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 of the Support Systems for SMEs' Technology Protection

중소기업 기술보호 지원제도의 활성화 방안 연구

  • Kim, Sung-won (Interdisciplinary Graduate Program in IT Law, Dankook Univ.) ;
  • Park, Hyun-ae (Interdisciplinary Graduate Program in IT Law, Dankook Univ.) ;
  • Lee, Hwansoo (Department of Convergence Security, Dankook Univ.)
  • 김성원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IT법학협동과정) ;
  • 박현애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IT법학협동과정) ;
  • 이환수 (단국대학교 융합보안학과)
  • Received : 2019.12.30
  • Accepted : 2020.01.08
  • Published : 2020.03.31

Abstract

As technology competition among companies has intensified, the importance of technology protection is increasing day by day. However, according to the status of technology leakage in Korea, the technology protection level of SMEs is weak. SMEs' technology leakage continues to occur, and the damage can be even more serious to SMEs. Thus, the government is operating various support systems for SMEs. However, despite the support system, the interest and use of SMEs is low.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major support systems for SME technology protection in Korea, and empirically analyzes the recognition and expectation effects of companies on the support system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discusses ways to improve the recognition and use of the support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strengthening SMEs 'technology protection by increasing the utility and enhancing the utilization of the support systems.

기업 간의 기술 경쟁이 치열해 짐에 따라 기술보호의 중요성은 날로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기술유출 현황을 살펴보면 중소기업의 기술보호 수준은 취약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중소기업의 기술유출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유출에 따른 피해는 중소기업에게는 더욱 치명적일 수 있다. 이에 정부에서는 중소기업을 위한 다양한 기술보호 지원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원제도에도 불구하고 중소기업들의 관심과 이용은 저조한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중소기업 기술보호를 위한 주요 지원 제도들의 현황을 살펴보고, 지원제도에 대한 기업들의 인식과 기대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지원제도의 인식 제고와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논의한다. 연구 결과는 국내의 중소기업 기술보호 지원제도의 효용성 증대와 활용성 제고를 통한 중소기업 기술보호 강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8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8S1A5A8027174), 이 논문은 산업통상자원부 산업보안전문인력양성사업의 지원을 받았음.

References

  1. 국가지식재산위원회(2018), 「지식재산분야 분쟁조정제도 활성화 방안(안)」
  2. 산업통상자원부(2015), 「제2차 산업기술의 유출방지 및 보호에 관한 종합계획('16~'18)」
  3. 중소기업 기술보호 범부처(2016), 「창조경제 생태계 강화를 위한 중소기업 기술보호 종합대책」
  4. 중소벤처기업부(2019), 「2018년도 중소기업 기술보호 수준 실태조사 보고서」
  5. 특허청(2011), 「영업비밀 관리 매뉴얼」 제1편 : 영업비밀 이론편, 특허청 산업재산보호팀, 현진문화사 : 대전광역시.
  6. 특허청(2017), 「중소.벤처 기업, 영업비밀 유출에 속수무책」
  7. 권혁신.김용현.임욱빈(2017), 「중소기업 기술보호를 위한 대중소기업 협력체계 구축방안 연구 용역」, 전략기술경영연구원.
  8. 나성현.강유리(2015), 「중소SW기업의 M&A 활성화 방안」- 연구보고서, 미래창조과학부.
  9. 안성진.김경환.유성원.정명기(2016), 「중소기업 기술보호 역량강화 대응방안」 - 연구보고서, 국가지식재산위원회.
  10. 강정헌(2015), "국내 중소기업 산업보안 증진 방안 제시", 「한국산업보안연구」, 제5권, 제1호, pp. 111-144.
  11. 강주영.이환수(2015), "산업보안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융복합 교육 방안", 「한국산업보안연구」, 제5권, 제2호, pp. 87-116.
  12. 김건희.박준석.정성배(2018), "산업기술 보호 활동이 산업보안정책 준수 의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보안연구」, 제8권, 제1호, pp. 75-111.
  13. 김광석.권보람.최연경(2017), "4차 산업혁명과 초연결사회, 변화할 미래 산업", 「삼정KPMG 경제연구원 Issue Monitor」, 제68호, pp. 1-18.
  14. 김도훈(2015), "미래의 성장동력 모색을 위한 과제와 해법", 「한국경제포럼」, 제3권 제2호, pp. 53-67.
  15. 김성원.이환수(2019), "하도급 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의 산업보안 역할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법학논총」, 제43권, 제3호, pp. 151-202.
  16. 나경연(2014), "연구개발투자의 생산성 증대에 관한 외부 효과", 「통계연구」, 제19권, 제1호, pp. 1-26.
  17. 노재철(2017), "중소기업기술유출 방지를 위한 인적.노무관리상의 문제점과 개성 방안", 「인하대학교 법학연구」, 제20집, 제2호, pp. 89-128.
  18. 노재철.고준기(2017), "'기술유출방지 및 보호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7호, pp. 487-49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7.487
  19. 문규석(2005), "국제법상 산업스파이에 관한 연구", 「성균관법학」, 제17권, 제3호, pp. 405-433.
  20. 박상훈.조남욱(2017), "중소기업 기술보호 지원제도에 대한 이용자와 정책담당자의 인식차이 분석", 「디지털산업정보학회 논문지」, 제13권, 제1호, pp. 37-41.
  21. 박정구(2014), "중소기업 기술보호지원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과학기술법연구」, 제20집, 제1호, pp. 185-224. https://doi.org/10.32430/ilst.2014.20.1.185
  22. 백민정.손승희(2011), "중소규모 조직구성원의 정보보안인식과 행동이 정보보안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연구」, 제33권, 제2호, pp. 113-132.
  23. 손승우(2019), "10배 징벌적 손해배상 제도 도입의 필요성", 「2019 중소기업 기술 보호 컨퍼런스 자료집」, pp. 13-20
  24. 손승우.김성원.유현우(2016), "기술의 수출 통제에 관한 법적 고찰 - 국가핵심기술과 전략기술을 중심으로", 「한국산업보안연구」, 제6권, 제1호, pp. 77-122.
  25. 윤종행(2017), "산업스파이 대응방안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단국대학교 법학논총」, 제41권, 제1호, pp. 303-320.
  26. 정연덕.이윤빈(2009), "국가지식재산의 해외 유출방어와 활용제고를 위한 정책적 대응방안",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Issue Paper」, 12월호, pp. 1-36.
  27. 정병일(2011), "지식재산기본법의 시행에 따른 산업기술보호제도의 개선연구", 「한국산업보안연구」, 제2권, 제2호, pp. 103-157.
  28. 정재승(2015), "중소기업 기술유출 및 기술인력 방지제도에 관한 연구", 「통상정보연구」, 제17권, 제3호, pp. 133-152.
  29. 조명근.이환수(2017a), "직무발명 보상액 산정 방법론의 개선방안 연구",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제7권, 제12호, pp. 101-110.
  30. 조명근.이환수(2017b),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산업보안의 인식 변화 연구", 「한국산업보안연구」, 제7권, 제2호, pp. 85-121.
  31. 최승재(2015), "중소.중견 기업 기술탈취 방지를 위한 손해배상소송의 실효성 확보 방안", 「지식재산연구」, 제10권, 제2호, pp. 69-98.
  32. 한정화(2017), "중소기업 정책 패러다임의 전환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연구」, 제39권, 제4호, pp. 159-179.
  33. 홍지승(2014), "중소기업의 창조형 기술혁신 실태와 정책과제", 「산업경제」, 특집편, pp. 7-17.
  34. Schwab, K.(2017),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rown Publishing Group, New York : USA.
  35. D. Lacey and B. E. James(2010), "Review of Availability of Advice on Security for Small/Medium Sized Organisations", Retried, https://ico.org.uk/media/1042344/revievew-availablility-of-security-advice-for-sme.pdf.
  36. H. Kim and H. Jang(2014), "The Industrial Security Management Model for SMBs in Smart Works.", Journal of Intelligent Manufacturing, Vol. 25, No. 2, pp. 319-327. https://doi.org/10.1007/s10845-012-0651-8
  37. R. L. Wolf-Smith and E. L. Connor(2004), "Bankruptcy Considerations in Technology Transactions.", American Bankruptcy Institute Journal, Vol. 23, No. 3, pp. 32, 76-78.
  38. S. Sohn., S. Hong and W. Lee(2017), "What matters in technology leakage i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the case of Korea.", Technology Analysis & Strategic Management, Vol. 29, No. 6, pp. 543-555. https://doi.org/10.1080/09537325.2016.1181746
  39. Y. Iteya and M. Endo(2006), "Strategies for Intellectual Property and Preventing Technology Leakage in China: A Comparison of Strategies Used in Japan, America, and Europe.", JECR DISCUSSION PAPER, No. 101, pp. 1-59.
  40. Z. Yan and L. Chao(2012), "The Influence of Monopoly on Market Price and Social Equity.", The Theory and Practice of Finance and Economics, Vol. 6, pp. 2-6.
  41.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 "기술자료 임치센터", https://www.kescrow.or.kr/tems/jedo/jedo.do.
  42.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 "중소기업 기술보호울타리", https://www.ultari.go.kr/portal/psi/m/tradeSecret.do.
  43. 박정만(2016), "기술탈취와 기술편취 근절을 위한 토론회 - 발제문(기술탈취와 기술편취 근절을 위한 입법과제)", 「참여 연대」, https://www.peoplepower21.org/Economy/1455814.
  44. 예진수(2018), "중국의 한국기업 M&A, '하이테크' 분야 최다", 「디지털타임스」,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8032102100832027001.
  45. 위성곤(2018), "최근 5년간 산업기술 유출 및 시도 적발, 총 152건",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제출자료, 더불어민주당 보도자료(위성곤 위원실), http://theminjoo.kr/fileDn.do?seq=47516.
  46. 장항배(2018), "중국으로 빼돌려진 한국 국가 핵심기술만 12개", 「중앙일보」, http://news.joins.com/article/22478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