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공공임무용 드론의 효과적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실종자 수색용 드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Public Service Drones - Focused on Search and Rescue Drones -

  • 강욱 (경찰대학교 행정학과)
  • 투고 : 2020.02.07
  • 심사 : 2020.03.12
  • 발행 : 2020.03.31

초록

군사용으로 개발되었던 드론은 취미, 레저뿐만 아니라 방송촬영, 공공분야까지 사용분야가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으며, 네팔로 봉사활동을 갔다가 눈사태로 실종된 한국인 교사 4명을 찾기 위해 수색용 드론이 투입되기도 하였다. 정부는 드론 산업을 육성하기 위하여 정책적으로 공공분야에서의 드론의 활용을 장려하고 있으며, 향후 시장도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부문에서 드론의 활용이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공공기관의 드론 활용에 대한 개선방안과 구체적 이용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관련 전문가에 대한 인터뷰, 공공기관의 드론 운용규정 분석 및 경찰의 실종자 수색용 드론 운용사례를 검토하였다. 우선 드론의 도입 이전에 전문성을 갖춘 인력을 확보하고 충분한 검토를 통해 드론의 사양 등을 결정하고, 드론의 도입에 있어서도 면밀한 검사가 이루어진 후에 임무에 투입이 되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드론 운용에 대한 근거규정을 마련하고 이에 따른 매뉴얼을 작성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드론 비행은 추락의 위험성이 있으며, 특히 공공부문에서의 드론은 목적 달성을 위하여 취미용 드론에 비하여 대형화 전문화되어 있기 때문에 드론 운영의 전담인력 확보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경찰청의 실종자 수색용 드론에 대해서만 구체적인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인터뷰 대상자도 적다는 한계가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여러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할 필요가 있으며, 인터뷰 외에도 설문조사가 각종 자료나 통계 등의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Drones, which were originally developed for military purpose, have expanded rapidly not only in hobbies, leisure, but also in broadcasting, filming, and public sectors, and search and rescue drones have been used to find four Korean teachers who went to Nepal for volunteer work but went missing in the avalanche. The government is encouraging the use of drones in the public sector as a policy to foster the drone industry, and the market is expected to expand in the future. This study presents improvement measures and specific directions for use of drones by public agencies at a time when the use of drones is expanding in the public sector. To that end, this research reviewed the interviews of relevant experts, analysis of drone operation regulations by public agencies, and the cases of operation of drones for searching missing persons by police. First of all, it will have to secure skilled personnel before the introduction of the drones and then determine the specifications of the drones through sufficient review, and then be put into the mission after careful examination of the drones. Next, it is necessary to draw up a base rule for drone operation and draw up a manual accordingly. Finally, drone flight has the risk of a crash, and it is essential to secure dedicated personnel for drone operation, especially since drones in the public sector are specialized in large scale compared to hobby drones to achieve their purpose. This research only conducted a detailed analysis of the National Police Agency's drones for searching for missing persons, and there are limitations to the number of people interviewed. Subsequent studies will require analysis of various public institutions, and in addition to interviews, surveys will require analysis of various data and statistic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욱 (2018). 공공임무용 드론의 사회적 비용.편익 분석에 대한 연구: 실종자 수색용 드론을 중심으로. 한국테러학회보, 11, 90-107.
  2. 경찰청 (2019). 제안요청서: 실종자 수색용 무인비행장치 구매.
  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8). 공공기관 수요 맞춤형 무인이동체 개발을 위한 기관담당자 대상 사업설명회 개최. [On-line] https://www.msit.go.kr/web/main/main.do
  4. 권향원 (2016). 근거이론의 수행방법에 대한 이해: 실천적 가이드라인과 이론적 쟁점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0(2), 181-216.
  5. 동아일보 (2020, 1, 19). 네팔 韓 실종자 수색-구조 악천후로 난항...귀국 교사들 사고 예상 못 해. 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200119/99311730/1.
  6. 미래창조과학부 (2016). 무인이동체 산업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한 무인이동체 발전 5개년 계획(안).
  7. 박현섭, 김유단, 김현진, 주영훈 (2014). 무인항공기의 활용현황 및 발전방안.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이슈리포트, 2014(9), 28.
  8. 윤견수 (2013). 경험의 의미와 질적 연구의 연구 과정: 근거이론에 대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7(2), 163-200.
  9. 이데일리 (2019, 6, 24). 中 불법어업.여름철 적조, 해양드론이 감시한다.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410806622525000&mediaCodeNo=257&OutLnkChk=Y.
  10. 이승영, 강욱 (2019). 드론 개념의 재정립에 관한 연구. 시큐리티연구, 58, 35-58.
  11. 최상기, 우대식 (2019). 실종자 신속구조를 위한 효율적인 드론수색방법에 관한 연구. 경찰학연구, 19(2), 191-216.
  12. 헤럴드경제 (2019, 4, 22). 기상관측, 드론을 만나다.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90422000376.
  13. Corbin, J. M., & Strauss, A. (1990). Grounded theory research: Procedures, canons, and evaluative criteria. Qualitative Sociology, 13(1), 3-21. https://doi.org/10.1007/BF00988593
  14. Glaser, B. G. (1998). Doing grounded theory: Issues and discussions. Mill Valley, CA: Sociology Press.
  15. Glaser, B. G. (2007). Doing formal theory. The Sage handbook of grounded theory(PartII), 97-113.
  16. Glaser, B. G., & Strauss, A. L. (1965). Discovery of substantive theory: A basic strategy underlying qualitative research.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8(6), 5-12. https://doi.org/10.1177/00027642650080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