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Frangibility of 9MM Bullet Related to Material Composition and Sinter Condition

합금 조성 및 소결 조건에 따른 9MM 탄자의 파쇄성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20.04.07
  • Accepted : 2020.05.08
  • Published : 2020.05.31

Abstract

Frangible bullets, which are shredded after impact on a target, reduce the possibility of both ricochet and unexpected injury in shooting training and in mission acts in dams, nuclear power plants, and cultural properties. Reducing the levels of hazardous materials in shooting ranges, such as lead, has become an important agenda for the government and environmental groups. In this study, the shape of a frangible bullet was designed for efficient shredding, and the safety and reliability were confirmed by actual firing under different process conditions. In additi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compaction pressure, density, and frangibility of each process, were compared by analyzing the microstructure of the sintered frangible bullet. The experiment revealed the smallest fragmentation after impact on the target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Cu-Sn 85:15; sintering temperature, 600℃; sintering time, one hour. Further development of the process conditions and experimental methods will contribute to the performance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a frangible bullet.

파쇄 탄두는 목표물에 충격시 탄두가 파쇄되어 사격 연습이나 댐, 핵발전소, 문화재 등 중요 시설에서 이루어지는 작전에서 파편의 도비로 인한 2차적인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최근에는 납(Lead)이 함유된 탄두로 인하여 사격장에서 발생하는 환경 유해물질을 줄이는 것이 정부와 환경단체에서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파쇄 탄두의 국내 개발 확대를 위해 파쇄탄의 효율적인 탄두 형상을 설계하였으며, 안전성과 신뢰성 확인을 위한 시험 진행 및 공정 조건별 실사격을 통한 실제 파편의 크기 확인을 진행하였다. 또한 소결된 파쇄탄자의 미세조직 사진 분석을 통해 공정별 압축강도, 밀도 및 파쇄성 등 물리적인 특성을 비교하였다. 본 실험을 통해 조성 성분 Cu-Sn 에서 조성 비율 - 85:15/소결온도 : 600℃/ 소결시간 : 1시간 조건에서 탄두의 정상적인 발사 및 목표물에 충격 후 최소의 파편으로 분쇄되는 최적의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했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공정 조건 및 실험 방법 등을 더 발전시켜 향후 파쇄탄자의 성능개량 및 환경 개선 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Keywords

References

  1. M. H. Kim, B. C. Shon. "Study on the improving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eco-friendly materials used for training ammuni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9, No.5, pp.557-562, 2018 DOI: https://doi.org/10.5762/KAIS.2018.19.5.557
  2. J. H. Hong, T. S. Jang, C. B. Song, B. I. Kim, "Desig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environment",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Military Science and Technology, Vol.14, No.2, pp.264-270, Apr. 2011 https://doi.org/10.9766/KIMST.2011.14.2.264
  3. Editorial department. "Poongsan institute of technology to open a new future of precision ammunition", Defence and Technology (365), pp.32-41, Jul. 2009
  4. Anish, Upadhyaya, Guneet Sethi. "Effect of heating mode on the densification and microstructural homogenization response of premixed bronze", Scripata Materialia, Vol.56, pp.469-472, 2007 https://doi.org/10.1016/j.scriptamat.2006.11.031
  5. S. Furtauer, D. Li, D. Cupid, H, Flandorfer. "The Cu-Sn phase diagram, Part I : New experimental results", Intermetallic, Vol.34, pp.142-147, 2013 https://doi.org/10.1016/j.intermet.2012.10.004
  6. Adnan, S. Jabur. "Effect of powder metallurgy conditions on the properties of porous bronze", Powder Technology, Vol.237, pp.477-483, 2013 https://doi.org/10.1016/j.powtec.2012.12.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