chief eds., Encyclopedia of Religion 4, Detroit: Macmillan Reference USA,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