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경영이양활성화를 위한 농업경영이양의 제도적 고찰

An Institutional Review of Farming Transfer to Revitalize Management Transfer

  • 이소영 (국립한국농수산대학 농수산비즈니스학과) ;
  • 김진진 (국립한국농수산대학 교양공통과)
  • Lee, S.Y. (Department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Business, Korea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
  • Kim, J.J. (Department of Liberal arts, Korea National College of Agriculyural and Fisheries)
  • 투고 : 2020.11.03
  • 심사 : 2020.12.11
  • 발행 : 2020.12.28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henomenon of agricultural management transfer and to present a plan to activate Korean management transfer through institutional consideration. To this end, the domestic and overseas agricultural management transfer system was identified, and an appropriate institutional plan for the country was sought. There are six ways to activate the management transfer system proposed in this study. First, establishment of an agricultural management transfer agency, second, training and utilization of management transfer experts, third, establishment of an agricultural succession certification support institution, fourth, operation of specialized training courses for management transfer, fifth, (local government) linked operation of a farming support center, sixth, agricultural management transfer legislation and securing of budgets. The above agricultural management transfer system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management transfer activ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강경하, 이영석(2008), 농가경영개선을 위한 가족경영협약 지원방안 연구, 농촌진흥청.
  2. 강혜정.(2008), 영농승계자 보유 농가의 특징과 시사점, 농업경영.정책연구, 제35권 제4호. 929-848.
  3. 경상북도(2020), 2020년도 가업승계 우수농업인 정착지원 지침(신규), 경상북도 농업정책과 내부자료.
  4. 김정호, 최경환, 이용호(2007), 고령 은퇴농의 생활안정 지원제도 도입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5. 류재현, 안병일(2017), 경영이양 직불제가 고령농의 영농은퇴에 미치는 영향분석 : 쌀 재배 농가를 중심으로, 농업경영.정책연구, 44(3), 519-538. 한국농업정책학회.
  6. 마상진(2019), 농업인력의 New Waves, 르네상스는 올까?. '농업.농촌의 길 2019 심포지엄. 발표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7. 윤순덕, 김경미, 조영숙(2008), 고령농업인의 은퇴와 경영이양 의사에 관한 연구, 농촌사회, 18(2), 179-206.
  8. 이상호(2019), 가족경영협약 실태분석과 체결의향 분석, 유기농업학회지, 27(4), 425-436.
  9. 이성호, 김정호(1995), 농가의 상속과 경영승계에 관한 연구. 연구보고 R328.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0. 임소영, 김남훈, 하인혜(2019), 포용성장을 위한 농업인 경영이양 지원 방안. 연구보고 R886.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1. 이정환. 2019. 농업인력의 르네상스가 올 것인가?. 시선집중 GSnJ-제 271호. GS&J인스티튜트.
  12. 이춘수, 강창수, 양성범(2019), 농가와 농업계 대학생의 영농승계에 대한 인식조사, 유기농업학회지, 27(2):111-132.
  13. 정재원, 유홍규(2019), 농업 경영승계자의 승계 관심도와 승계 과정의 애로사항. 농생명환경연구 2019 : 171-179.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14. 허미영.(2014), 농가 가족경영협약 지원방안 연구. 강원도여성가족연구원.
  15. 황정임, 최윤지, 윤민혜(2014), 외국의 농가경영이양 지원 제도 고찰, 농촌지도와 개발, 21(4) ; 939-965
  16. 황정임, 최윤지, 최정신(2018), 농가 경영이양에 대한 영향요인, 농촌지도와 개발, 25(2) ; 57-70
  17. 통계청(2020). 통계로 본 농업구조의 변화.
  18. http://www.epis.or.kr(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2020), 사업소개-청년지원사업-2020년 청년창업농 필수교육).
  19. http://kosis.kr(통계청 사회통계국 농어업동향과, 국가통계포털(KOSIS)-통계로 본 농업의 구조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