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mart Factory Policy Measures for Promoting Manufacturing Innovation

제조혁신 촉진을 위한 스마트공장 정책방안

  • Received : 2020.01.29
  • Accepted : 2020.02.17
  • Published : 2020.06.30

Abstract

We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smart factory deployment and diffusion programs in Korea, and seek to promote manufacturing innov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MEs. The main conclusion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without additional market creation and supply chain improvement, smart factories are unlikely to raise profitability leading to overinvestment. Second, new business models need to connect "manufacturing process efficiency" with "R&D" and "marketing" in value chain in smart factories. Third, when introducing smart factories, we need to focus on the areas where process-embedded technology is directly linked to corporate competitiveness. Based on the modularity-maturity matrix (Pisano and Shih, 2012) and the examples of U.S. Manufacturing Innovation Institute (MII), we establish the new smart factory deployment policy measures as follows. First, we shift our smart factory strategy from quantitative expansion to qualitative upgrading. Second, we promote by each sector the formation of industrial commons that help SMEs to jointly develop R&D, exchange standardized data and practices, and facilitate supplier-led procurement system. Third, to implement new technology and business models, we encourage partnerships, collaborations, and M&As between conventional SMEs and start-ups and business ventures. Fourth, the whole deployment process of smart factories is indexed in detail to identify the problems and provide appropriate solutions.

본 논문은 현재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추진 중인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사업의 현황을 진단하고, 중소기업 관점에서 중소기업 제조 혁신을 위한 발전 방향을 모색한다. 본 논문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사업은 추가적인 시장 창출과 공급망 개선을 전제로 추진되어야 한다. 둘째,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사업은 "생산·공정"의 효율화를 넘어 "R&D"나 "판로"와 연계되는 새로운 사업을 창출하는 것을 지향해야 한다. 셋째, 공정기술이 기업 경쟁력으로 직결될 수 있는 분야를 중심으로 스마트공장 구축을 우선 지원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의 제조혁신연구소(Manufacturing Innovation Institute)의 사례를 참조하고, Pisano and Shih (2012)의 제품·프로세스 혁신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다음 네 가지 정책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스마트공장 추진 전략을 양적 확산 위주에서 질적 고도화로 전환한다. 둘째, 각 업종별로 중견·중소기업 중심의 공통기술개발과 표준화된 데이터 교환 및 업무교류 시스템 구축, 납품업체 중심의 조달시스템 운영 등을 추진한다. 셋째, 신기술·신사업 모델의 구현을 위해 기존 중소기업과 창업·벤처기업과의 제휴 및 협업, M&A를 장려한다. 넷째, 스마트공장의 세부 항목을 지수화하여 스마트공장 보급 전략의 적절성과 정책 지원의 문제점을 신속히 파악하고 보완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재원.곽기호.부제만.김민호.김채현(2019), "중소기업 디지털 전환을 통한 경쟁력 제고", 정책연구 19-06, 중소기업연구원.
  2. 강재원.박재성(2020), "스마트공장에서 스마트 비즈니스로: 스마트공장 도입 이후 과제와 도전", 중소기업포커스 제20-05호, 중소기업연구원.
  3. 강정석.조근태(2018), "자동화 및 스마트 공장 구축에 대한 정부 지원사업의 효과 분석," 「기술혁신학회지」, 제21권, 제2호, pp. 738-766.
  4. 관계부처합동(2018).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 혁신 전략."
  5. 구본진.이종선.이미화.손석호(2018), "국내 스마트 제조 정책과 지원 현황 및 개선 방안," 「KISTEP Issue Weekly」, No. 2018-01.
  6. 김남훈(2019), "국내 제조업의 위기 심화," 「하나금융 포커스」.
  7. 김도훈(2018), "제조업 위기 시대의 새로운 산업정책 방향의 모색," 「KIET 산업경제」.
  8. 김상훈.심우중(2015), "미래 제조혁신을 위한 스마트공장의 이슈와 과제," 「e-KIET 산업경제정보」.
  9. 김은(2019), "스마트 제조혁신 현황 및 발전 방향", 중소기업연구원 세미나 발표 자료, 2019. 12. 13.
  10. 김익성(2018), "독일기업의 4차 산업혁명 성공사례 및 한국기업과 정부에 대한 시사점: 스마트 공장을 중심으로," 「이슈 페이퍼(2018-10)」, 고려대학교 미래성장 연구소.
  11. 김한주.허훈.강재원.부제만(2019), "스마트 팩토리 도입시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국내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제42권, 제3호, pp.252-261. https://doi.org/10.11627/jkise.2019.42.3.252
  12. 김현득.이경근.윤제환.염세경(2019), "중소기업 경영환경이 스마트공장 수준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지」, 제32권, 제9호, pp. 1561-1579.
  13. 나형배.황인극(2018), "중소기업의 스마트 팩토리 현황 분석을 통한 향상 방안." 「대한설비관리학회지」, 제23권, 제3호, pp. 59-69.
  14. 류귀진.권혁인(2009), "산업간 융합 서비스모델 개발 방법론 연구," 「한국서비스학회지」, 제8권, 제4호, pp.201-214.
  15. 박종경.장태우(2018), "스마트제조 기술 국내 연구 고찰," 「한국전자거래학회지」, 제23권, 제2호, pp. 123-133. https://doi.org/10.7838/JSEBS.2018.23.2.123
  16. 박현준.심우중.이자연(2018), "DEA 와 Malmquist를 이용한 스마트공장 공급기업의 효율성과 생산성분석: 시스템.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을 중심으로," 「산업혁신연구」, 제34권, 제4호, pp. 101-130.
  17. 부산과학기술기획평가원(2018), "제조혁신을 위한 중소기업의 스마트 공장 도입 방안," 「BISTEP Beyond Sight」, 2018-10호.
  18. 산업통상자원부(2014), "창조경제 구현을 위한 제조업 혁신 3.0 전략."
  19. 산업통상자원부.민관합동 스마트공장 추진단(2017), "스마트공장 참조모델: 업종 중심으로."
  20. 성창용(2019), "중소 제조업체의 스마트공장 인지정도에 따른 구축 현황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제 20권, 제9호, pp. 182-187.
  21. 소아영(2017), "4차 산업혁명과 국내외 스마트 공장 산업동향," 「융합 Weekly TIP」, 제 57권, 융합연구정책센터.
  22.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2019), "스마트공장 소개," 2019.12.05.접속, https://smart-factory.kr/smartFactoryIntro.
  23. 신동평.양윤나(2018), "제조업 혁신 주도를 위한 스마트공장 정책 현황 분석 및 시사점." 「KISTEP Issue Weekly」,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4. 오주환.서진희.김진대(2019), "종업원 기술수용태도와 기술 사용용이성이 스마트공장 기술 도입수준과 제조성과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Vol.26, No.2, pp. 13-26.
  25. 윤인숙(2019), "미국의 제조 혁신 및 스마트 공정 관련 법제," 중소기업 제조혁신 정책 관련 법 제.개정을 위한 연구조사, 한국법제연구원.
  26. 이준기.우경아.박용(2011), "사례 분석을 통한 제조업의 서비스화: 한샘 가구제조 기업에서 인테리어 서비스 회사로의 변환," 「한국전자거래학회지」, 제16권, 제1호, pp. 117-131. https://doi.org/10.7838/JSEBS.2011.16.1.117
  27. 이해영.장준영(2018), "동남권 지역 중소.중견기업의 스마트공장 현황분석 및 대응 전략," 「한국통신학회지(정보와통신)」, 제 35권, 제4호, pp. 35-42.
  28. 이현정.김용진.임정일.김용운.이수형(2017), "스마트공장 구축을 위한 현장실태 및 요구사항 분석," 「한국정밀공학회지」, 제34권, 제1호, pp. 29-34. https://doi.org/10.7736/KSPE.2017.34.1.29
  29. 이현호.임춘성(2018), "중소기업의 스마트 공장 도입을 위한 SWOT 분석,"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9권, 제3호, pp. 1-14. https://doi.org/10.15207/JKCS.2018.9.3.001
  30. 임재현(2015), "다시 시작하는 인더스트리 4.0," 「POSRI 보고서」, 4-6, 포스코경영연구원.
  31. 전은경(2017). "스마트공장 관련 정책의 현황 및 개선과제." 국회입법조사처 NARS 입법 및 정책 과제 2017년 10월호.
  32. 정선양.전중양.황정재(2016), "중소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한 스마트공장 표준화 전략," 「기술혁신학회지」, 제19권, 제3호, pp. 545-571.
  33. 조호정(2013),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VIP 리포트; 독일의 창조경제: Industry 4.0의 내용과 시사점-제조업의 진화 전략이 필요하다," 「VIP Report 546」. 현대경제연구원.
  34. 주영석.이동희(2019), "중소 금속가공 기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스마트공장 도입 요인 연구," 「대한산업공학회지」, 제45권, 제1호, pp. 70-80.
  35. 중소기업중앙회(2016), "'스마트공장'에 대한 중소제조업 의견조사 결과보고."
  36. 중소기업중앙회(2018), "정부지원 스마트공장 구축 실태조사."
  37. 중소기업중앙회(2019), "정부지원 스마트공장 구축 실태조사."
  38. 중소벤처기업부(2019), "스마트공장 성과분석 연구용역 결과."
  39.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2018), "스마트공장 도입에 대한 중소제조기업 의견조사 결과."
  40.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2019), "스마트공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안 동향분석 결과보고."
  41. 한순흥.조현수.박홍석.노상도.김은(2018), "인더스트리 4.0," 「ICT 융합 Issue Report」, 제3호.
  42. 한평호(2018), "제조업 디지털 전환을 위한 스마트팩토리 추진 전략," 「리서치브리프 15호」, 경제.인문사회연구원 혁신성장연구단.
  43. IBK경제연구소(2015), "한국이 배워야 할 독일의 新산업정책 '인더스트리 4.0'," 「IBK경제소식지」 270호.
  44. 4차산업혁명위원회.관계부처합동(2018), "스마트공장 확산 및 고도화 전략."
  45. Deloitte (2017), "The Smart Factory," Delitte University Press.
  46. Frank, A., G. Mendes, N. Ayala, and A. Ghezzi (2019), "Servitization and Industry 4.0 convergence in the digital ltransformation of product firms: A business model innovation perspective," Technological Forecasting & Social Change, Vol.141, pp.341-351. https://doi.org/10.1016/j.techfore.2019.01.014
  47. Hackel, B., F. Hansch, M. Hertel, and J. Ubelhor (2019), "Assessing IT availability risks in smart factory networks," Business Research, Vol.12, pp.523-558. https://doi.org/10.1007/s40685-018-0071-5
  48. Horvath, D. and R. Szabo (2019), "Driving forces and Barriers of INdustry 4.0: Do multinational and small and medium-sised companies have equal opportunities?" Technological Forecasting & Social Change, Vol.146, pp.119-132. https://doi.org/10.1016/j.techfore.2019.05.021
  49. Manufacturing USA®, accessed December 5 2019, https://www.manufacturingusa.com.
  50. Metallo, C., R. Agrifoglio, F. Schiavone, and J. Mueller (2018), "Understanding business model in the Internet of Things industry," Technological Forecasting & Social Change, Vol.136, pp.298-306. https://doi.org/10.1016/j.techfore.2018.01.020
  51. Muller, J., O. Buliga, and K. Voigt (2018), "Fortune favors the prepared: How SMEs approach business model innovations in Industry 4.0," Technological Forecasting & Social Change, Vol.132, pp.2-17. https://doi.org/10.1016/j.techfore.2017.12.019
  52. Pisano, G. P., and W. Shih (2012), "Does America Really Need Manufacturing?" Harvard Business Press, March 2012.
  53. Porter, M. E. (1998), "Clusters and the new economics of competition," Harvard Business Review, Vol. 76, No. 6, pp. 77-90.
  54. Schuh, G., R. Anderl, J. Gausemeier, M. Hompel, and W. Wahlster (2017), Industrie 4.0 maturity index. Managing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companies. Munich: Herbert Utz.
  55. Schroder, C. (2016), "The Challenges of Industry 4.0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Friedrich-Ebert-Stiftung, Bonn, Germany.
  56. Sklyar, A., C. Kowalkowski, B. Tronvoll, and D. Sorhammar (2019), "Organizing for digital servitization: A service ecosystem perspective,"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104, pp.450-460. https://doi.org/10.1016/j.jbusres.2019.02.012
  57. Szalavetz, A. (2019), "Industry 4.0 and capability development in manufacturing subsidiaries," Technological Forecasting & Social Change, Vol.145, pp.384-395. https://doi.org/10.1016/j.techfore.2018.06.027
  58. Trippl, M., M. Grillitsch, A. Isaksen, and T. Sinozic (2015). Perspectives on cluster evolution: critical review and future research issues. European Planning Studies, 23(10), 2028-2044. https://doi.org/10.1080/09654313.2014.999450
  59. Tuptuk, N. and S. Hailes (2018), "Security of smart manufacturing systems," Journal of Manufacturing Systems, Vol.47, pp. 93-106. https://doi.org/10.1016/j.jmsy.2018.04.007
  60. Wang, Y., H. Ma, J. Yang, and K. Wang (2017), "Industry 4.0: A Way from Mass Customization to Mass Personalization Production," Advances in Manufacturing, Vol.5, No.4, pp. 311-320. https://doi.org/10.1007/s40436-017-0204-7
  61. "4차산업혁명대비...스마트공장화부터 시작하자," 「조선비즈」, 2017.05.24.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5/24/2017052400402.html.
  62. "스마트공장은 자동화공장이 아니다. 연결-통찰최적화가 결합된 '지능화공장'," 「동아비즈니스리뷰」, 제277호, https://dbr.donga.com/article/view/1101/article_no/8162
  63. "아디다스, 獨스마트공장 4년 실험 접고...다시 중국행", 「매일경제」, 2019. 11. 13., https://https://www.mk.co.kr/news/world/view/2019/11/9405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