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earch on Difficulties and Supporting Measures of Teachers Who Teach Gifted Students in Invention

발명 영재를 지도하는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방안 연구

  • Received : 2020.03.27
  • Accepted : 2020.04.23
  • Published : 2020.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iculties of teachers who teach gifted students in invention and to help address their concerns. To this end, the researcher interviews four teachers with more than three years of experience in guiding gifted students in invention. As a result, they have the difficulties such as difficulties in themselves, relationship with parents, in teaching students, relationship with school and relationship with education office. Supporting measures are 1) strengthening incentives for inventive gifted teachers, 2) continuing in service education, 3) improving the student selection process for gifted students in invention, 4) improving parents' perception of gifted students in invention, 5) improving awareness of school administrators, 6) consistent and continuous administr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발명 영재 지도교사가 겪는 어려움을 파악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발명 영재 지도 경력 3년 이상의 교사 4명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발명 영재 지도교사는 크게 교사 자신의 어려움, 학생 지도의 어려움, 학부모 관계의 어려움, 학교 관계의 어려움, 교육지원정과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에 대한 지원 방안으로는 지도교사에 대한 유인책을 강화 및 지속적인 연수 실시, 영재 학생 선발 과정 개선, 학부모의 발명 영재에 대한 인식 개선, 학교 관리자의 인식개선, 일관되고 지속적인 행정 운영 등이 제시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호감, 최선영(2004).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원의 전문성 계발에 관한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과학교육논총, 16, 115-138.
  2. 고민석, 박병태(2011). 영재관찰추천 과정에서 담임교사가 겪는 어려움 분석. 영재와 영재교육, 10(2), 101-126.
  3. 김미숙, 전경란(2008).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영재교육 만족도 분석. 한국교육, 35(2).
  4. 김용익(2011). 발명 영재 교육의 현황, 당면 과제 및 개선 방안. 한국 실과교육학술지, 24(4), 1-18.
  5. 박광렬, 최호성(2011). 발명 영재 교육기관의 교수-학습 실태 분석. 직업교육연구, 30(4), 281-300.
  6. 박기문, 이규녀, 이병욱, 나영민, 이경표, 손다미, 이상현(2012). 발명 영재 교원 및 전문직 인식에 기반한 발명 영재교육의 탐색 방향. 영재교육연구, 22(1), 1-21. https://doi.org/10.9722/JGTE.2012.22.1.001
  7. 서혜애(2008). 영재교육 교사 전문성의 효율적 실천을 위한 행.재정 지원의 요구 분석. 영재교육연구, 18(2), 175-200.
  8. 이미순(2010). 영재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영재교육 지속여부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연구, 27(3), 419-436. https://doi.org/10.24211/TJKTE.2010.27.3.419
  9. 이봉우, 손정우, 최원호, 이인호, 전영석, 최정훈(2008). 과학영재교육에서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 초등과학교육, 27(3), 252-260.
  10. 이재호, 박경빈, 진석언, 류지영, 안성훈, 진병욱(2014). 3대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한 미래지향적 발명 영재상 정립에 대한 연구. 영재교육연구, 23(3), 435-452. https://doi.org/10.9722/JGTE.2013.23.3.435
  11. 이정의(2013). 초등학교 영재학급 운영에서 담당교사가 겪는 어려움에 대한 연구.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조홍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영 역(2010).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전통. 서울: 학지사.
  13. 최병연, 김주연(2014). 그들은 왜 영재교사를 그만 두었는가? 초등영재교사의 영재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영재와 영재교육, 13(2), 88-107.
  14. 한국발명진흥회(2010). 제 2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2008-2012).
  15. Creswell, J. W. (2010). Qualitative inquriry and research design(2E). Sage Pub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