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의료 서사와 의료 윤리

Medical Narrative Texts and Medical Ethics

  • 최성민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통합의료인문학연구단)
  • 투고 : 2020.07.17
  • 심사 : 2020.08.14
  • 발행 : 2020.08.31

초록

본 논문은 먼저 펠레그리노의 <의철학의 재탄생>에서 강조하는 현대적 의료 윤리의 가치 변화를 고찰하였다. 펠레그리노는 의료인의 윤리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을 강조해온 철학자이다. 그는 현대 사회의 변화에 따라 의료 윤리도 재정립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논문은 펠레그리노의 주장을 바탕으로, 문학과 대중서사텍스트 속에서 문제적 상황을 주목하였다. 실제로 우리를 위해 의료 윤리가 무엇을 답변해야 하는지를 살펴보려 한 것이다. 의료인들은 철학적 딜레마를 겪거나 현실과 윤리 사이의 갈등을 겪어 왔다. 펠레그리노는 의료인은 질병과의 싸움에 앞서, 환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환자의 고통에 공감하고 그 요구에 응답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것은 매우 당위적인 선언처럼 보이지만, 문학 작품과 대중서사텍스트 속의 의료인들은 이러한 윤리적 딜레마에 자주 노출된다. 이청준의 소설을 통해 의료인이 환자를 어떻게 '좋음'의 상태로 이끌어야하는 지를 성찰할 수 있으며, 메디컬 드라마들을 통해 대중들이 의료인에게 요구하는 윤리적 행위가 무엇인지를 포착할 수 있다. 코로나19로 전세계가 고통을 받고 있는 지금, 의료인들 또한 큰 고난에 처해 있지만, 동시에 대중의 존경을 받고 윤리적 존재로서의 가치를 높이고 있기도 하다. 의료가 일상의 서사가 된 지금, 우리에게 의료 윤리는 삶을 유지하기 위한 필요조건이 되고 있다. 본 논문을 통해, 의료 윤리의 중요성을 다시 인식하고, 의료 서사 속에서 구체화된 윤리적 문제를 성찰적으로 검토하는 의미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paper, I review Pellegrino's Reader, The Philosophy of Medicine Reborn. Pellegrino has emphasized the humanities' reflection on the ethics of medicine. He insists that medical ethics should be re-established as modern society changes. This paper, based on Pellegrino's view, noted the problematic situation in literature and popular narrative texts. Indeed, I wanted to see what answer medical ethics could provide for us. Medical personnel had a philosophical dilemma or a conflict between reality and ethics. Pellegrino argues that medical personnel, above all, need to sympathize with the patient's pain and respond to their needs through interaction with them. This may seem like a very legitimate declaration. But a physician in literary texts and popular narrative texts is often exposed to this ethical dilemma. Through Lee Cheongjun's novel, we can reflect on how a medical personnel could lead a patient to a state of "goodness". And through medical dramas, we can grasp what ethical behaviors the public demands from a medical personnel. Now that the world is suffering from COVID-19, medical workers are in a great trouble, but at the same time, they are respected by the public and are also enhancing their value as ethical beings. Now that medical care has become an everyday narrative, medical ethics is becoming a prerequisite for living. This paper attempt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medical ethics and to review the ethical issues embodied in medical narratives.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9S1A6A3A04058286)

참고문헌

  1. Pellegrino, Edmund D., The Philosophy of Medicine Reborn: A Pellegrino Reader, edited by H. Tristram Engelhardt, Jr. and Fabrice Jotterand,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2008.
  2. Pellegrino, Edmund D., "Toward a Reconstruction of Medical Morality", The American Journal of Bioethics, 6(2), Taylor & Francis, 2006, pp.65-71. https://doi.org/10.1080/15265160500508601
  3. 알베르 카뮈, 「페스트」, 김화영 역, 민음사, 2011.
  4. 이청준, 「당신들의 천국」, 문학과지성사, 1995(1976).
  5. 이청준, 「조만득 씨」, 「이청준 문학전집 중단편소설7: 소문의 벽」, 열림원, 1998.
  6. 이청준, 「이청준 문학전집 장편소설4: 당신들의 천국」, 열림원, 2000.
  7. 김현수, 「펠레그리노를 통한 의료인문학」, 「인문학연구」 42호,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301-320쪽.
  8. 박재영, 「개념의료: 왜 병원에만 가면 화가 날까」, 청년의사, 2013.
  9. 원용진 외, 「메디컬 드라마의 크로노토프」, 「대중서사연구」 25권 2호, 대중서사학회, 2019, 169-216쪽.
  10. 이주영, 「근대 희곡에 나타난 제국의 조선 의사들」,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23권 2호,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9, 139-161쪽.
  11. 정과리 외, 「의학과 문학」, 문학과지성사, 2004.
  12. 최성민, 「질병의 낭만과 공포: 은유로서의 질병」, 「문학치료연구」 54호, 한국문학치료학회, 2020, 315-344쪽.
  13. 최성민, 「한국 의학 드라마 연구 현황과 전망」, 「인문학연구」 42호,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43-75쪽.
  14. 최우석, 「'의료인'의 의무윤리와 덕윤리의 상보적 이해: 펠레그리노(E. Pellegrino)의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의료윤리학회지」 제23권 1호, 한국의료윤리학회, 2020, 39-56쪽. https://doi.org/10.35301/KSME.2020.23.1.39
  15. <의료직업자신고령 21일부 시행규칙공포>, 「동아일보」, 1938.9.21., 2면.
  16. <의사 불신 시대 ..... 5년간 의료소송 2만건>, 「의협신문」, 2019.5.27. (http://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9333)
  17. <전문직 중 '의사' 가장 신뢰한다>, 「메디게이트뉴스」, 2015.10.21. (https://www.medigatenews.com/news/2144051260)
  18. <슬기로운 의사생활> 홈페이지 (http://program.tving.com/tvn/doctorlife/6/Contents/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