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도교 생태사상이 반영된 도교 건축의 현대적 의의

The Modern Significance of Taoist Ecological Ideas as Reflected in Taoist Architecture

  • Shin, Jin-sik (Incheon Studies Institute of Incheon University)
  • 투고 : 2020.05.31
  • 심사 : 2020.08.01
  • 발행 : 2020.08.31

초록

이 논문에서는 중국 도교(道敎) 건축의 발전 과정과 그 문화적 함의를 살펴보고, 도교 건축에 반영된 도교 생태 사상의 핵심적인 원리들을 종합적으로 정리해 보았다. 이것은 바로 현대 도시의 지속가능 생태건축을 위한 하나의 사상적 롤모델을 탐색하는 기초 작업이다. 도교의 건축은 오랜 역사를 거치면서 변화, 발전하고 더욱 완숙한 단계에 이르게 된다. 초기 도교 교단의 최초의 건축 형식인 '치', '려', '정'은 후대 도교 궁관(宮觀) 건축 발전의 기초를 이룬다. 남북조(南北朝)시기를 거쳐 당대(唐代)에 이르기까지 국가적 지원을 받는 관방(官方)도교가 성립되면서 의례가 끊임없이 규범화되었으며, 궁관은 이에 따라 점차 상당한 규모를 갖추게 되었고 형식은 더욱 정형화되었다. 12세기 초 청정(淸淨)수련을 강조하는 전진교(全眞敎)가 창립된 이후부터는 엄격한 수도(修道)에 적합한 외딴 자연공간에 수도를 위한 건축이 생겨난다. 한편 이때의 도교 건축은 여러 다양한 신(神)들에게 예배를 드리기 위한 건축 형식과 구조가 강화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역사적 과정을 거치며 성립된 다양한 도교 궁관들에는 도교문화의 관념적인 요소와 제도, 생태사상 등이 집약되어 있다. 도교 건축은 기본적으로 동천복지(洞天福地)라는 이상향을 추구하면서 장소 선택과 건물 배치에 있어서 자연지형을 교묘하게 이용하는 풍수 이론을 수용하였는데, 여기에는 철저한 생태주의가 반영되어 있다. 한편 도교 건축은 음양오행의 원리에 따라 건축재료를 선택할 때 현지의 천연자재를 이용하여 되도록 자연의 평형을 파괴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교는 소박한 마음을 유지하고 욕망을 억제하며 청정하고 순수한 자연본성으로 돌아가야 함을 강조하기 때문에 수행(修行)과 제례(祭禮) 장소는 되도록 소박한 장소를 선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태도는 일종의 소박한 생태주의 사상을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며 도교의 검소한 가치관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교 생태사상은 주거환경 조성 중에 생겨난 생태 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풍부한 사상 자원과 사유방법을 제공해 준다. 도교 생태사상이 반영된 도교 건축을 통해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올바르게 이해하여 지속가능한 주거 환경을 새롭게 형성할 수 있는 방향성을 모색해 볼 수 있다.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development of Chinese Taoist architecture, its cultural implications, and comprehensively summarized the core principles of the Taoist ecological ideas that are reflected in Taoist architecture. This is a groundwork for exploring an ideological model for sustainable ecological architecture in modern cities. Taoist architecture has a long history that has led to changes, developments, and a gradual maturation. Zhi (治), Lu (廬), and Jing (靖), were the first architectural forms of the early Taoist body. These formed the basi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aoist Courts (宮觀). The state-sponsored government-run Taoist Courts established from the time of the North and South Dynasties to the time of Tang Dynasty led to a constant standardization of the rites, and these Courts gradually became more and more formalized. Since the establishment of Quanzhenjiao (全眞敎) in the early 12th century, a movement that emphasized putiy training, architecture for the ascetic practice emerged in remote natural spaces suitable for strict ascetic practices. Meanwhile, in Taoist architecture, the type and structure of buildings were strengthened in order to worship various gods. The various Taoist Courts established through this historical process embody the elements, institutions, and ecological ideas of Taoist culture. Taoist architecture basically pursued the idealism of Paradise in a Deep Cave (洞天福地) and adopted a feng-shui theory of using natural terrain artfully in selecting a place and building a layout. This was reflected through their ecology. Meanwhile, Taoist architecture does not destroy the balance of nature by emphasizing the utilization of local natural resources whenever possible while selecting building materials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yinyang and the five movements (陰陽五行). In addition, Taoism aims to select simple places for practising asceticism and ancestral rituals whenever possible because of the need to maintain a simple mind, suppress desire, and return to a state of purity. This attitude is an indication of a kind of simple ecological ideas and value of frugality easily found in Taoism. The ecological ideas of Taoism provide abundant resources for considering solutions to the ecological crisis that arises in the crea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s. Through the ecological ideas of Taoism, we can find a direction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and nature while creating new, sustainable residential environments.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2019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9S1A5C2A03082865).

참고문헌

  1. 「舊唐書」
  2. 「廣弘明集」
  3. 「道德經」
  4. 「說文解字」
  5. 「詩經」
  6. 「新唐書」
  7. 「正統道藏」
  8. 「周易」
  9. 「黃帝宅經」
  10. 「要修科儀戒律鈔」, 「正統道藏」 洞玄部 戒律類.
  11. 「眞誥」, 「正統道藏」 太玄部.
  12. 김덕삼, 「인문지리학자의 '장소'와 '경험'에 대한 도가적 접근」, 「대순사상논총」 33, 2019. https://doi.org/10.25050/jdaos.2019.33.0.351
  13. 데이비드 시먼, 「삶은 장소에서 일어난다」, 서울: 앨피, 2020.
  14. 이봉호 외 역, 「도교사전」, 서울: 파라아카데미, 2018
  15. 조셉 니이담, 「중국의 과학과 문명」 2권, 서울: 을유문화사, 2011.
  16. 나카무라 유지로, 「토포스: 장소의 철학」, 서울: 그린비, 2012.
  17. 卿希泰, 「中國道敎史」 第一卷, 成都: 四川人民出版社, 1992.
  18. 段玉裁 注, 「說文解字注」, 臺北: 天工書局, 1997.
  19. 毛麗婭, 「道教與基督教生態思想比較研究」, 四川大學 博士學位論文, 2006.
  20. 石衍豐, 「道教宮觀瑣談」, 「四川文物」 4, 1986.
  21. 劉安 著.趙宗乙 訳注, 「淮南子訳注」, 哈尓滨: 黒龍江人民出版社, 2003.
  22. 張育英, 「道教與建築藝術」, 「文物鑒賞」 4, 1997.
  23. 馮林, 「族群遷徙與道教建築民俗源流」, 武漢大學 博士學位論文, 2010.
  24. 胡孚深, 「中華道教大辭典」, 北京: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