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Plot Lamination methodology for the planning and analysis of storytelling

스토리텔링 기획·분석을 위한 '플롯적층' 방법론 연구

  • 안숭범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Received : 2020.07.17
  • Accepted : 2020.08.14
  • Published : 2020.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plot lamination methodology' for planning and analyzing of storytelling. The story contents with a certain volume of narrative might have several important characters. Most of the characters have meaningful influences on the context of the story through their choices and actions as they go through dynamic changes to construct and deconstruct relationships. The plot lamination methodology is the result of an attempt to look at the process from the 'strategic' point of view by focusing on the fact that the main characters with supplementary nature contribute to the independent formation of subplot based on the main plot driven by the protagonist. Regardless of how they live their own unique and autonomous life in the narrative, the main characters hold a relatively subordinate position within the centripetal force of the main plot. Their journeys tend to expand/emphasize/divide up the process of the main plot's 'persuasion via causality,' and also individualize into the functions of emotional sympathy (pathos), moral, ethical perspective (ethos), and rational logic (logos). As such, the subplots of main characters are laminated according to these three functional traits, which could become multi-layered through second or third laminations, depending on the number and roles of other characters. If the plot lamination methodology is further developed through follow-up studies, it will open up the possibilities of the strategic design (planning) and aesthetic criticism (analysis) regarding the procedure of conjugation /branching of subplot and/from the main plot.

이 연구는 스토리텔링 기획·분석을 위한 '플롯적층' 방법론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일정한 서사분량을 가진 스토리콘텐츠라면 비중을 갖고 등장하는 인물들이 여러 명일 수 있다. 그들 대다수는 스토리의 맥락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선택과 실천으로 참여한다. 역동적으로 변화해가면서 새로운 관계망을 구축·탈구축해간다. 플롯적층 방법론은 주인공이 이끄는 메인플롯을 근간에 두고, 주요 인물들이 대타적 성격을 내보이며 주체적인 서브플롯의 형성에 기여한다는 사실에 주목해 그 과정을 '전략' 차원에서 살펴보려는 시도의 결과다. 서사물 속 주요 인물들은 개성적·주체적 삶을 살아가는 것과 무관하게 메인플롯의 구심력 안에서 상대적인 지위를 가진다. 그들의 여정은 메인플롯의 '인과적 설득' 과정을 연장·강조·분담하면서 각각 정서적 공감(파토스), 도덕적·윤리적 입장(에토스), 이성적 논리(로고스)의 기능으로 개성화되는 경향이 있다. 이처럼 주요 인물들의 서브플롯은 세가지 기능적 특성에 따라 적층되는 바, 주변인물들의 수효와 역할에 따라 2차, 3차 적층구조로 중층화될 수도 있다. 후속 연구를 통해 플롯적층 방법론이 더 세공된다면 서브플롯이 메인 플롯과 접합/분기되는 과정에 대한 전략적 설계(기획)와 심미적 비평(분석)의 가능성이 열릴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성훈 연출, <킹덤>, 에이스토리, 2020.
  2. 김만수, 「한국 근대 희곡의 플롯 유형에 대한 기초 연구- 작품 행위소의 주제어 분류, 검색, 활용을 통하여」, 「한국극예술연구」 제16집, 한국극예술학회, 2002, 311-334쪽.
  3. 김선진, 「재미의 본질」, 경성대학교출판부, 2018.
  4. 김종구, 「현대소설 플롯의 시학」 태학사, 1999.
  5. 로널드 B. 토비아스, 「인간의 마음을 사로잡는 스무 가지 플롯」, 김석만 역, 풀빛, 2012.
  6. 미셸 메이에르, 「열정의 레토릭」, 정성기 역, 고려대학교출판부, 2004.
  7. 박치완, 「미셸 메이에르와 파토스의 수사학」, 「수사학」 제12집, 한국수사학회, 2010, 167-203쪽.
  8. 시모어 채트먼, 「이야기와 담론- 영화와 소설의 서사구조」, 한용환 역, 푸른사상, 2003.
  9. 심 산, 「한국형 시나리오 쓰기」, 해냄, 2019.
  10.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김재홍 역,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4.
  11. 아리스토텔레스,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 박문재 역, 현대지성, 2020.
  12. 안숭범, 「멜로영화 스토리텔링의 신화 구조 분석에 관한 시론」, 「인문콘텐츠」 제27호, 인문콘텐츠학회, 2012, 89-103쪽.
  13. 안숭범, 「길항서사 기획.분석 방법론으로서 스토리 밸런스 모델에 대한 연구- 일본 영화에 나타난 설녀 캐릭터의 변용과 상징적 함의」, 「인문콘텐츠」 제49호, 인문콘텐츠학회, 2018, 93-117쪽.
  14. 안숭범, 「스토리텔링 기획분석 방법론으로서 캐릭터 동기화 이론 연구- <도둑들>을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제51호, 인문콘텐츠학회, 2018, 153-182쪽.
  15. 앤드루 호튼, 「캐릭터 중심의 시나리오 쓰기」, 주영상 역, 한나래, 2013.
  16. 제라르 쥬네트, 「서사 담론」, 권택영 역, 교보문고, 1992.
  17. 제랄드 프랭스, 「서사학이란 무엇인가」, 최상규 역, 예림기획, 1999.
  18. 제인 클리랜드, 「마스터링 서스펜스」, 방진이 역, 온, 2019.
  19. 제임스 스콧 벨, 「소설 쓰기의 모든 것」, 김진아 역, 다른, 2018.
  20. 존 트루비, 「이야기의 해부」, 조고은 역, 비즈앤비즈, 2017.
  21. 필립 윌라이트, 「은유와 실재」, 김태옥 역, 문학과지성사, 1988.
  22. 한일섭, 「서사의 이론: 이야기와 서술」, 한국문화사, 2009.
  23. H. 포터 애벗, 「서사학 강의: 이야기에 대한 모든 것」, 우찬제 외 역, 문학과지성사, 2010.
  24. Brooks, Peter, Reading for the Plot, Knopf, 1984.
  25. Crane, R. S., "The Plot of Tom Jones", The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4(2), Penn State University Press, 1950, pp.112-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