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Emotion and EEG of People with Mental Illness by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 Based on Horticultural Therapy

원예치료 기반 직업재활 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인의 정서 및 뇌파에 미치는 영향

  • 설가애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원예학과) ;
  • 윤숙영 (대구가톨릭대학교 원예학과) ;
  • 최병진 (대구가톨릭대학교 원예학과) ;
  • 장현희 (세인플라워)
  • Received : 2020.07.14
  • Accepted : 2020.08.14
  • Published : 2020.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motion and EEG of people with mental illness by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 based on horticultural therap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ree people with mental illness who were training in a vocational rehabilitation team at a health center located in G city, Gyeongsangbuk-do. The result of this study, positive affect increased and negative affect decreased. The result of EEG inspection was increased 17.27% on pre test to 21.39% on post test for Theta wave and 39.66% on pre test to 49.02% on post test for Alpha wave in case of subject A. Also Beta wave was decreased 27.53% on pre test to 17.54% on post test. Subject B increased Alpha wave 29.70% on pre to 31.82% on post. Subject C increased Alpha wave 26.30% on pre to 49.42% on post. Beta wave decreased 29.85% on pre to 16.13% on post. Theta wave, when creatively idea or thought occurs, alpha wave when safety and focusing was increased and beta wave when stress, tension and anxiety was decreased. As a result of profits analysis, subject A spent cost a total of 101,700 won for material and achieve profits of 203,400 won by setting a sales price. Therefore, gain the 101,700 won of net revenue. Subject B spent cost a total of 81,000 won for material and achieve profits of 162,000 won by setting a sales price. Therefore, gain the 81,000 won of net revenue. Subject C spent cost a total of 56,200 won for material and achieve profits of 112,400 won by setting a sales price. Therefore, gain the 56,200 won of net revenue.

본 연구는 원예치료 기반 직업재활 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인의 정서 및 뇌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는 경상북도 G시 보건소의 직업재활반 정신장애인 회원 3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 모두 정적 정서는 증가, 부적 정서는 감소되었다. 뇌파 검사 결과 대상자 A는 세타파가 사전 17.27%, 사후 21.39%, 알파파가 사전 39.66%, 사후 49.02%, SMR파가 사전 13.53%, 사후 18.49%, 중간베타파가 사전 39.72%, 사후 41.53%로 증가, 베타파가 사전 27.53%, 사후 17.54%, 고베타파가 사전 46.75%, 사후 39.98%로 감소하였다. 대상자 B는 알파파가 29.70%, 사후 31.82%, 중간베타파가 사전 44.24%, 사후 65.76%로 증가, 고베타파가 사전 29.04%, 사후 9.09%로 감소하였다. 대상자 C는 알파파가 26.30%, 사후 49.42%, SMR파가 사전 19.86%, 사후 20.59%로 증가, 베타파가 사전 29.85%, 사후 16.13%로 감소하였다. 아이디어, 창조적 사고가 발생하는 세타파와 안정 상태, 집중, 학습에 몰두할 때 나타나는 알파파, SMR파, 중간베타파는 증가, 스트레스, 긴장, 불안 시 발생하는 베타파, 고베타파는 감소하였다. 수익금 분석 결과 대상자 A는 101,700원, 대상자 B는 81,000원, 대상자 C는 56,200원의 수익을 얻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현우, 김세인, 문세미, 최민우, 황성수, 「가상현실을 활용한 정신장애인 직무교육 시스템」,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2018(1), 2018.
  2. 공마리아, 곽봉철, 김준수, 정여진, 「젠탱글 활용 미술치료가 평생교육센터 이용 발달장애인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4), 2019.
  3. 김명식, 홍정애, 정성혜,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정신지체학생의 직업재활을 위한 신체 민첩성 및 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8(4), 2005.
  4. 김미영, 김주미, 김귀순, 이용범, 「만성 정신장애인의 사회복귀를 위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2009(10), 2009.
  5. 김미영, 박우권, 김성렬, 「치료정원을 이용한 원예작업치료프로그램이 만성 정신장애인의 정서적 안정과 손 기민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19(2), 2016.
  6. 김민, 전동일, 조성재, 「정신장애인 질병관리와 회복관점에서 본 장애인재활상담사의 전략」, 「직업재활연구」, 29(3), 2019.
  7. 김성민, 김기성, 홍정원, 박천호, 「동양란의 향기와 자태가 인간의 뇌파와 감성 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2013(10), 2013.
  8. 김예지, 이수현, 정혜진, 「국내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문헌분석을 중심으로」, 「중독과 복지」, 2(2), 2018.
  9. 김정진, 「생애사 연구를 통한 정신장애여성의 영농 직업재활 경험 이해」, 「생명연구」, 55(-), 2020.
  10. 김춘정, 이은주, 「편백향 편성물의 향기 강도와 색채 톤에 따른 뇌파 및 주관적 감성」, 「한국섬유공학회지」, 56(2), 2019.
  11. 김현희, 유나연, 석진아, 조원근,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정신건강고위험군의 자아존중감 향상 및 우울증 해소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학술대회」, 2014(-), 2014.
  12. 김홍렬, 「원예치료가 정신장애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농업생명과학연구」, 41(4), 2007.
  13. 김홍열, 한인자, 「원예치료가 정신장애인의 증상완화에 미치는 영향」, 「자연과학연구논문집」, 5(1), 2007.
  14. 나은영, 「감사성향이 직무스트레스에 의한 직무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을 조절하는가? : 직업재활 중인 만성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15.
  15. 문종훈, 「중.고령 정신장애인의 재활복지 서비스 이용경험과 필요성 연구: 일상생활도움 필요성과 삶 만족도를 포함하여」,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11(2), 2019.
  16. 설가애, 윤숙영, 최병진, 「원예상품 제작 및 판매활동이 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22(3), 2019.
  17. 송종은, 엄수진, 김수연, 이종섭, 손기철, 「실내식물이 정신분열증 환자의 뇌파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2001(5), 2001.
  18. 신동준, 김주연, 「치유공간 색채환경 연구를 위한 선행 EEG 실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12(3), 2017.
  19. 신소양, 최재란, 하서연, 박윤점, 「원예치료가 정신지체 장애인의 사회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학술대회」, 2016(-), 2016.
  20. 안민자, 김도연, 「self-talk 중심 인지재구성 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발달지원연구」, 8(2), 2019.
  21. 오수환, 정유숙, 윤희준, 이동익, 김병욱, 박정아, 이서지, 이빛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환아들의 인지 행동적 특성과 정량 뇌파와의 관계 : 후향적 단면 연구」, 「신경정신의학」, 57(3), 2018.
  22. 윤지영, 「장애인복지관의 옥상정원 활용방안」,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12.
  23. 이상미, 「대상자별 원예치료의 효과와 수익접근법적 경제가치분석」,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06.
  24. 이선이, 원도호, 신순애, 조원근, 「정신장애인 부부팀의 자존감증대와 정서안정을 위한 원예프로그램」,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학술대회」, 2015(7), 2015.
  25. 이선자, 「구성주의 학습 이론이 도입된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적용 및 모델제시 - 지적장애 청소년의 직업재활을 중심으로 -」,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12.
  26. 이수종, 「지적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위한 전통공예 프로그램 개발 연구」,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논문, 2011.
  27. 이수진, 임채연, 박영준, 「건설근로자의 통합적 스트레스 반응과 뇌파신호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건축시공학회지」, 20(1), 2020.
  28. 이승환, 「조현병과 뇌파」, 「신경정신의학」, 58(2), 2019.
  29. 이윤정, 장유진, 홍종원, 박천호, 「원예치료가 요양병원 노인환자의 뇌파변화와 손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2009(10), 2009.
  30. 이진한, 신홍범, 김종원, 서호석, 이영진, 「뉴로피드백 훈련에 의한 뇌파 변화 연구 : 일차성 불면증 환자에 대한 예비 연구」, 「수면.정신생리」, 26(1), 2019.
  31. 이현희, 김은정, 이민규, 「한국판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의 타당화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지」, 22(4), 2003.
  32. 장혜숙, 유은하, 김경미, 정순진, 김재순, 마승희, 「치유농업활동에 따른 대사성 만성질환자의 뇌파 및 심전도 변화」,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2019(10), 2019.
  33. 정순재, 이영범, 윤철호, 조현구, 「원예치료가 정신지체장애인의 주의집중과 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8(3), 2005.
  34. 정은경, 이시래, 서정근, 「원예치료프로그램(HTP)이 정신장애인의 자아상태, 대인관계 및 면역글로블린 IgG함량에 미치는 효과」,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3(3), 2000.
  35. 조태옥, 「원예치료가 정신분열증 환자의 대인관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14.
  36. 조현구, 이병영, 정순재, 「원예치료프로그램이 정신지체 장애인의 직업재활에 미치는 효과」,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10(4), 2007.
  37. 좌성민, 「기공수련 시 두뇌 영역별 뇌파 특성 비교 연구」,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박사논문, 2011.
  38. 최혜원, 「장애인근로자의 직무만족요인에 관한 연구-대구지역을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6.
  39. 최희철, 「한국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의 현황과 발전방안」, 「임상사회사업연구」, 12(1), 2015.
  40. 최희철, 배은미, 박동진, 신숙경, 「정신질환자 직업재활시설 서비스에 대한 질적 연구」, 「융합정보논문지」, 9(1), 2019.
  41. 편수빈, 김선옥, 박신애, 「실내 원예활동 시 뇌파측정을 통한 노인의 인지효과 규명」,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2019(5), 2019.
  42. 한국원예치료복지협회, 「(원예치료사를 위한) 원예치료와 복지원예」, 「부민문화사」, 2019.
  43. 한명훈, 김지웅, 김도윤, 박혜선, 박한선, 황태연, 서용진, 김승준, 임우영, 이상민. 「우리나라 정신장애인 직업재활 현황 조사연구」, 「정신신체의학」, 25(2), 2017.
  44. 한수미, 「정신장애인의 가족지지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12), 2018.
  45. 한인자, 김홍열, 송영란, 강덕규, 「원예치료가 정신장애인의 정서 및 사회성 회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2001(10),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