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the Appreciation of Artwork in the Workplace on Creativity

업무공간에서의 미술품 감상이 직장인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배지혜 (홍익대학교 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
  • 이승현 (홍익대학교 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
  • 왕연주 (홍익대학교 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
  • 김선영 (홍익대학교 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 Received : 2020.04.10
  • Accepted : 2020.05.07
  • Published : 2020.05.31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 of the appreciation of artwork in the workplace on creativity. To this end, two virtual workspace images with and without artwork were created, a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office workers. 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results to investigate whether and how much the appreciation and recognition of artwork was effective for the creativity. As a result, among the factors of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appreciation of artwork, "intellectual development" and "thinking" showed positive effects on the five sub-factors of creativity at work, such as original flexibility, alternative problem-solving skills, pursuit of adventure and freedom, individual independence, and exploratory immersion. Unlike most previous studies, however, "understanding" had a negative effect on original flexibility.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some of the factors of the appreciation and recognition of artwork had a positive effect on creativity at work.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that the appreciation of artwork in the workplace is effective for improving creativity at work and that it is important for each company to develop a streamlined approach based on its goal of pursuing a creative environment.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widespread use of artwork sharing services at workplaces as well as encouraging more empirical studies to be done on the effect of the services.

본 연구는 업무공간에서의 미술품 감상이 직장인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에서 미술품이 설치된 경우와 그렇지 않은 두 가지 가상의 업무공간 이미지를 제작한 후 미술품 감상 인지 정도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의 여부 및 그 정도를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미술품 감상에 따른 인지 요인 중 '지적 성장'과 '사고'는 각각 독창적 유연성, 대안적 해결력, 모험적 자유 추구, 개성적 독립, 탐구적 몰입 등 창의성의 5개 하위요인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이 검증되었다. 하지만 '이해'는 대부분의 선행연구와 달리 독창적 유연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미술품 감상의 인지 현상 요인 중 일부가 직장인의 창의성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미술품 감상은 직장인의 창의성을 향상하는 효과뿐만 아니라 기업마다 창의적 환경을 추구하고자 하는 목적에 맞게 체계적인 접근이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영자(2012), 토의식 미술감상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창의력교육연구」, 12(2): 5-24.
  2. 김경아.유진형(2016),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향상을 위한 스마트오피스 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39: 41-53.
  3. 김보람.이찬(2014), 현대 오피스 공간의 비일상적 특성 연구-IT 계열 업무공간을 중심으로, 「한국 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9(4): 213-221.
  4. 김상표.변충규.하환호(2014), 창의성이 높으면 기업가 정신도 높은가? :인지적 비인지적 창의성이 기업가 정신에 미치는 영향, 「경영컨설팅연구」, 14(3): 67-78.
  5. 김정희(1998), 「미술교육입문」, 서울: 형설출판사.
  6. 김주현(2019), 공유개념이 적용된 공유경제와 동시대 문화예술 산업의 관계성 연구, 「기초조형학회」, 20(2): 39-51.
  7. 김춘일(1988), 「미술과 교육론」, 서울: 갑을출판사.
  8. 김현종.김성훈(2019), 조직의 예술적 개입 사례를 통한 '예술 가치 매트릭스'(Art Value Matrix) 분석 연구: 예술인파견지원 사업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32(8): 1445-1464.
  9. 김현진.설현도(2014), 개인 창의성과 집단창의성의 관계에서 통합능력과 지식공유의 매개 효과, 「지식 경영연구」, 15(4): 223-247.
  10. 김혜숙(1999), 작품의 구조에 따른 초등학생들의 비평적 논리적 사고와 언어표현 함양에 관한 연구, 「미술교육논총」, 8(1): 115-139.
  11. 루돌프 아른하임(2004), 시각적 사고, Visual Thinking(김정오 역),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2. 박소라(2011), 오피스 어버니즘을 적용한 창의적 업무공간의 디자인 특성,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4(2): 185-194.
  13. 박화윤(2001), 미술작품 감상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2(2): 277-290.
  14. 변현숙(2002), 미술감상 교육이 학생들의 인격 형성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
  15. 소지연.윤나라(2012), 예술적 환경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기분, 몰입과 활성화의 매개역할과 조절 초점의 조절역할, 「마케팅연구」, 27(2): 53-83.
  16. 안지연(2014), 감상자 특성에 따른 미술감상의 양상,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미술교육전공 박사학위 논문.
  17. 안지연.민경환.김민희(2016), 미술감상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격과 미술 경험을 중심으로. 「조형교육」, 59(0): 145-161.
  18. 유미.이은희(2015), 업무공간에서 모듈화된 실내조경이 업무자의 심리적 회복에 미치는 영향, 「인간식물환경학회지」, 18(2): 79-87.
  19. 유보정.남경숙(2019), 오피스 빌딩 업무공간 감성디자인 표현 경향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1(3): 376-378.
  20. 윤은경.김형우(2014), 현대 업무공간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3(3): 204-211.
  21. 윤현섭(1998), 「예술심리학: 미의 형식과 내용을 중심으로」, 서울: 을유문화사.
  22. 엘렌 위너(2004), 「예술심리학」, Invented World: The Psychology of the Arts(이모영.이재준 역), 서울: 학지사.
  23. 이근출(2006), 미술감상 활동을 통한 창의적 사고력 신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 미술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
  24. 이경성(1987), 「미술감상입문」, 서울: 열화당.
  25. 이모영(2002), 미적 경험에 관한 다차원 통합모델, 「미학.예술학연구」, 15: 243-232.
  26. 이모영(2004), 예술심리학: 비판적 고찰과 전망, 「한국심리학회지」, 23(2): 65-86.
  27. 이모영(2006), 시각적 사고를 통한 창의성 신장 방안 연구, 「미술교육논총」, 20(3): 47-74.
  28. 이모영(2011), 미적 경험에 대한 심리학적 분석과 예술교육, 「문화예술교육연구」, 6(4): 1-24.
  29. 이모영(2013), 이미지의 인지적 차원에 대한 탐색적 고찰-시각적 사고를 중심으로,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36: 67-90.
  30. 이수경(1996), 국민학교 저학년 교육을 위한 미술적 접근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1. 이종은.고정민(2017), 세 가지 관점에서 본 큐레이터의 전문성 구성요인, 「예술경영연구」, 44:5-33.
  32. 정도균(2011), 행동유발을 통한 창조적 업무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1(1): 29-36. https://doi.org/10.17280/JDD.2011.11.1.004
  33. 정은이(2002), 일상적 전문적 창의성의 암묵 이론적 구조, 「교육심리연구」, 16(4): 147-167.
  34. 정은이.박용한(2002), 일상적 창의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교육문제연구」, 17: 155-184.
  35. 조준승.강철희(2016), 오피스 빌딩의 공유 업무공간에 대한 연구: Workplace innovation 방법에 관한 공간 계획,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10-113.
  36. 최보연.김세훈(2014), 문화예술교육정책에서의 창의성 인식에 관한 비판적 연구, 「예술경영연구」, 30: 5-34.
  37. 한지연.신홍경(2007), 21세기 업무공간의 감성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16(2): 139-146.
  38. An, D. & Youn, N.(2018), The Inspirational Power of Arts on Creativity,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85: 467-475. https://doi.org/10.1016/j.jbusres.2017.10.025
  39. Amabile, T. M.(1988), A model of creativity and innovation in organizations. in Staw, B. M. & Cummings, L. L. (eds.).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10: 123-167, Greenwich, CT: JAI Press.
  40. Amabile, T. M., Barsade, Sigal G., Mueller, J. S. & Staw, B. M.(2005), Affect and creativity at work.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50: 367-403. https://doi.org/10.2189/asqu.2005.50.3.367
  41. Anderson, T.(1986), Talking about art with children: From theory to practice, Art Education, 38(2): 5-8. https://doi.org/10.2307/3192931
  42. Anderson, HH.(1959), Creativity and its Cultivation, New York: Harper & Row.
  43. Baer, M.(2012), Putting creativity to work: The implementation of creative ideas in organization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55(5): 1102-1119. https://doi.org/10.5465/amj.2009.0470
  44. Becker, F., & Sims, W.(2001), Offices that work: Balancing communication, flexibility and cost, International Workplace Studies Program, New York: Cornell University.
  45. Burton, J., Horowitz, R., & Abeles, H.(1999), Learning in and Through the Arts: Curriculum Implications, Center for Arts Education Research, Columbia University.
  46. Eisner, E. W.(2008), Persistent tensions in arts-based research. M.Cahnmann-Taylor & R.Siegesmund(Eds.), Arts-based research in Education: Foundations for practice(pp. 16-27). New York: Routledge.
  47. Gaitskell, C.D., Hurwitz, A.(1975), Children and their art: Methods for Elementary school, New York: Harcourt.
  48. Guilford, J. P.(1950), Creativity, American Psychologist, 5: 444-454. https://doi.org/10.1037/h0063487
  49. Hurlock, E. B.(1978), Child development, NY. McGraw-Hill Book.
  50. Koster, J. B.(2009), Growing Artist: Teaching the Art to Young Children, NY: Delmar Thomson.
  51. Kweon, B. S., Ulrich, R. S., Walkerr, V. D., & Tassinary, L. G.(2008), Anger and Stress: The Role of Landscape Posters in an Office Setting, Environment and Behavior, 40(3): 355-381. https://doi.org/10.1177/0013916506298797
  52. Langer, E. J.(2005), Becoming an Artist: Reinventing Yourself Through Mindful Creativity, Ballantine Books.
  53. Maslow, A. H.(1954), Motivation and behavior, New York: Harper & Row.
  54. Osborn, A. F.(1953), Applied Imagination: Principles and Procedures of Creative Problem-Solving, 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55. Perkins, D (1994), The Intelligent Eye: Learning to Think by Looking at Art, Los Angeles: The J.Paul Getty Trust.
  56. Plucker, J. A.(2004), Generalization of Creativity across domains: Examination of the Method Effect Hypothesis,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38(1): 1-12 https://doi.org/10.1002/j.2162-6057.2004.tb01228.x
  57. Richards, R.(1999), Everyday Creativity, Encyclopedia of Creativity, Vol. 1, Academic Press.
  58. Rise Art(2020), Rise Art 홈페이지, 2020. 3. 20. .
  59. Shin, S. J., Kim, T. Y., Lee, J. Y., & Lin Bian(2012), Cognitive Team Diversity and Individual Team Member Creativity: A cross-level interac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55(1): 197-212. https://doi.org/10.5465/amj.2010.0270
  60. Smilaglia, C.(2014), Artworks at Work: the Impacts of Workplace Art. Journal of Workplace Learning, 26(5): 284-295. https://doi.org/10.1108/JWL-11-2013-0097
  61. Sternberg R.J., & Lubart, T.I.(1991), An Investment Theory of Creativity and Its Development, Human Development, 34: 1-31. https://doi.org/10.1159/000277029
  62. Torrance, E.P.(1989), The Nature of Creativity as Manifests in its testing. The Nature of Crea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63. Zhou, J., & George, J. M.(2001), When Job Dissatisfaction Leads to Creativity: Encouraging the Expression of Voi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4(4): 682-696. https://doi.org/10.2307/3069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