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ssay on High-teen Study: Archaeology of High-teen & Its Primitive Image in the Case of Japan in the Postwar Period

하이틴 연구 시론: 하이틴의 고고학 그리고 원시적 이미지에 대하여 -전후 초기 일본의 경우

  • 윤재민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Received : 2020.01.04
  • Accepted : 2020.02.14
  • Published : 2020.02.28

Abstract

This essay examines the questions that existing high-teen related studies are missing: "What is high-teen?". It is a foreign language originated from Japanese, spoken only in Japan and Korea among the post-war pan East Asian pop culture scenes. High-teen is based on the 'teenager' formed in the United States. It should be understood not just as a subcategory of popular culture but as an important ideological allegory of post-war Japanese politics. To learn this concept, this essay archeologically researches the origin of high-teen's meaning and analyses the political meaning of the early high-teen contents of Ueda Hirao which related to postwar politics and ideology in Japan. Existing research regarding high-teen tends to be limited to the peripheral and fragmentary areas. On the other hand, this paper will be the beginning of a discussion on high-teen in a more expanding perspective as an East Asian postwar history.

이 글은 기존의 하이틴 관련 연구들이 누락하고 있는 물음인 '하이틴이란 대체 무엇인가'를 고찰한다. 하이틴은 전후 범 동아시아 팝 문화 씬 권역 중 일본과 한국에서만 통용된 일본발 외래신어이다. 전후 미국에서 형성된 '틴에이저' 문화와 맥을 같이 하는 하이틴은 단순히 대중문화의 하위 카테고리가 아니라 전후 일본 정치의 중요한 이데올로기적 알레고리로 이해돼야 한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우선, 개념으로서 하이틴이 의미화된 초기의 사례를 고고학적으로 추적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일본의 전후 정치·이데올로기와 맞물리며 형성된 하이틴의 표상-이미지로서 우에다 히라오의 초기 하이틴물의 정치적 의미를 살펴본다. 그간의 하이틴 연구가 한국이라는 지엽적이고 단편적인 영역에 한정되었던 데 반해, 이 글은 전후 동아시아사라는 보다 보편적인 지평에서 '하이틴'을 논의하는 단초가 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藤本明, 「ハイテイーン惡人列伝」, 東京: 三一書房, 1965.
  2. 河合慎吾, 「現代ハイテイーンの社会的性格」, 「敎育社会学研究」 제61권, 日本敎育社会学会, 1961, 67-85쪽.
  3. 上田平雄, 「ハイテイーン: 靑春の道標」, 東京: 三一書房, 1961.
  4. 山內久(上田平雄作より), 「ハイテイーン」, 「シナリオ」 131, 東京: 国立国会図書館, 1959.
  5. H. Ellson, 「ハイテイーンの性態」, 高橋豊 訳, 東京: 高文社, 1958.
  6. M. ホール, 「ハイテイーンの悩み」, 中村能三 訳, 東京: 秋元書房, 1958.
  7. 고길섶, 「(스물 한 통의)역사 진정서: '삐라 공방전'부터 '막걸리 보안법'까지」, 앨피, 2005.
  8. 김성민, 「일본을 금하다」, 글항아리, 2017.
  9. 박민정, 「70년대 하이틴 영화, 좌절된 전복의 가능성」, 「씨네포럼」 5,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02, 45-64쪽.
  10. 손진원, 「1980년대 문고본 로맨스의 독자 상정과 출판 전략 연구-하이틴 기호를 중심으로」, 「대중서사연구」 25-3, 대중서사학회, 2019, 41-66쪽. https://doi.org/10.18856/JPN.2019.25.3.002
  11. 유인호, 「1970년대 하이틴 영화에서의 청소년 주체성구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12. 윤재민, 「얄개의 탄생 혹은 냉전문화 텍스트를 구성하는 동아시아 후기식민지적 역사성에 대한 문화분석」, 「한국문학연구」 57,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8, 177-213쪽.
  13. 이정덕 외, 「한국의 압축근대 생활세계: 압축근대성 개념과 압축적 경험」, 지식과교양, 2017.
  14. 이주라, 「삼중당의 하이틴 로맨스와 1980년대 소녀들의 사랑과 섹슈얼리티」, 「대중서사연구」 25-3, 대중서사학회, 2019, 67-99쪽. https://doi.org/10.18856/JPN.2019.25.3.003
  15. 이주라, 「음란소녀 탄생기: 1960년대 대중 잡지 명랑과 하이틴 소설」, 「대중서사연구」 24, 대중서사학회, 2018, 431-468쪽.
  16. 정민아, 「이유 있는 반항: 1980년대 후반 학교문제를 다룬 하이틴영화」, 「영화연구」 49, 한국영화학회, 2011, 331-351쪽. https://doi.org/10.17947/KFA..49.201109.012012
  17. 정창훈, 「'가와이이(カワイイ)'의 미학과 표상의 정치: 일본 대중문화의 정치미학적 독해를 위한 시론」, 「일본연구」 30, 고려대학교 일문학연구소, 2018, 119-149쪽. https://doi.org/10.32624/stofja.2018..30.119
  18.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1970년대 대중문화 속 '학생'이미지의 구현- 학생잡지 및 하이틴영화를 중심으로」, 「현대영화연구」 14, 현대영화연구소, 2018, 89-113쪽.
  19. 오카다 아키코, 「국민국가의 지식장과 문화정치학: 일본 근대의 기독교 지식인과 여학생의 미디어 연구」, 정의 외 역, 학고방, 2015.
  20. 야마모토 요시타카, 「일본과학기술 총력전: 근대 150년 체제의 파탄」, 서의동 역, AK 커뮤니케이션즈, 2019.
  21. 에티엔 발리바르, 「대중들의 공포: 맑스 전과 후의 정치와 철학」, 최원.서관모 역, 도서출판b, 2007.
  22. 아서 아사 버거, 「애착의 대상: 기호학과 소비문화」, 엄창호 역,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23. 존 베이넌, 「남성성과 문화」, 임인숙.김미영 역, 고려대학교출판부, 2011.
  24. 레이 초우, 「원시적 열정: 시각, 섹슈얼리티, 민족지, 현대중국영화」, 정재서 역, 이산, 2004.
  25. 지크문트 프로이트, 「정신분석 강의」, 임홍빈.홍혜경 역, 열린책들, 2012.
  26. 스테판 권첼, 「토폴로지: 문화학과 매체학에서 공간연구」, 이기흥 역, 에코리브르, 2010.
  27. 개번 맥코맥, 「종속국가 일본: 미국의 품에서 욕망하는 지역패권」, 이기호.황정아 역, 창비, 2008.
  28. 사이먼 레이놀즈, 「레트로 마니아」, 최성민 역, 작업실유령, 2017.
  29. 古川陸久, 「昭和史」, 東京: 筑摩書房, 2016.
  30. 五白旗頭真 外, 「日米の昭和」, 東京: 千倉書房, 1990.
  31. Buren, Abigail Van et al., Voice of America Forum Lectures: The Teen-ager's World, Madras: Higginbothams, 1967.
  32. Hine, Thomas, The Rise and Fall of the American Teenager: A New History of the American Adolescent Experience, New York: William Morrow, 1999.
  33. Huat, Chua Beng & Koichi Iwabuchi (ed.), East Asian Pop Culture: Analysing the Korean Wave, Hong Kong: Hong Kong University Press, 2008.
  34. Massoni, Kelley, Fashioning Teenagers: A Cultural History of Seventeen Magazine, Left Coast Press, 2010.
  35. Palladino, Grace, Teenagers: An American History, New York: Basic Books, 1997.
  36. Pomerance, Murray (ed.), American Cinema of the 1950: Themes and Variations, New Brunswick: Rutgers University press, 2005.
  37. Smart, Barry, Consumer Society: Critical Issues & Environmental Consequences, New York: Sage Pubns Ltd, 2010.
  38. Straus, Ulich, The Anguish of Surrender: Japanese POWs of World War II, Seatt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05.
  39. Yip, Man-Fung, Martial Arts Cinema and Hong Kong Modernity: Aesthetics Representation Circulation, Hong Kong: Hong Kong University Press, 2017.
  40. 山內久, <ハイテイーン>, 1959.
  41. <'어서 말을 해' 김승현x최제우, 90년대 하이틴 스타.. 당시 모습 완벽 재현>, 「서울경제」, 서울경제사, 2019.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