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rovement of Architectural Artworks System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Gyeonggi Province: A Case Study

건축물 미술작품 제도 개선을 위한 서울시와 경기도 사례 연구

  • Received : 2020.09.30
  • Accepted : 2020.11.12
  • Published : 2020.11.30

Abstract

The paper is to assess the recent changes in Architectural Artworks system in two regional districts,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to propose policies for further improvement. We focused on four aspects: overall pass rate, top-ranked artists' pass rate, proportion of artists ever passed, genre proportion artworks. It is observed that quality of artworks has improved, market monopolization has been eased, and entry to the market has become more active. However, sculptures accounted for the majority. Public art is gradually changing from 'decorative art' to 'site-specific art', and seeking harmony between architecture and surrounding landscape. To keep pace with this new trend, more institutional efforts should be made: fund raising to induce artwork supplies; introducing life-span concept to secure removal and deformation of artwork; imposing artists' follow-up services; imposing penalties against poor management; and authorizing the committee to choose exhibition sites.

이 논문은 우리나라 '건축물 미술작품' 제도가 공공미술 개념의 변화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는지를 각각 제도 개선 3년과 1년을 맞은 서울시와 경기도의 두 사례를 통해 살펴보고 보완점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두 지자체의 제도 개선 내용을 살펴본 뒤, 개선의 효과를 진단하기 위해서 제도 개선 전후의 전반적인 심의 승인율 추이, 상위 수주 작가들의 승인율 추이, 1개 작품 승인받은 작가의 비중 추이, 미술작품 장르별 비중 추이 등 4가지 분야 통계치를 산출하였다. 각각의 지표를 통해 작품 수준의 향상, 특정 작가의 독과점 해소, 신규 작가의 참여 기회 확대, 장르의 다양화 여부를 진단하였다. 그 결과 작품 수준이 좋아지고, 독과점은 해소되고, 신규 작가의 참여도 진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전히 조각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등 제도 개선이 변화되는 공공 미술의 흐름을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공미술은 '장식적인 미술'에서 벗어나 주변 건축이나 풍광과 조화를 이루는 '장소 특정적 (site-specific) 미술', 주민이 참여하는 '새로운 장르 공공미술'로 점차 변하고 있다. 이런 방향으로 가기 위해서는 적정 물량이 유지될 수 있도록 기금 출연 유도, 생애 주기(life span) 도입을 통해 작품의 철거 및 변형 보장, 작품 설치 후 작가의 보증기간 도입, 관리 부실 시 처벌 조항 명문화, 심의위원회의 작품 설치 장소 선정 권한 강화 등 제도적인 보완이 추가되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경호(2019), 포스트 디지털 시대의 공공미술 특징연구-디지털 매체로 지역 구성원과 소통하는 해외 사례 중심으로, 「기초초형연구」, 20(1), 26-35.
  2. 공주형(2011), 사회적 과정으로서의 공공미술, 「기초조형학연구」12(3), 13-22.
  3. 구건서, 문예 중흥의 제도적 기틀,「경향신문」, 1972. 9. 21.
  4. 권미원(2009), 공적 발언으로서의 미술, 「한국근현대미술사학」20(20), 176-191.
  5. 김미경(2009), 매체 실험을 통한 공공미술의 확장연구, 「예술과미디어」 8(1), 21-32.
  6. 맬컴 마일스(2000), 미술, 공간, 도시-공공미술과 도시의 미래, Art, Space and the City: Public Art and Urban Futures(박삼철 역), 서울: 학고재.
  7. 문화관광부(2005), 「건축물 미술장식 제도의 공공성 강화방안」.
  8. 박현주, '미술작품 제도' 특정 작가 40% 중복 수혜.문예기금도 방치, 「뉴시스」, 2019. 9. 30.
  9. 박찬경.양현미(2008), 공공미술과 미술의 공공성, 「문화과학」, 53, 95-125.
  10. 서울특별시(2019), 「서울시 공공미술 컨퍼런스 자료집」.
  11. 서울특별시(2015.4), 「건축물 미술작품 관련 법령 및 조례 규칙」.
  12. 서울특별시(2016.3), 「서울시 공공미술작품 관리 개선 계획」.
  13. 서울특별시(2016.8.10), 「공공미술작품 유지관리 계획」.
  14. 손영옥, 판박이 줄고 신인들도 햇빛...거리 표정이 다양해졌다, 「국민일보」, 2020. 7. 5.
  15. 손영옥, 거리로 나온 벽돌 정원...애프터 서비스가 필요해,「국민일보」, 2020. 9. 3.
  16. 수잔 레이시 편(2010), 새로운 장르 공공미술: 지형 그리기, Mapping the Terrain New Genre Public Art(이영욱.김인규 역): 서울: 문화과학사.
  17. 양현미(2004), 공공미술의 제도적 기반: '미술을 위한 퍼센트법'을 중심으로, 「현대미술사연구」, 16(1), 177-202.
  18. 양현미.김성규(2010), 건축물 미술장식 제도에 있어서 선택적 기금제 도입 방안 연구, 「문화정책논총」, 24, 135-160.
  19. 양현미(2016), 서울시 공공미술의 통합적 사후관리방안 연구, 「예술경영연구」40(40), 286-312.
  20. 양현미(2004), 공공미술의 제도적 기반: '미술을 위한 퍼센트법'을 중심으로 , 「현대미술사연구」, 16(1), 177-202.
  21. 예술경영지원센터(2019), 「미술시장실태조사 2019」.
  22. 유봉석, 건축물 미술품 의무 설치 폐지 추진, 「매일경제」, 2006. 5. 8.
  23. 윤종열. 이재명, 건축물 미술작품 부조리는 예술인 기회 빼앗아 돈버는 불법 덩어리,「서울경제신문」, 2018. 12. 1.
  24. 이동기. 박경신(2013), 건축물 미술작품 관리에 관한 법적 개선방안 연구, 「법학논총」, 26(1), 41-73. https://doi.org/10.17251/legal.2013.26.1.41
  25. 이민하, 공공미술을 통한 지역재생 전략-공공미술프리즘의 <덕이온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예술경영연구」30, 87-109.
  26. 이준형(2015), 건축물 미술작품의 사후 관리를 위한 법령 개정방안 방향, 「아주법학」, 8(4), 425-456. https://doi.org/10.21589/AJLAW.2015.8.4.425
  27. 전여진(2012), 도로 가로 경관개선을 위한 건축물 미술장식품의 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14(1), 151-158.
  28. 조광석(2016), 건축물 미술장식품의 예술적 가치에 대한 분석-서울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기초조형학 연구」17(6), 577-587.
  29. 조명계(2017), 가치수혜개념에 의한 건축물 미술작품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12(6), 68-78.
  30. 한국문화예술위원회(2010), 「건축물 미술장식의 사후관리 방안 및 표준 조례안 연구」.
  31. 한국문화예술위원회(2014), 「건축물 미술작품제도 운영 개선방안 연구」.
  32. Becker, Jack(2004), Public Art: An Essential Component of Creating Communities, American for the Arts.
  33.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공미술포털(www. publicart.or.kr)
  34.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www.law.go.kr)
  35. 문화예술위원회 홈페이지 https://www.arko.or.kr/board/view/4014?bid=463&page=1&cid=1603533&searchValue=공공예술&searchOperator=or&searchField=title,body&sf_icon_category=cw00000020
  36. 미국 워싱턴주 아트 커미션 홈페이지「Washington State Arts Commission (ArtsWA) https://www.arts.wa.gov/collection-care/ https://www.arts.wa.gov/artwork-acqui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