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Corporate Practices of Sustainable Corporate Citizenship Activities with Culture

문화를 통한 지속가능한 기업시민 실천을 위한 연구

  • 손예령 (포스텍 기업시민연구소)
  • Received : 2020.09.30
  • Accepted : 2020.11.19
  • Published : 2020.11.30

Abstract

Not only the government, but private corporations have contributed a lot to growth and development of culture. Corporations have mainly made charitable, dispensational Macenat activities which are separate from their business activities. Such an one-sided and charitable method of supporting culture cannot last long - Part of the reason why the number of corporations supporting culture is decreasing lies in it. In order to have sustainable partnership with culture, first, corporations should figure out needs of the other party. Second, the activities of corporations to support culture should be corporate citizenship activities which are linked to their business activities. In particular, the existing concepts of CSR and CSV have some limits. CSR separates business activities of corporations and their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and CSV mainly assumes corporate social activities helpful to their business activities. But, the concept of corporate citizenship suggested in this study assumes corporate activities where corporations do their best not only in their business activities, but in solution of social problems. Accordingly, searching for the ways to practice corporate citizenship, this study analyzed global agendas of UN, UNESCO, and UCLG which suggest sustainable development with culture and corporate citizenship activities related with culture among corporation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The findings and hin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corporate citizenship activities can contribute to building of unique images of corporations and improvement of brand identities. Second, such activities can help corporations to be born again as life style companies by using local cultures and their attractiveness. Third, corporations should have partnership with cultural associations creating shared values and provide them with continuous and stable support. And, cultural associations should try to grow with corporations through efforts to develop attractive contents and programs harmonious with management purposes of corporations.

그동안 문화분야의 성장과 발전을 위하여 정부뿐만 아니라 기업에서도 많은 기여를 해왔다. 그러나 기업에서는 주로 자선적이거나 시혜적인 메세나(mecenat) 활동을 펼쳐왔고, 기업의 업(業)과 분리되어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일방적이고, 업과 분리된 방식은 오랫동안 지속되기 어렵다. - 문화 분야를 지원하는 기업의 수가 점차 줄어들고 있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 기업과 문화예술계가 지속가능한 동반자 관계(partnership)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서로의 니즈(needs)를 파악하여 상호 호혜적인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하며 특히, 기업의 업과 연계된 기업시민(Corporate Citizenship)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화를 통한 지속가능한 기업시민 실천방향에 대하여 모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화와 지속가능한 발전에 관하여 언급한 글로벌 어젠다를 살펴 보았으며, 아울러 국내·외의 문화분야에 대한 기업시민 실천사례 분석을 통해 지속 가능한 기업시민 실천에 대한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먼저, 문화를 통한 지속가능한 기업시민 실천을 위하여, 기업은 지역문화에 대한 지원은 물론, 그 지역만이 가진 차별적인 문화와 매력을 활용하여 라이프스타일 기업으로 거듭나야 한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와 상생하고 지역주민들의 삶의 개선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앞으로 주도할 시장에서 문화는 혁신과 창의성을 이끄는 강력한 무기가 될 것이며 이러한 문화를 적극 활용한다면, 내부적으로는 조직 내 창의성 개발 및 조직문화 개선에 도움이 되며, 대외적으로는 브랜드 이미지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또한, 기업이 공유된 가치를 창출하는 문화예술단체(또는 예술가)와 파트너십을 맺어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지원하고, 문화계에서도 기업의 경영 목적에 부합되는 매력있는 콘텐츠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의 노력이 이루어진다면, 기업의 지원과 소비를 지속적으로 끌어냄은 물론, 기업-문화예술계-지역사회 간의 지속가능한 생태계가 구축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수빈.김진희(2017), 지속가능문화를 위한 지역의 역할과 과제 : 문화21을 중심으로, 「문화교류연구」 6(4) : 89-113.
  2. 공용택.김재범(2011), 도시와 기업의 문화거버넌스 연구모형에 대한 개념적 연구, 「예술경영연구」18: 35-66.
  3. 김석호 외(2020), 「기업시민 포스코 임직원 사회참여 조사」, 서울: 포스텍기업시민연구소.
  4. 김소영(2010), 예술을 파트너로 기업-문화 윈윈,「DBR(동아비즈니스리뷰)」62(2010년 8월 Issue 1).
  5. 노영순(2014), 「문화.관광분야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확산을 위한 기초연구」, 서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6. 노영순(2017), 「UN 지속가능발전목표(UN SDGs)와 문화정책의 대응 방안」, 서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7. 롤프 옌센(2000). 드림소사이어티, Dream Society(서정환 역), 서울: 리드리드 출판.
  8. 롤프 옌센.미카 알토넨(2014), 르네상스 소사이어티, The Renaissance Society(박종윤 역), 서울: 내인생의 책.
  9. 마창성(2018), 지역사회와 동반 성장, 「영남일보」보도자료 2018.03.28.
  10. 모종린(2019), '한국산'아닌 한국의 라이프스타일 지역성 살린 고유 콘텐츠에 초점을, 「DBR(동아비즈니스리뷰)」277(2019년 7월 Issue 2).
  11. 박명규(2019), 사회적 가치와 네트워크형 혁신, 「기업시민리서치」 2 : 4-11, 포스텍기업시민연구소.
  12. 박흥수(2013), 사회적 책임이 아닌 공동의 가치를 추구한다. Don't be Evil, 「대홍 커뮤니케이션즈」, 1-2월호.
  13. 송호근(2019), 왜 기업시민인가? '21세기 자본과 이중운동의 前衛', 「기업시민리서치」 1 : 18-21, 포스텍기업시민연구소.
  14. 송호근.이재열.조준모.윤정구.한준(2019), 기업시민의 길: 되기와 만들기, 파주: 나남.
  15. 신혜정(2012), 협력으로 승화하는 기업의 사회공헌, 「SERI CEO Information」 843호, 삼성경제연구소.
  16. 양원준(2020), 기업이 시민이 되다! 새로운 경영이념 주목, 「The Leader」210(2020년 5월호), CHIEF EXECUTIVE.
  17. 이정동(2015), 창조적 축적 지향의 패러다임으로 바꾸어야 한다, 서울대학교 공과대학교 공저,「축적의 시간」, 서울: 지식노마드.
  18. 이재우(2013), 「스포츠 프로모션」,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19. 이호승(2013), 임팩트 투자, 「디지털타임스」, 보도자료 2013.11.27.
  20. 전정환(2019), 「밀레니얼의 반격」, 서울: 더 퀘스트.
  21. 최병권.문형구.주영란(2017), CSR 인식의 국내 연구동향과 향후 연구방향: '종업원의 CSR 인식' 연구를 중심으로, 「경영학연구」46(5): 1247-1302
  22. 최숙희(2004), 윈윈전략으로서의 사회공헌활동의 현황과 시사점, 「SERI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23. 최연구(2017), 「4차 산업혁명시대 문화경제의 힘」, 서울: 중앙경제평론사.
  24. 최태원(2018), 「라이프스타일 비즈니스가 온다」, 서울: 한스미디어.
  25. 카이스트 문술미래전략대학원.미래전략연구센터(2019), 「카이스트 미래전략 2020: 기술과 인간의 만남」, 파주: 김영사
  26. 한국메세나협회(2017), 「문화예술과 기업경쟁력: 기업-정부-예술 간 3각 파트너십」.
  27. 한국메세나협회(2019), 「2018년도 기업의 문화예술 지원 현황 조사」.
  28. 한국정책학회(2011), 주요국의 문화예술단체 지원방식 연구, 문화체육관광부.
  29. Backhaus, Kristin B., Stone, Brett A., & Heiner, Karl(2002), Exploring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Social Performance and Employer Attractiveness, Business & Society, 41(3): 292-318. https://doi.org/10.1177/0007650302041003003
  30. Darso, L.(2004), Artful Creation: Learning Tales of Arts-in-business, Samfundslitteratur.
  31. Dessein, J., Soini, K., Fairclough, G., & Horlings, L.(2015), Culture in, for and as Sustainable Development: Conclusions from the COST Action IS1007 Investigating Cultural Sustainability, Jyvaskyla: University of Jyvaskyla.
  32. Hawkes, J.(2001), The fourth pillar of sustainability: culture's essential role in public planning, Melbourne: Common Ground.
  33. Hayes, A.(2020), Corporate Citizenship, Investopedia.
  34. Matten, D. & Crane, A.(2005), Corporate Citizenship: Toward An Extended Theoretical Conceptualization,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0(1), 166-179. https://doi.org/10.5465/AMR.2005.15281448
  35. Mirvis, Philip H. & Googins, Bradley K.(2006), Stages of Corporate Citizenship, Engineering Management Review, 34(3):1-21.
  36. New Zealand Ministry for Culture and Heritage(2006), Cultural well-being and local government, Report 1: Definition and context of cultural well-being, Wellington. NZ: New Zealand Ministry for Culture and Heritage.
  37. OECD(2019), Social Impact Investment: The Impact Imperativ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Highlights.
  38. Schwaiger, M., Sarstedt, M., & Taylor, Charles R.(2010), Art for the Sake of the Corporation: Audi, BMW Group, DaimlerChrysler, Montblanc, Siemens, and Volkswagen Help Explore the Effect of Sponsorship on Corporate Reputations,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50(1): 77-91 https://doi.org/10.2501/S0021849910091208
  39. Shore, Lynn M., Martin, Harry J.(1989),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Relation to Work Performance and Turnover Intentions, Human Relations, 42(7): 625-638. https://doi.org/10.1177/001872678904200705
  40. The Bridgespan Group(2018), What Is Impact Investing and Why Should You Care?
  41. The Legatum Institute Foundation(2019), The Legatum Prosperity Index 2019.
  42. Turban, Daniel B., Greening, Daniel W.(1997), Corporate Social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Attractiveness to Prospective Employees, Th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0(3): 658-672. https://doi.org/10.2307/257057
  43. UCLG(2015), Culture 21 : Actions-Commitments on the role of culture in sustainable cities.
  44. United Nations(2016), Resolution on Cultur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RES/70/214.
  45. 유니레버 카탈리스트 홈페이지(https://www.catalyst.org)
  46. 피츠버그 문화 트러스트 홈페이지(https://trustarts.org)
  47. F1963 홈페이지(http://www.f1963.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