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underground structure and tumulus of the Royal Tomb in the Joseon Dynasty

조선후기 회격릉의 지하구조를 반영한 봉릉의 시공과 형식

  • Received : 2019.12.09
  • Accepted : 2020.03.06
  • Published : 2020.04.30

Abstract

In the early of Joseon Dynasty, Royal Tomb developed from stone chamber tomb to lime chamber tomb through precedents. The lime chamber tomb consists of main-chamber(JeongGwang) and sub-chamber(ToeGwang). This separation makes character to construct tumulus of the Royal Tomb half and half. By this character, the Royal Tomb are not constructed by separate structure but constructed by coadjustment. The underground structure and tumulus of the Royal Tomb affect each other in the siz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 selecting type of Royal Tomb is generally made decision through terrain and politics. This study prove the architectural structure is also one of the major cause the that select type of Royal Tomb.

Keywords

References

  1. 국조오례의
  2. 의인왕후산릉도감의궤 1601년 <奎 14826>
  3. 선조목릉천릉도감의궤 1631년 <외규장각>
  4. 인조장릉산릉도감의궤 1649년 <장서각>
  5. 현종숭릉산릉도감의궤 1674년 <외규장각>
  6. 명성왕후숭릉산릉도감의궤 1683년 <奎 14832>
  7. 정조건릉산릉도감의궤 1800년 <奎 13640>
  8. 헌종경릉산릉도감의궤 1849년 <외규장각>
  9. 효현왕후경릉산릉도감의궤 1843년 <외규장각>
  10. 김상협, 조선전기 왕릉 석실 축조 연구,건축역사연구, 제25권, 제7호, 2009년 7월, 175쪽
  11. 김상협, 조선왕릉 회격현궁 축조방법 연구 , 건축역사연구, 제21권, 4호, 2012년, 37쪽 https://doi.org/10.7738/JAH.2012.21.4.037
  12. 안경호, 조선 능제의 회격 조성방법- 장경왕후 초장지를 중심으로-, 정신문화연구, 제32권, 제3호, 2009 가을호
  13. 전나나, 조선왕릉 봉분의 구조적 특성에 대한 일고 - 문헌에 기록된 석실과 회격의 구조를 중심으로, 문화재, Vol.45, No.1, 2012년 3월, 54-69쪽
  14. 이우종, 조선 능묘 광중 지회(壙中 地灰)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6권, 제12호(통권266호), 2010년 12월, 163-172쪽
  15. 이우종, 조선 왕릉 광중 탄격 조성의 배경과 시대적 변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6권, 제4호 (통권258호), 2010년 4월, 183-192쪽
  16.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릉 종합학술조사보고서 7, 201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