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Diaspora Narrative and Aesthetics in Handol's Tarae

한돌 타래의 디아스포라 서사와 미학

  • 신사빈 (중부대학교 실용음악학과)
  • Received : 2020.07.01
  • Accepted : 2020.08.14
  • Published : 2020.08.31

Abstract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Handol Heung-Gun Lee's Tarae, which is a coinage combining the Korean words for "playing an instrument" and "song", in terms of narrative and aesthetics. The components for analysis are the phenomena and nature of binary oppositions between nature and human beings, between alienation and interest, between division and unification, and between diaspora and people of the national community. Tarae in the period from the late 1970s to the early 1990s described the experience of pain and loss from non-resistance and disobedience in protest against social problems that emerged during the era of miliary dictatorship, such as industrialization, urbanization, reckless development, Westernization, university-oriented education, the gap between rich and poor, human alienation, and the conflicts arising from the division of the nation. After Handol overcame the lack of creative motivation with self-reflection and effort, Tarae took the form of a diaspora epic meta-narratives integrating the "sound of nature and his true nature" and "the awareness of diaspora and the spirit of the Korean people". The epics of the homeland, the national soil and the people, which began with "Teo", became more intense in terms of a sense of diaspora as they shifted their focus from an origin to a path with "Hanmoejulghi" as the turning point. Handol seeks inspiration in the source of narrative rather than in music. His Tarae focuses on "adding rhythm for lyrics". For this reason, the semiotic features of Tarae have a limitation in that its extrinsic phonology is simple even if its intrinsic meaning (i.e., emotion of sadness) is profound and subtle. In order to elicit sympathy from the audience and impress them, it is necessary to strike a balance between the implicit (semantic) part and the explicit (phonological) part. To share the emotion of sadness with more people,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phonological elements. Sympathy for sadness and deep impression on the audience are more often induced by the mood of similar sentiments than by the stories of the same experience. The aesthetics of sadness in Tarae began with the narratives of past experience which were expressed in the contexts of loss, loneliness, and poverty that Handol had experienced since childhood. However, the aesthetics of sadness, deepened over the period of a long hiatus in Handol's career as a composer, formed the narratives of ultimate salvation, embodying even the diaspora experience of others (e.g., displaced people, overseas adoptees, ethnic Koreans in Russia, victims of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etc.). This gave Tarae the potential to go beyond the limits of the ethnic group of Korea. Tarae, as a "dispersed sound", can benefit from the appeal of deep sadness at the point of contact with other forms of world music. It may form a global diaspora discourse because Tarae is oriented towards interculturalism rather than anti-multiculturalism. The future challenge and goal of Handol's Tarae would be to continue to find areas of sympathy and broaden the horizon of awareness as diaspora music.

이 글은 한돌 이흥건의 타래를 서사와 미학의 측면에서 분석한다. 이 때 등장하는 분석 요소는 자연과 인간, 소외와 관심, 분단과 통일, 디아스포라와 겨레 등 이항 대립의 현상과 본질이다. 197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의 타래는 군사 독재 때부터 발생한 산업화와 도시화, 난개발, 서구화, 입시 위주 교육, 빈부 차, 인간 소외, 분단 갈등의 사회 문제를 무저항과 불복종의 정신으로 맞서는 상실과 고통의 체험 서사를 노래하였다. 그리고 창작 의욕이 단절된 공백기를 자기 성찰과 노력으로 극복한 이후의 타래는 '자연의 울림과 자기의 참모습', '디아스포라 의식과 겨레의 얼'을 일체화하는 디아스포라 서사시의 느낌이 두드러진다. <터>에서 시작한 조국과 국토, 겨레에 대한 서사시는 <한뫼줄기>를 전환점으로 뿌리보다 길을 찾는 디아스포라 의식이 선명해진다. 한돌은 음악보다 서사의 원천에서 영감을 얻는다. 그의 타래는 '노랫말을 위해서 리듬이 곁들어지는 것'에 치중한다. 이 때문에 타래가 갖는 기호학적 특성은 내재적 의미(슬픔의 정서)가 오묘해도 외형적 음운이 단순한 것이 한계다. 공감과 더불어 감동까지 끌어내는 데는 내포적(의미론적)인 부분과 외연적(음운론적)인 부분의 조화가 필요하다. 슬픔의 정서를 더 많은 사람이 공유하려면 음운론적 요소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슬픔에 대한 공감과 감동은 동일한 경험의 이야기보다 비슷한 정서의 분위기에 이끌리는 경우가 더 많다. 타래 속 슬픔의 미학은 유년 시절부터 겪은 상실과 고독, 가난의 맥락에서 표출된 원초적인 체험 서사에서 출발하지만, 긴 공백기를 거치면서 심화한 슬픔의 미학은 타인(실향민, 해외 입양자, 러시아 고려인,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등)의 디아스포라 경험까지 자기화하면서 궁극적인구원 서사를 지향한다. 이로써 타래는 잠재적으로 민족의 한계를 뛰어 넘을 가능성도 지니게 되었다. '이산되는 소리'로서의 타래는 다른 세계 음악과의 접점에서 깊은 슬픔의 호소력으로 유리한 국면을 맞을 수 있다. 반다문화주의가 아닌 상호문화주의의 지향으로 글로벌 디아스포라 담론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돌의 타래는 디아스포라 음악으로서 지속적으로 공감의 영역을 찾고 인식의 지평을 넓혀나가는 것이 향후 과제요 목표다.

Keywords

References

  1. 한돌, 「저 산 어딘가에 아리랑이 있겠지」, 실천문학, 2006.
  2. 한돌, 「한돌타래 이야기」, C&L Music, 2006.
  3. 한돌, 「한돌타래 566: 그냥 가는 길」, C&L Music, 2009.
  4. 한돌, 「한돌타래 571: 가면 갈수록」, C&L Music, 2015.
  5. 한돌, 「꿈꾸는 노란 기차」, 열림원, 2019.
  6. 김휘택, 「반문화주의, 정체성, 민족」, 「다문화콘텐츠연구」 15집,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3, 305-333쪽.
  7. 미하일 바흐찐, 「장편소설과 민중언어」, 전승희 외 역, 창작과비평사, 1998.
  8. 비린더 S. 칼라.라민더 카우르.존 허트닉, 「디아스포라와 혼종성」, 정영주 역, 에코리브르, 2014.
  9. 송효섭, 「아리랑의 기호학」, 「비교한국학」 20권 3호, 국제비교한국학회, 2012, 29-49쪽.
  10. 유영민, 「남과 북의 가교: 재외동포의 남북한 음악 전승」, 「동양음악」 30권, 서울대학교 동양음악연구소, 2008, 181-198쪽.
  11. 유영민, 「경계를 넘나드는 디아스포라 정체성과 음악: 자이니치 코리안의 음악을 중심으로」, 「음.악.학」 19권 1호, 한국음악학학회, 2011, 7-36쪽.
  12. 존 블래킹, 「인간은 얼마나 음악적인가」, 채현경 역, 민음사, 1999.
  13. 존 스토리, 「대중문화란 무엇인가」, 유영민 역, 태학사, 2013.
  14. 최유준, 「음악 문화와 감성 정치: 근대의 음조와 그 타자」, 작은 이야기, 2011.
  15. 최유준, 「블루스와 '슬픈 음악'의 정치학」, 「음.악.학」 20권 1호, 한국음악학학회, 2012, 111-143쪽.
  16. 케빈 케니, 「디아스포라 이즈」, 최영석 역, 앨피, 2016.
  17. H. H. 에게브레히트, 오희숙 역, 「'음악외적인 것'」은 무엇인가?」, 「음악과 민족」 4호, 민족음악학회, 1992, 117-125쪽.
  18. James Paul Gee, 「담론분석 입문: 이론과 방법」, 이수원.임민정.박수경 역, 아카데미프레스,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