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세계 주요 종교사상의 존재의 대둥지(The Great Nest of Being) 고찰 - 대순사상과 비교하여 -

A Study on the Great Nest of Being in Major Systems of Religious Thought in the World: With Daesoon Thought as a Comparison

  • 투고 : 2020.05.13
  • 심사 : 2020.08.01
  • 발행 : 2020.08.31

초록

이른바 '존재의 대둥지(The Great Nest of Being)'는 영원철학의 존재론으로서 영원철학의 핵심 개념이다. '존재의 대둥지'는 역사적으로 존재해 왔던 세계 종교들의 심층, 즉 존재와 의식의 홀라키(holarchy)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본고에서는 세계 주류 종교들의 심층을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존재의 대둥지를 고찰해 보고, 대순사상에 나타난 존재의 대둥지는 역사적으로 출현했던 이들 대둥지를 종합하는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밝힌다. 영원의 철학에 따르면, 궁극적 실재에 대한 여러 종교들의 차이가 실제(實際)의 차이가 아니라 단지 용어상(用語上)의 차이에 불과하다. 즉 '동일(同一)한 궁극적 실재에 대한 상이(相異)한 표현(表現)'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따라서-언어학적으로-존재의 대둥지에 나타난 궁극적 실재관은 '동일한 기의(記意, signifié)', '상이한 기표(記標, signifiant)'로 요약된다. 그런데 선행연구에서 밝힌 바와 같이 대순사상에서의 궁극적 실재는 초월적·인격적 존재인 동시에 내재적·비인격적이다. 이러한 사실은 특히 대순의 종지(宗旨)에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다. 즉 대순의 종지는 기존 종교사상의 존재의 대둥지에서 나타나는 실재에 대한 개념들과 그 지향점을 함축적으로 내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종교사상들이 내세웠던 이념들을 두루 아우를 수 있는-온 우주(The Kosmos)의 네 코너로서 사상한(four quardrants, AQAL)으로 고찰해 보면-범(凡) 우주적 이념을 두루 포괄한다. 따라서 대순사상의 종지(宗旨)는 궁극적 실재에 관한 세계 주요 종교사상의 동일한 기의(記意)를 아우르고, 상이한 기표(記標)를 해소할 수 있는 단초(端初)를 제공한다.

'The Great Nest of Being (The Great Chain of Being)' is a key ontological concept in Perennial Philosophy. The Great Nest of Being shows the depth of the world's religions that have existed historically, and in this context, they represent holarchies of existence and consciousness. This paper examines the nests of various beings in order to grasp the depths of the world's mainstream religions, and reveals that the great nest of being that appear in the Daesoon Thought has the characteristic of synthesizing other nests that have emerged previously in history. According to Perennial Philosophy, the differences among different religions in regards to ultimate reality are not differences in reality but merely differences in semantics. In other words, these differences are only 'different expressions of the same ultimate reality.' Thus, linguistically, ultimate reality in the great nest of being can be summarized as the 'same in what is signifié (signified, 記意)' and 'different in the signifiant (signifier, 記標).' As stated in a preceding study; however, ultimate reality in Daesoon Thought is both transcendent and personal, as well as intrinsic and impersonal. This fact is specifically stated in the Four Tenets (4大 宗旨) of Daesoon Thought. In other words, the Tenets of Daesoon implicitly acknowledge not only the concepts of reality and the direction that emerges from the base of existence in existing systems of religious thought, but also can encompass the ideologies of those systems of religious thought. Considering the four quadrants as the Kosmos (AQAL), it encompasses a universal ideology. Therefore, the tenets of Daesoon Thought encompass the same significance (meaning) of the major systems of religious thought throughout the world in regards to ultimate reality and provide a clue to the solution to the presence of different signifiers (signs).

키워드

참고문헌

  1. 「노자 도덕경」, 박일봉 옮김, 서울: 육문사, 1988.
  2. 「대순지침」, 서울: 대순진리회 출판부, 1984.
  3. 「대순진리회요람」, 서울: 대순진리회 교무부, 1969.
  4. 「역주 장자 2」, 안병주.전호근 옮김, 서울: 전통문화연구회, 2007.
  5. 「전경」, 서울: 대순진리회 출판부, 1974.
  6. 「중화경」, 김제: 대흥기획, 1989.
  7. 「포덕교화기본원리(其二)」,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03.
  8. 이황, 「성학십도」, 이광호 옮김, 서울: 홍익출판사, 2007.
  9. 태극도 본부, 「취지서」, 「태극도통감」, 부산: 태극도, 1956.
  10. 「列子」, 列禦寇.王强模 譯注, 台北: 臺灣古籍出版社, 1996.
  11. 饒宗頤, 「老子想爾注校箋「, 香港: 蘇記書莊, 1956.
  12. 루돌프 슈타이너, 「어떻게 초감각적 세계의 인식을 획득할 것인가」, 양억관.다카하시 이와오 옮김, 서울: 예하, 1992.
  13. 아빌라의 테레사, 「내면의 성(Interior castle): 아빌라의 테리사」, 황혜정 옮김, 서울: 요단출판사, 2011.
  14. 오강남, 「종교심층을 보다」, 서울: 현암사, 2011.
  15. 윤재근, 「신인조화에 나타난 신인관계 연구」, 「대순사상논총」 3, 1997.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7.3..017
  16. 이항녕, 「대순 종지의 문명사적 의의」, 「대순사상논총」 6, 1998.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8.6..008
  17. 한자경, 「명상의 철학적 기초」,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8.
  18. 한자경, 「성유식론 강해: 아뢰야식」, 파주: 서광사, 2019.
  19. 허훈, 「한눈에 보는 세계철학사: 3천 년 철학의 흐름과 맥락을 읽다」, 서울: 양철북, 2015.
  20. 허훈, 「영원철학(The Perennial Philosophy)으로 본 대순사상의 궁극적 실재」, 「대순사상논총」 32, 2019. https://doi.org/10.25050/jdaos.2019.32.0.137
  21. A. J. Jarthur John Arberry, Sufism, NY: Dover Publications, 2001.
  22. Ajit Mookerjee, Tantra Asana: A Way to Self-realization, New York: Random House, 1973.
  23. Alan M. Laibelman, The Other Perennial Philosophy: A Metaphysical Dialectic, University Press of America, 2000.
  24. Arvind Sharma, The Philosophy of Religion and Advaita Vedanta: A Comparative Study in Religion and Reason, PA: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2008.
  25. Charles Ponce, Kabbalah: an introduction and illumination for the world today, San Francisco: Straight Arrow Books, 1973.
  26. David Gordon White, The Yoga Sutras of Patanjali,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9.
  27. Frithjof Schuon, Huston Smith, The Transcendent Unity of Religions, Wheaton: Quest Books(IL), 1984.
  28. Gershom Gerhard Scholem, Kabbalah, New York: Plume Books, 1978.
  29. Huston Smith, Forgotten Truth: The Common Vision of the World's Religions, New York: HarperSanFrancisco, 1992.
  30. John M. Rist, Plotinus: The Road to Realit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31. Ken Wilber, A Brief History of Everything, Boston & London: Shambhala, 1996.
  32. Ken Wilber, The Marriage of Sense and Soul: The Marriage of Sense and Soul Integrating Science and Religion, New York: Random House, 1998.
  33. Ken Wilber, Integral Psychology: Consciousness, Spirit, Psychology, Therapy, Boston: Shambhala, 2000.
  34. Ken Wilber, The Integral Vision: A Very Short Introduction to the Revolutionary Integral Approach to Life, God, the Universe, and Everything. Boston: Shambhala, 2007.
  35. Ken Wilber, The Spectrum of Consciousness, Wheaton, IL: Theosophical Pub. House, 1993.
  36. Khenchen Thrangu, Essentials of Mahamudra: Looking Directly at the Mind Rinpoche, Boston: Wisdom Publications, 2004.
  37. Saint Dionysius of Alexandria, St. Dionysius of Alexandria, KY: Create space Independent Publishing Platform, 2015.
  38. Thomas Ashley-Farrand, Chakra Mantras; Liberate Your Spiritual Genius Through Chanting, San Francisco: Red Wheel/Weiser, 2007.
  39. 종헌 제1장 제2조: 대한불교조계종 홈페이지(http://www.buddhism.or.kr/), 검색일: 2020.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