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이 성장과정에서 필요한 심리적 적응에 집단미술치료가 필요하다고 보며, 집단미술치료를 연구하여 그 효과를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아동은 미술작업경험과 연구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점차 자유롭게 자신을 표현할 수 있었으며, 자신의 감정과 생각 그리고 내면의 욕구를 미술적 표현을 통해 객관화하고 수용 및 해소하는 경험을 하였다. 둘째, 다문화가정 아동은 능동적인 자기표현, 자발성, 정서표현을 촉진하는 비구조적인 집단미술치료 환경가운데 자신에 대해 새롭게 인식할 수 있었으며, 점차 능동적인 태도 즉, 자발성을 회복하는 경험을 하였다. 셋째, 다문화가정 아동은 집단미술치료 경험의 과정에서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키울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미술치료가 갖고 있는 고유의 독특한 측면들을 통해 다문화가정 아동의 심리적 적응에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아동에게 서로 언어만으로는 할 수 없었던 방식으로 이야기를 나누는 장을 마련해 줄 수 있다.
This study is to consider that group art therapy is necessary for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that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need in the growth process, and discusses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able to express themselves gradually through art work experiences and interactions with researchers, and experienced the objectification, acceptance and resolution of their emotions, thoughts and inner desires through artistic expression. Seco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newly aware of themselves in an unstructured group art therapy environment that promoted active self-expression, spontaneity, and emotional expression, and gradually experienced an active attitude, that is, recovery of spontaneity. Third,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were able to develop positive self-concept in the process of group art therapy experience. In conclusion, by applying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children who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of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rough the unique unique aspects of art therapy can provide a place where they can talk with each other in ways that language alone could not. ha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