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신재생에너지 전문기술 인력양성 교육 알고리즘

Educational Algorithm to train Renewable Energy Technician

  • 윤용호 (광주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 Yoon, Yongho (School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Gwangju University)
  • 투고 : 2020.02.08
  • 심사 : 2020.04.03
  • 발행 : 2020.04.30

초록

에너지산업의 인력양성과 관련하여 공급 측면에서 국내대학들은 학과 관련 각종 규정에 따라 인력 수요에 맞춘 탄력적 운영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며 독자적인 에너지 관련 학과도 소수로 기존 학과체계에서 인력 수요의 변동에 따른 학과 신설·폐쇄, 정원 증감, 융합형 인력양성에서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대학들의 인력양성의 한계적인 측면과 더불어 에너지 패러다임 변화 즉, 1) 안정적공급·에너지 안보 위주에서 신성장동력·수출산업으로 에너지산업의 변화, 2) 유가 급등 및 불안정, 기후변화협약 등 정책적인 여건 변화로 에너지원 다양화, 신기술 보급 등 에너지산업 활성화 3)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에너지산업이 경기 부양의 핵심으로 부각 등 이러한 변화에 대해 국내대학들의 선제 대응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력양성의 한계적인 측면과 더불어 에너지 패러다임 변화에 발맞춰 무형, 융복합형 인력 등 기업이 원하는 다양한 고급인력을 독자적으로 양성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 전문기술 인력양성 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In terms of supply of manpower in the energy industry, domestic universities cannot realistically operate flexibly to meet manpower demand in accordance with various regulations related to the department, and there are only a few independent energy related departments.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closure, increase and decrease of capacity, and foster convergence. In addition to the limited aspect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of universities, changes in the energy paradigm, namely: 1) changes in the energy industry from stable supply and energy security to new growth engines and export industries, 2) Revitalization of the energy industry, 3) including diversification of energy sources and the spread of new technologies.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training program for nurturing new renewable energy specialists to independently develop various high-quality human resources such as intangible and convergent human resources in line with changes in the energy paradigm.

키워드

Ⅰ. 서론

에너지산업은 거의 모든 산업과 연계되고 산업 자체의 고용․생산 유발효과가 크며 타 산업과의 연관 효과가 큰 거대자본 대형장치 기반산업으로 인력수급 측면에서 시장실패 가능성이 큰 수주산업으로 국가 주도의 인력양성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에너지산업의 인력양성과 관련하여 공급 측면에서 국내대학들은 학과 관련 각종 규정에 따라 인력 수요에 맞춘 탄력적 운영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며 독자적인 에너지 관련 학과도 소수로 기존 학과 체계에서 인력 수요의 변동에 따른 학과 신설․폐쇄, 정원 증감, 융합형 인력양성에서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또한, 실무형, 융복합형 인력 등 기업이 원하는 다양한 고급인력을 독자적으로 양성하기 어려우며 대학과의 눈높이 차 또한 존재하고 있어서 수요측면에서 수요변동이 크지만, 고급인력을 단기에 수급할 수 없는 독자적 인력 수급 어려움 등 한계를 가지고 있다. 반면에, 일시적인 대규모 채용 시 인력의 질적 저하가 우려되며, 장기간 미채용으로 인하여 우수 인재의 에너지산업 기피 현상은 장기적인 인력수급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1,2].

이러한 대학들의 인력양성의 한계적인 측면과 더불어 에너지 패러다임 변화 즉, 1) 안정적공급․에너지 안보 위주에서 신성장동력․수출산업으로 에너지산업의 변화, 2) 유가 급등 및 불안정, 기후변화협약 등 정책적인 여건 변화로 에너지원 다양화, 신기술 보급 등 에너지산업 활성화 3)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에너지산업이 경기 부양의 핵심으로 부각 등 이러한 변화에 대해 국내대학들의 선제 대응이 필요하다[3, 4, 5, 6].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력양성의 한계적인 측면과 더불어 에너지 패러다임 변화에 발맞춰 무형, 융복합형 인력 등 기업이 원하는 다양한 고급인력을 독자적으로 양성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 전문기술 인력양성 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Ⅱ. 인력양성의 중요성 및 필요성[1,2]

1. 필요성

❏ 전기에너지 산업의 실무형 인력 필요

❏ 전문분야 인력을 공급하기 위해 분야별 연구, 기술 교육 체계 마련 필요

❏ 핵심인력 조달을 위해 특화되고 실용성 있는 교육기관구축 및 교육프로그램 운영 필요

2. 국내 동향

❏ 대졸 신입사원 평균 재교육 기간 19.5개월, 1인당 평균 비용 6,088만원

❏ 산학협력 기업 애로사항

❍ 대학․기업 간 인식 차이

❍ 수요자 중심 교육과정 부재

❍ 대학 연구자 및 보유기술 정보 부족

3. 해외 동향

❏ E.ON, RWE 등 세계적 기업들과 대기업, 연구소, 대학교가 협력 구축

❏ 신재생 분야 근로자의 25% 이상이 대학, 직업학교의 전문교육을 통해 배출하며 이 중 50% 이상은 숙련된 기술자(독일)

❏ 금융, 정부, 연구관과 신재생에너지 전후방산업과의 협력 강화

4. 파급효과

❏ 수요 맞춤형 인력양성을 통한 인력 수급체계구축

❏ 산학협력을 통해 지역인재 양성 및 지역 산업 발전

❏ 에너지자원 분야 국제적 위상 제고

❏ 산학 간 눈높이를 맞추는 현장적응에너지 인력양성 체계 구축

Ⅲ. 신재생에너지 전문기술 인력양성 교육 비전 및 목표

그림 1은 본 연구에서 수행한 신재생에너지 전문기술 인력양성 교육 비전 및 목표로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OTNBBE_2020_v20n2_271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신재생에너지 전문 기술 인력양성 교육 비전 및 목표

Fig. 1. Renewable energy professional training program vision and goal

❏ 발전목표 : 핵심역량, 핵심 교육프로그램, 전문화

❍ Personnel (Core Tech, Qual.)

❍ Program (Foundation, Leading)

❍ Performance (Specialization, Energy)

❏ 신재생에너지 전문기술 인력양성 운영계획

❍ 산업체 실무과정 요구사항 분석

❍ 기업 참여형 교육과정 운영계획 수립

❍ 기초과목분류 및 특성화 과목개설

❍ 현장학습 및 인턴십프로그램 개발

❏ 세부전략 방향 및 내용

❍ 산업연계 캡스톤 디자인 교과 운영

: 지역산업체와 책임교수 공동 멘토링

: 기업참여형 교육과정

: 산학협력 강화 및 고용연계

: 현장실무경험 강화 및 문제해결 능력증대

❏ 교육지원시스템 구축

❍ 교육 시설, 실험 실습 장비 기자재 구축

❍ 교육트랙 장학금

❍ 자격증 취득 및 어학 능력 향상 장려금

❍ 현장견학, 전시회

❍ 인턴십 및 현장실습

❏ 특성화 과목개발, 산학협력, 전문 워크숍

❍ 특성화 과목 내용과 연계한 산학연 전문가 활용

❍ 산업체 및 관련 주요기관과 연계 및 MOU

❍ 산학연 교류 및 성과발표회 개최

본 연구에서는 경쟁력 있는 전문인력 양성, 산업체 리더형 전문교육, 실무교육, 산학연계 등 산업체 실무과정 요구사항을 토대로 그림 2의 내용과 같이 1) 산학연 협력 네트워크 및 지식 나눔 운영, 취업 연계 강화 프로그램 운영, 3) 현장 실무 전문가 활용 교육, 4) 교육지원시스템 구축 및 운영 등 총 4개 영역을 통해 전문화된 신재생에너지 전문기술 인력양성 프로그램을 구성 및 수행을 하였다.

OTNBBE_2020_v20n2_271_f0002.png 이미지

그림 2. 신재생에너지 전문 기술 인력양성 구축을 위한 프로그램

Fig. 2. Program for the development of renewable energy expertise

Ⅳ. 신재생에너지 전문기술 인력양성 교육 프로그램 및 수행내용

신재생에너지 전문기술 인력양성을 위해 본 저자의 소속 기관에서는 Ⅲ. 신재생에너지 전문기술 인력양성 교육 비전 및 목표에서 서술한 내용을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프로그램을 구성 및 수행하였다.

❏ 신재생에너지 전문기술 인력양성 교육프로그램 구성

❏ 산학연계 캡스톤디자인

❏ 현장실무전문가 산학협동 강좌

❏ 지역산업체 및 관련 주요기관과의 MOU를 통한 외부인력양성 프로그램 참여

❏ 실무강화를 위한 현장견학 및 전시회 참가

❏ 현장실습 및 인턴십을 통한 현장실무교육

❏ 미래 에너지 꿈나무를 위한 에너지 지식나눔 봉사단 운영

그림 3은 신재생에너지 전문 기술 인력양성을 위해 산업체 실무과정 요구사항 분석을 통해 편성된 트랙 교육 프로그램 구성도를 보여주고 있다. 기본적으로 신재생에너지 전문기술 인력양성 교육프로그램은 전공기초→전공핵심→현장실무→트랙심화→인증의 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과정 이수 및 우수학생들에게는 트랙 장학프로그램을 통해 시상 및 장학금 지원, 최종적으로 신재생에너지 관련 기업체의 채용 연계를 통한 전문분야에 인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OTNBBE_2020_v20n2_271_f0003.png 이미지

그림 3. 신재생에너지 전문 기술 인력양성 교육프로그램

Fig. 3. Renewable energy professional training program

산업체와 연계를 통한 현장실무의 창의적인 제품 개발과 신재생에너지 전문 기술 인력양성을 위한 산업체와 협력체제를 통하여 산학연계 캡스톤디자인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그림 4, 5, 6은 산학연계 캡스톤디자인 프로그램을 통한 결과 및 활동내용을 보여주고 있다.

OTNBBE_2020_v20n2_271_f0004.png 이미지

그림 4. 신재생에너지 전문 기술 인력양성 산학연계 캡스톤 디자인 수행결과

Fig. 4. Cultivation of renewable energy expertise capstone design performance

OTNBBE_2020_v20n2_271_f0005.png 이미지

그림 5. 신재생에너지 전문 기술 인력양성 산학연계 캡스톤 디자인 발표회 및 결과물

Fig. 5. Fostering renewable energy expertise industryacademic-affiliated capstone design presentation and result

OTNBBE_2020_v20n2_271_f0006.png 이미지

그림 6. 신재생에너지 전문 기술 인력양성 산학연계 캡스톤 디자인 제품 에너지경진대 참가

Fig. 6. Cultivation of renewable energy expertise participation in industry-academic capstone design energy contest

이에 따른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기업 참여형 교육과정으로 기업 멘토링을 통한 실무능력 강화

· 현장감 있는 주제 선정을 통한 참여 학생들의 실무 수준의 문제해결 능력 고취

· 캡스톤디자인을 통한 산학연계 연구과제 등 추진

그림 7은 기업연계를 통한 현장실무교육 강화를 목표로 정규교과목을 전임교수, 연구소, 산업체가 협동으로 강좌를 운영함으로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를 정리할 수 있다.

OTNBBE_2020_v20n2_271_f0007.png 이미지

그림 7. 신재생에너지 전문 기술 인력양성 현장실무전문가 활용_산학협동강좌

Fig. 7. Cultivation of renewable energy specialist personnel use of field practitioner

· 교수, 산업체와 전문기관의 합동 강의에 의한 실무 역량 강화

· 공급자(대학교육)와 수요처(산업체 등)의 미스매치 해소 기여

· 산학연관협력체구축에 의한 산학 일원형 인력양성

지역산업체 및 관련 주요기관과 연계를 통한 다양한 진로확보 역량 제고와 현장실무 위주의 인력양성을 도모하고자 지역산업체 및 관련 관계기관과의 MOU 및 수행 프로그램의 결과를 그림 8에서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수요처인 기업체 전문 강사의 강의에 의한 현장성 강화 및 인력양성 협약을 통하여 전공학점 연계 시행의 결과를 얻었다.

OTNBBE_2020_v20n2_271_f0008.png 이미지

그림 8. 신재생에너지 전문 기술 인력양성 MOU 체결 및 외 부인력양성 교육프로그램 참여

Fig. 8. Signed MOU for nurturing renewable energy specialists and participated in training programs for external human resources

그림 9는 현장견학 및 전시회 참가를 통해 에너지기술에 대한 현장성 강화, 기술 동향 이해를 통한 학습효과를 고취할 수 있도록 연구시설 탐방 및 체험 내용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신재생에너지 관련 분야 현장실습 및 인턴십을 통해 원천기술의 실증‧실용화, 부품개발, System Integration 기술, 성능평가기술 등의 실무 중심의 교육 활성화를 이룰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따라서 신재생 분야에 필요한 교과과정을 집중적으로 교육하도록 하여 단기간에 효율적이고 우수한 능력의 전문인력 양성이 가능하도록 체계화하였다.

OTNBBE_2020_v20n2_271_f0009.png 이미지

그림 9. 신재생에너지 전문 기술 인력양성 현장견학 및 전시회

Fig. 9. Nurturing renewable energy expertise field tour & exhibition

추가로 단순 지식 교육이 아니라 국제경쟁력 있는 전문인력 양성, 관련 전문가 초빙을 통하여 국내/외 시장현황 및 기술 동향을 통한 국내외 정보수집 능력을 제고를 위해 산업체 리더형 전문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혁신으로 전문 자격증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인력양성의 전문화를 추구하였다.

Ⅴ. 결론

본 논문에서는 에너지신산업 관련 초, 중, 고급인력이 부족하여 필요한 인력수급의 애로와 중장기적 관점에서 스마트그리드, 광기반 융복합, 차세대전지 등의 에너지신산업 전·후방산업의 시너지 창출 필요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전문 기술 인력양성 교육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제안된 전문 기술 인력양성 교육 알고리즘 운영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를 얻을 것으로 사료된다.

❏ 지역과 산업사회의 요청에 부응하는 체계적 교육 과정을 설정 및 운영함으로써 산학 맞춤형 교육 내실화

❏ 신재생에너지 관련 시스템공학 분야에 집중함으로써 현장적응력과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을 갖춘 맞춤형 엔지니어 양성

❏ 공학 이론을 적용하여 시스템 관련 문제를 해결하고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는 실무형 인재양성

❏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인력 배출에 의한 기업경쟁력 강화

❏ 지역인재 양성 및 지역 기반 기업의 자생력 확보

❏ 융합인력 공급에 의한 기업의 융합기술 경쟁력 강화

참고문헌

  1. Overseas Renewable Energy Industry Cluster Cases and Implications, KEMRI Review, 2015.
  2. Energy Manpower Training System Innovation Plan,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2010.
  3. S. J. Oh, "Training Model Analysis of SW Programmers in BLE Fields through Industry- University Cooperation",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JIIBC), Vol. 17, No. 4, pp. 203-208, 2017. https://doi.org/10.7236/JIIBC.2017.17.4.203
  4. S. D. Yoo, S. J. Yi, D. H. Ryu, "A Study on Effective Plan for Manpower Development of CCTV Sectors",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JIIBC), Vol. 16, No. 3, pp. 57-64, 2016. http://dx.doi.org/10.7236/JIIBC.2016.16.3.57
  5. L. S. Gag, "An Elementary Technology for Broadcasting -Communication Convergence and Incubation Algorithm of Professional Technical Engineer",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JIIBC), Vol. 8, No. 5, pp. 243-249, 2008.
  6. M.S. Chae, "A Study on education program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on concentrating the enterprise participation",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4P, No. 4, pp. 337-342, 2015. https://doi.org/10.5370/KIEEP.2015.64.4.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