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SMEs: Review on 40 Years of Research and Future Directions

중소기업과 기술혁신: 「중소기업연구」 40년 연구동향 및 향후 연구과제

  • Received : 2020.12.02
  • Accepted : 2020.12.11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search trends of SMEs and technological innovations in the last 40 years. Research topics and methodological trends were analyzed for 114 academic papers deals with technology innovation in SMEs. In terms of research subjects, there have been interested in the technology capability and technology accumulation of SMEs in the 1990s, but after the 2000s, research on external open innovation and innovation performance has increased. The empirical analysis studies using primary or secondary data were dominated since the 2000s. We suggest some future research directions, more systematic innovation processes in SMEs, the interactions between technology innovation and external environments, and advanced methodologies on SMEs' technology innovation studies.

본 연구는 중소기업 기술혁신에 대한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중소기업 기술혁신 주제를 연구한 114편의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연구주제와 방법론적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주제에 있어서는 1980년대에는 기업의 기술능력과 기술축적에 대한 관심이 높았고, 2000년대 이후에는 외부 개방형혁신과 기술혁신 성과관련 주제 연구들이 증가하였다. 방법론적으로는 2000년대 이후에는 1차 자료 또는 2차 자료를 활용한 실증분석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연구과제로는 중소기업 기술혁신 특성 연구, 기술혁신을 위한 외부환경과의 상호작용 연구 및 중소기업 기술혁신형 이론 및 방법론으로 구분하고 영역별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철.한나영.홍재범(2015), "중소기업 간 공동기술개발의 성과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연구」, 제37권, 제1호, pp. 1-18.
  2. 구원모.김선우(2018), "중소기업 기술혁신의 결정요인에 따른 정부 R&D 지원의 체계화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연구」, 제40권, 제2호, pp. 1-20.
  3. 권영관(2010), "개방형 혁신이 혁신성과에 기여하는가? : 한국 중소기업으로부터의 실증적 증거," 「중소기업연구」, 제32권, 제2호, pp. 145-168.
  4. 김건식(2013), "중소 제조업의 기술개발 영향요인과 개발성과 간의 인과경로 : 기술개발 단계별 분석," 「중소기업연구」, 제35권, 제4호, pp. 25-56.
  5. 김기찬.송창석(1998), "부품개발 및 설계 능력의 발전경로와 특성에 관한 한일 비교연구 - 자동차부품산업을 중심으로-," 「중소기업연구」, 제20권, 제2호, pp. 233-260.
  6. 김상신(2017), "중소기업의 전유방법 선택의 결정요인 분석," 「중소기업연구」, 제39권, 제4호, pp. 23-40.
  7. 김선영.이병헌.차종석(2009), "출연연기술협력과 고몰입 HRM 시스템이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중소기업연구」, 제31권, 제3호, pp. 93-111.
  8. 김영배.하성욱(2004), "우리 나라 중소기업의 기술집약화: 성공의 함정," 「중소기업연구」, 제26권, 제1호, pp. 203-232.
  9. 김영환.양태용(2013), "기업가정신 전문 유명국제학술지 논문 검토를 통한 기업가정신 연구 동향 분석," 「중소기업연구」, 제35권, 제3호, pp. 347-376.
  10. 김완민.남영호(1996), "한국기업의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분석," 「중소기업연구」, 제18권, 제2호, pp. 103-129.
  11. 김이진.김정은.전성일(2019), "경영자 특성에 따른 R&D 투자와 기업가치 관련성: 벤처기업을 중심으로," 「중소기업연구」, 제41권, 제1호, pp. 75-96.
  12. 김주희.남대일(2015), "기업의 승계 계획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중소기업연구」, 제37권, 제1호, pp. 135-158.
  13. 문승욱.정승화.이승용(2016), "바이오벤처기업의 내부 역량과 외적 요인이 경영 성과에 미치는 영향," 「중소기업연구」, 제38권, 제4호, pp. 53-76.
  14. 문희철.김창완(1995),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전략에 관한 실증적 연구," 「중소기업연구」, 제17권, 제2호, pp. 141-167.
  15. 박상문.서종현(2012), "중소기업의 기술 경영 활동수준과 기술역량 및 기술혁신 애로요인간의 관계," 「중소기업연구」, 제34권, 제2호, pp. 81-99.
  16. 박상문.이병헌(2006), "외부자원 활용이 벤처기업의 기술혁신에 미치는 영향," 「중소기업연구」, 제28권, 제2호, pp. 181-206.
  17. 박상문.이병헌(2017), "제3장 한국 기업 기술혁신전략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 기술혁신연구의 현황과 과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서울, pp. 88-121.
  18. 박선영.김연정(2005), "IT 클러스터 입지 중소벤처기업 특성과 혁신성과 요인에 관한 연구 -테헤란밸리와 대덕밸리를 중심으로-," 「중소기업연구」, 제27권, 제4호, pp. 111-133.
  19. 박성근.김병근(2013), "인접성과 사회적 자본이 한국중소기업의 기술협력성과에 미치는 영향: 공동연구개발과제를 중심으로," 「중소기업연구」, 제35권, 제3호, pp. 81-109.
  20. 배종태.정진우(1997), "국내중소기업의 기술협력활동과 성과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연구」, 제19권, 제2호, pp. 273-296.
  21. 배종태.차민석(2009), "기업가정신의 확장과 활성화," 「중소기업연구」, 제31권, 제1호, pp. 109-128.
  22. 성태경(2001), "중소기업의 기술능력제고를 위한 기술시스템 : 미국의 MEP 시스템과 일본의 Kohsetsushi 시스템의 비교를 통한 정책시사점의 모색," 「중소기업연구」, 제23권, 제3호, pp. 121-155.
  23. 성태경(2003), "기업규모와 기술혁신활동의 연관성: 우리나라 제조업에 대한 실증적 연구," 「중소기업연구」, 제25권, 제2호, pp. 305-326.
  24. 신진교.임재현.황수정(2009), "중소기업의 특성이 기술혁신에 미치는 영향 - 대구지역 중소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중소기업연구」, 제31권, 제3호, pp. 73-91.
  25. 안숙찬(2011), "중소제조업의 연구개발투자에 대한 조세지원제도의 효과 분석," 「중소기업연구」, 제33권, 제1호, pp. 33-50.
  26. 용세중(1999), "중소기업연구 20년의 성과와 평가," 「중소기업연구」, 제21권, 제1호, pp. 335-390.
  27. 윤성민(2003), "하도급 중소기업의 R&D 활동 결정요인," 「중소기업연구」, 제25권, 제1호, pp. 51-82.
  28. 이상원.신진교.여경환(2019), "중소기업의 외부기관 협력과 신제품 매출 간의 관계: 기술혁신과 마케팅 역량의 역할," 「중소기업연구」, 제41권, 제3호, pp. 77-94.국제화시대의 중소기업 기술개발과 정책
  29. 이윤보(2007), "일본의 중소기업 혁신 관련법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연구」, 제29권, 제2호, pp. 295-314.
  30. 이윤보(2014), "중소기업 기술개발의 현황과 과제 - 자동차 부품업체를 중심으로 한 경영자원적 분석 -," 「중소기업연구」, 제17권, 제2호, pp. 309-330.
  31. 이윤하.박재민(2019), "정부지원제도와 기술혁신 저해요인이 중소제조기업의 연구개발 투자와 성과에 미치는 영향: CDM 모형을," 「중소기업연구」, 제41권, 제3호, pp. 49-75.
  32. 이장우.장수덕(1999), "성공벤처기업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중소기업연구」, 제21권, 제1호, pp. 105-133.
  33. 이재훈.김영운(2003), "중소기업의 기술 능력 보유, 경영자 특성 및 조직구조가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우리나라 주물소재산업," 「중소기업연구」, 제25권, 제4호, pp. 79-112.
  34. 전성희.이일규.이시영(2006), "중소기업 기술혁신개발사업과 경제성과," 「중소기업연구」, 제28권, 제3호, pp. 217-241.
  35. 정선양(1997), "독일의 중소기업 기술혁신 체제," 「중소기업연구」, 제19권, 제2, 153-177.
  36. 최동규(1989), "국제화시대의 중소기업 기술개발과 정책," 「중소기업연구」, 제11권, 제1호, pp. 163-202.
  37. 최종태(1979),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성장 요인에 관한 연구 - 인력개발을 통한 기술축적을 중심으로," 「중소기업연구」, 제1권, 제1호, pp. 57-91.
  38. 홍장표.남종석(2016), "대.중소기업간 거래관계가 협력 중소기업의 연구개발투자에 미치는 영향," 「중소기업연구」, 제38권, 제1호, pp. 87-107.
  39. 황영훈.김진모(2014), "중소기업 R&D 인력의 R&D 성과와 무형식학습, 학습동기 및 학습지원환경의 인과적 관계," 「중소기업연구」, 제36권, 제3호, pp. 105-131.
  40. Adams, R., J. Bessant, and R. Phelps(2006), "Innovation management measurement: A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Management Reviews, Vol.8, No.1, pp.21-47. https://doi.org/10.1111/j.1468-2370.2006.00119.x
  41. Ahuja, G., C. M. Lampert, and V. Tandon(2008), "Moving beyond Schumpeter: management research on the determinant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cademy of Management Annals, Vol.2, No.1, pp.1-98. https://doi.org/10.5465/19416520802211446
  42. Carlborg, P., D. Kindstrom, and C. Kowalkowski(2014), "The evolution of service innovation research: a critical review and synthesis," The Service Industries Journal, Vol.34, No.5, pp.373-398. https://doi.org/10.1080/02642069.2013.780044
  43. Christensen, C. M., M. E., Raynor, and R. McDonald(2015), "What is disruptive innovation," Harvard Business Review, Vol.93, No.12, pp.44-53.
  44. De Jong, J. P. and O. Marsili(2006), "The fruit flies of innovations: A taxonomy of innovative small firms," Research Policy, Vol.35, No.2, pp.213-229. https://doi.org/10.1016/j.respol.2005.09.007
  45. De Massis, A., F. Frattini, and U. Lichtenthaler(2013), "Research on technological innovation in family firms: Present debates and future directions," Family Business Review, Vol.26, No.1, pp.10-31. https://doi.org/10.1177/0894486512466258
  46. Duran, P., N. Kammerlander, M. Van Essen, and T. Zellweger(2016), "Doing more with less: Innovation input and output in family firm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59, No.4, pp.1224-1264.
  47. Eisenhardt, K. M. and J. A. Martin(2000), " Dynamic capabilities: what are they?.m"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21, No.10-11, pp.1105-1121. https://doi.org/10.1002/1097-0266(200010/11)21:10/11<1105::AID-SMJ133>3.0.CO;2-E
  48. Foss, N. J. and T. Saebi(2017), "Fifteen years of research on business model innovation: How far have we come, and where should we go?," Journal of Management, Vol.43, No.1, pp.200-227. https://doi.org/10.1177/0149206316675927
  49. Kohtamaki, M., R. Rabetino, and K. Moller(2018), "Alliance capabilities: A systematic review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dustrial Marketing Management, Vol.68, pp.188-201. https://doi.org/10.1016/j.indmarman.2017.10.014
  50. Laursen, K. and A. Salter(2006), "Open for innovation: the role of openness in explaining innovation performance among UK manufacturing firm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27, No.2, pp.131-150. https://doi.org/10.1002/smj.507
  51. Lavie, D., U. Stettner, and M. L. Tushman(2010),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within and across organizations," Academy of Management Annals, Vol.4, No.1, pp.109-155. https://doi.org/10.5465/19416521003691287
  52. O'Reilly III, C. A. and M. L.Tushman(2004), "The ambidextrous organization," Harvard Business Review, Vol.82, No.4, p.74.
  53. Pavitt, K.(1984), "Sectoral patterns of technical change: towards a taxonomy and a theory," Research Policy, Vol.13, No.6, pp. 343-373. https://doi.org/10.1016/0048-7333(84)90018-0
  54. Slater, S. F., J. J. Mohr, and S. Sengupta(2014), "Radical product innovation capability: Literature review, synthesis, and illustrative research propositions,"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Vol.31, No.3, pp.552-566. https://doi.org/10.1111/jpim.12113
  55. Todorova, G. and B. Durisin(2007), "Absorptive capacity: Valuing a reconceptualizatio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32, No.3, pp.774-786. https://doi.org/10.5465/AMR.2007.25275513
  56. Wang, Y. and N. Rajagopalan(2015), "Alliance capabilities: Review and research agenda," Journal of Management, Vol.41, No.1, pp.236-260. https://doi.org/10.1177/0149206314557157
  57. West, J. and M. Bogers(2014), "Leveraging external sources of innovation: a review of research on open innovation,"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Vol.31, No.4, pp.814-831. https://doi.org/10.1111/jpim.12125
  58. Zahra, S. A. and G. George(2002), "Absorptive capacity: A review, reconceptualization, and extensio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7, No.2, pp.185-203. https://doi.org/10.2307/4134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