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Motif of 'Book Travel' in Korean Web Novel -Focused on Romance Fantasy Genre

한국 웹소설의 '책빙의물'의 특성 연구 -로맨스판타지 장르를 중심으로

  • 안상원 (부산외국어대학교 만오교양대학)
  • Received : 2020.07.17
  • Accepted : 2020.08.14
  • Published : 2020.08.31

Abstract

The study no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web novel's 'Book Travel' motif, which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r culture content, which is free to use familiar genre grammar or code. The imagination of the main character entering the work he read in the real world is a reinterpretation of the existing genre grammar of the web novel, and studying the motif is meaningful in reviewing the intertext of the genre. This motif, summarized as 'Book Travel' differs from other genres in the romance fantasy genre, which can also be used to reveal the gender characteristics of the genre. The study noted that the 'Book Travel' motif was born from an interactive interpretation of existing narratives, thus having a affinity with dimensional shift, regression, and alternative historical objects, and referring to the writing norms of Fanfiction. Through this, it was predicted that the re-combination of existing narratives and interference between genres would continue in the future. Next, the original move in the romance fantasy genre was seen as quite conservative and revealing the logic of self-improvement even though people around him became the main characters and overthrew the narrative. The characters should use their knowledge of the future of the real world to fight in a world of survival where destruction has been predicted. The appearance of an ethical and self-help subject is interesting, but on the other hand, I could look at conservatism in that romance is a way of survival and achievement of characters. The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review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transfer motif, which started fairly quickly in the romance fantasy genre, and reviewed its appearanc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There was a limit to the collection of physical works and limited platform. The above limits are intended to be supplemented by further reviewing and supplementing later works.

이 연구는 익숙한 장르 문법이나 코드 활용이 자유로운 대중문화콘텐츠의 특성이 반영된 웹소설, 특히 로맨스판타지 장르의 '책빙의물'의 특성에 주목하였다. 주인공이 자신이 현실세계에서 읽은 작품 속으로 들어가는 상상력은 웹소설의 기존 장르문법을 재해석한 것으로, 이 모티프를 연구하는 것은 장르 내 상호텍스트성 검토에 유의미하다. 로맨스 판타지 장르에서 책빙의물은 일반 판타지 장르(퓨전판타지, 현대판타지 등)와 차이점을 보이는데, 장르의 젠더적 특성을 드러내는 데도 이 연구의 목적을 들 수 있다. 이 연구는 책빙의물이 기존 서사에 대한 상호텍스트적 해석에서 탄생되었으며, 따라서 차원이동, 회귀, 대체역사물과 친연성을 갖는다고 보았으며, 팬픽션의 글쓰기 규범을 참고했다고 보았다. 이를 통해 앞으로 기존 서사의 재조합과 장르 간 간섭이 지속될 것을 예측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로맨스판타지 장르에서의 책빙의물은 주변인이 주인공이 되어 서사를 전복함에도 상당히 보수적이고 자기계발적인 논리를 드러낸다고 보았다. 등장인물들은 현실세계의 미래지식을 활용해 파멸이 예언된 생존세계에서 투쟁해야 한다. 윤리적이고 자조(self-help)적인 주체의 등장은 흥미롭지만, 한편으로 로맨스가 인물들의 생존과 성취의 한 방식이라는 점에서 보수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 연구는 로맨스판타지 장르에서 상당히 빠르게 시작된 책빙의물의 특성을 검토하고 그 등장배경과 특성을 검토했다는 점에서 연구의의를 갖는다. 물리적인 작품 수합에 한계가 있고, 플랫폼이 한정되었다는 한계가 있었다. 위의 한계는 추후 등장하는 작품들을 좀 더 검토하며 보완하고자 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분야 신진연구자지원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9S1A5A8036005).

References

  1. 금눈새, <그 오토메 게임의 배드 엔딩>, 카카오페이지, 2019-2020.
  2. 엘리아냥, <구경하는 들러리양>, 조아라, 카카오페이지, 2015-2016.
  3. 키아르네, <신데렐라를 곱게 키웠습니다>, 조아라, 카카오페이지, 2018-2019.
  4. 하르넨, <악녀의 애완동물>, 조아라, 카카오페이지, 리디북스, 2017-2018.
  5. 김경애, 「로맨스 웹소설의 구조와 이념 연구」, 「현대문학이론연구」 62권, 현대문학이론학회, 2015, 63-94쪽.
  6. 김경애, 「'보는' 소설로의 전환, 로맨스 웹소설 문화 현상의 함의와 문제점」, 「인문사회21」 8권 4호,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1367-1387쪽.
  7. 김유나, 「팬픽션의 생성적 의미 고찰」, 「인문콘텐츠」 44권, 인문콘텐츠학회, 2017, 155-173쪽.
  8. 김유나, 「팬픽션의 생성 요소 연구」, 「대중서사연구」 23권 2호, 대중서사학회, 2017, 151-186쪽.
  9. 김준현, 「웹소설 장에서 사용되는 장르 연관 개념 연구」, 「현대소설연구」 74호, 2019, 107-137쪽.
  10. 김준현, 「웹소설 작가의 일」, 한티재, 2019.
  11. 노희준, 「플랫폼 기반 웹 소설의 장르성 연구」, 「세계문학비교연구」 64권, 세계문학비교학회, 2018, 409-428쪽.
  12. 류수연, 「웹2.0 시대와 웹소설 - 웹 로맨스 서사를 중심으로」, 「대중서사학회」 25권 4호, 2019, 9-43쪽.
  13. 안상원, 「웹소설 플랫폼의 유료화와 서사의 변화 연구」, 「한국문예창작」 16권 3호, 한국문예창작학회, 2017, 9-31쪽.
  14. 안상원, 「한국 웹소설의 '회귀' 모티프 연구」, 「한국문학이론과비평」 22권 3호,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8, 279-307쪽.
  15. 안상원, 「매체의 변화, 작가의 변화: 김준현, 「웹소설 작가의 일」, 한티재, 2019」, 「상허학보」 28집, 상허학회, 2019, 621-147쪽.
  16. 안상원, 「한국 웹소설 '로맨스판타지' 장르의 서사적 특성 연구」, 「인문콘텐츠」 55권, 인문콘텐츠학회, 2019, 219-234쪽.
  17. 안상원, 「상상의 질료, 해체의 대상으로서의 역사 - 장르소설과 웹소설의 대체역사물 연구」, 「민족문학사연구」 72호, 민족문학사연구소, 2020, 71-92쪽.
  18. 유인혁, 「한국 웹소설 판타지의 형식적 갱신과 사회적 성찰-책빙의물을 중심으로」, 「대중서사연구」 26권 1호, 대중서사학회, 2020, 77-102쪽. https://doi.org/10.18856/JPN.2020.26.1.003
  19. 최수현, 「고전소설의 콘텐츠화의 한 사례 고찰-웹소설 <설공찬환혼전>의 고소설 <설공찬전> 변개를 중심으로」, 「이화어문논집」 46집, 이화어문학회, 2018, 155-178쪽.
  20. 한혜원.김유나, 「한국 웹소설의 멀티모드성 연구」, 「대중서사연구」 21권 1호, 대중서사학회, 2015, 263-293쪽.
  21. 허만욱, 「한국 판타지 장르문학의 발전 전략 연구」, 「우리문학연구」 34권, 우리문학회, 2011, 485-514쪽.
  22. '남자지옥': https://m.blog.naver.com/joarablog/220337287963
  23. 서곡숙, <[서곡숙의 문화톡톡] 빙의 로맨스웹툰 - 슬기로운 빙의생활을 통해 이생망과 죽음에서 탈출하기>, 「르몽드디플로마티크 한국어판」, 2020.6.8. (http://www.ilemonde.com/news/articleView.html?idxno=12793&fbclid=IwAR3sAmhCOU2F-01yTnemVn-1Zb76kmP73QSlInQBOPQBHMfzqEW0cM_t7hE)
  24. 이주라, <[이주라의 문화톡톡] 로맨스 패러디 시대와 자기 효능감>, 「르몽드디플 로마티크」, 2020.3.9. (http://www.ilemonde.com/news/articleView.html?idxno=12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