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 가능한 꽃바구니 디자인 패키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ustainable Packaging for Flower Basket Design

  • 안혜경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산업디자인전공) ;
  • 김흥렬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과)
  • 투고 : 2020.07.21
  • 심사 : 2020.08.10
  • 발행 : 2020.08.31

초록

플로리스트 샵에서 판매되는 꽃바구니 디자인의 지속가능한 패키징은 판매자와 구매자의 관점에서 필요하였으며 이에 꽃바구니 디자인의 2차 패키징을 연구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9년 실시한 설문조사와 2020년 인터뷰 내용을 분석하여 지속가능한 꽃바구니 디자인 패키징 개발 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꽃바구니 디자인의 개념을 정의하고 오브제인 바구니 유형, 운송수단과 플로리스트 샵 특성 등에 따른 국내의 꽃바구니 디자인 2차 패키징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지속가능한 패키징을 위해서는 물리적 이론 토대 위에 디자인 요소를 포함한 패키징과 운반수단과 최종착지에 따른 2차 패키징이 달라져야 했다. 지속가능한 패키징으로 고려되어야 할 점은 불투명 종이의 재질, 1차 패키징 필요성, 오브제를 고정할 수 있는 패키징 구조와 운송수단에 따른 2차 패키징의 형태였다. 패키징 개발을 위한 방향제안은 1차 패키징의 신소재, 재활용/재사용이 가능한 친환경의 오브제, 구조적 패키징 디자인, 패키징의 규격화와 가변성 있는 패키징과 패키징의 근본적 목적인 꽃상품 보호와 브랜드 광고효과까지를 포함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패키징 디자인을 상품화하고 무인 시스템에 맞는 미래형 화예디자인의 새로운 패키징 디자인과 물류 유형을 연구할 계기가 된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Since sustainable packaging of flower basket designs that are sold from florist shops is needed for both the seller and the buyer, studying of second packaging of flower basket design has begun. In this study, based on the survey that has been done in 2019, and the analysis of the interview that has been done in 2020, the suggestion of sustainable packaging development is the purpose. The definition of flower basket design was done and surveys of the status of domestic flower basket designs' second packaging were done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basket which is an object, transportation, and characteristic of a florist shop. For sustainable packaging, based on physical theory, second packaging which depends on the packaging that includes design factor, transportation final destination has to be different. The factors to be considered as sustainable packaging are the quality of opaque paper, the necessity of first packaging, packaging structure that can fix an object, the form of second packaging influenced by types of transportation. Suggestions for packaging development included new materials for first packaging, eco-friendly objects that can be recycled and reused, structural packaging design, standardization and variability of packaging, protection of floristry which is the fundamental purpose of packaging, and brand advertisement effect.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further designs of packaging will be commercialized. This study is significant for serving the opportunity of new packaging design for futuristic floristry that fit for unmanned system and studying of categories of products.

키워드

참고문헌

  1. 고하수, 「한국의 꽃예술사 1, 2」, 하수출판사, 1974.
  2. 송영은, 하상오, 「패션브랜드 쇼핑백디자인의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 브랜드디자인학연구, 2011.
  3. 안혜경, 「지속적인 가치 유지를 위한 화예디자인 패키징의 소비자 요구에 관한 연구」,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2019.
  4. 왕경희, 「색상 조화에 따른 꽃바구니 색채 이미지 언어 연구」,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2008.
  5. 윤영신, 「사상적 배경에 의해 형성된 한국 전통화예 화형의 형태에 관한 분석」, 대구카톨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8.
  6. 이정민, 「環境親和 價置를 위한 華藝디자인의 正體性 確立과 表現에 관한 硏究」, 숙명여자대학교석사학위 논문, 2000.
  7. 하영선, 「식품의 포장과 물류」, 효일, 2003.
  8. 한국꽃예술작가협회, 「화훼장식 Floral Design」, 도서출판SAY, 2004.
  9. 한국화예디자인학회, 「한국화예대사전」, 도서출판인아, 2003.
  10. 허북구, 「꽃바구니 기초 이론」,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2001.
  11. Niizuma Naomi, 「華, flower arrangement」, 월간 Fleur,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