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PA를 활용한 건축 설계단계 VR 적용가능업무 평가

The Evaluation of VR Applicable Work in Building Design Phase using IPA

  • 이동윤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미래융합연구본부 건설자동화연구센터) ;
  • 서명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미래융합연구본부 건설자동화연구센터)
  • 투고 : 2020.10.14
  • 심사 : 2020.12.10
  • 발행 : 2020.12.31

초록

4차산업혁명 대표적인 기술인 VR(Virtual Reality) 기술이 다양한 산업분야에 사용되고 있으며, 건축분야에서도 실무에 사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건축분야에서 VR은 안전 및 실무 교육용, 건축물 홍보용 등 사용자가 단순하게 3D 모델링을 가상현실에 구현하여 체험하는 정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관련 연구로는 재난안전 대피 시뮬레이션, 설계교육용 컨텐츠 등 컨텐츠 및 가시화 시뮬레이션 개발에 대한 연구하는 수준이다. 실무에서 요구되고, 적합한 VR 기술 개발 및 방향성 제시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축분야에 적합한 VR 기술 개발하기 앞서 적용가능한 업무를 도출하여 전문가들의 판단을 근거한 정량적인 평가 및 분석을 하고자 한다. 단, 현재 건축 전과정에서 VR의 필요성 및 적용 효과가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건축 설계단계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도출된 건축 설계단계 VR 적용가능업무는 9개이며, 이들 업무를 대상으로 기대수준, 중요도, 적용도를 설문조사하여 IPA(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를 활용하여 평가 및 분석하였다. 그 결과, 건축 부재 설계 검토업무, 관련 이해관계자간의 의사결정을 위한 협업 업무에 대하여 VR 기술 및 컨텐츠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 및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건축 설계단계에 적용할 VR 기술 개발에 있어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이라 사료된다.

In the construction, VR(Virtual Reality) is simply used by users to implement and experience 3D modeling in virtual reality, such as safety, practical education, and promotion. The VR related research includes content development and visualization simulation such as disaster safety evacuation simulation and design education contents. Research on developing suitable VR and presenting directionality is insufficient, which is required in practice. Therefore, in this study, prior to the development of VR suitable for the construction, quantitative evaluation, and analysis based on the judgment of experts are performed. However,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design stages, which are believed to have high needs and application effects of VR during the lifecycle of construction. There are nine tasks that can be applied to VR in the design stage, and these tasks were evaluated and analyzed using IPA(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by surveying the level of expectations, importance, and performance. As a result, it was evaluated and analyzed that VR and content development was necessary for the review of member interference and collaboration work for decision making among related stakehold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VR to be applied in the design stage to the future.

키워드

참고문헌

  1. 박종진, 박종진, 김석태, 전한종, "게임엔진을 활용한 가상건축 시뮬레이션 적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제22권, 제20호, 49-56쪽, 2006년 10월
  2. 최상미, 김정호, 권순철, 이승현, "VR HMD에서의 비전 테라피 활용을 위한 기술 요소 연구," 전자공학회논문지, 제54권, 제12호, 161-168쪽, 2016년 12월
  3. 류창주, 이상덕, 한승조, "MR 기반 침술 훈련 시스템을 위한 침술 컨트롤러 및 인체모형 설계," 스마트미디어저널, 제9권, 제2호, 86-91쪽, 2020년 06월 https://doi.org/10.30693/SMJ.2020.9.2.86
  4. 이동윤, 서명배, "건설분야 가상현실기술 관련 연구 트렌드 분석,"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9권, 제1호, 337-338쪽, 2020년 5월
  5. 박형진, 서명배, "가상현실기반 지하공간 재나대피 시뮬레이션 개발,"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9-30쪽, 2017년 6월
  6. 서명배, 박형진, "BIM 기반의 가상현실 다면 투사 시뮬레이션 시스템 구축,"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제30권, 제3호, 231-238쪽, 2017년 06월 https://doi.org/10.7734/COSEIK.2017.30.3.231
  7. 서명배, "가상건설 활성화를 위한 BIM 재질 매핑 자동화 기술," 스마트미디어저널, 제9권, 제3호, 107-115쪽, 2020년 9월 https://doi.org/10.30693/smj.2020.9.3.107
  8. NBBJ Virtual Reality Use Case, https://www.youtube.com/watch?v=-5_V7z13vIg (accessed Oct., 1, 2020).
  9. AECOM Virtual Reality Use Case, http://www.instavr.co/customer-stories/aecom (accessed Oct., 1, 2020).
  10. Perkins+Will Virtual Reality Use Case, https://www.youtube.com/watch?v=T1TBmTPB3uw (accessed Oc., 1, 2020).
  11. Gensler Virtual Reality Use Case, http://www.gensleron.com/fifty-on/2015/12/14/architectures-new-realities-in-a-virtual-world.html (accessed Sep., 7, 2020).
  12. CallisonRTKL Virtual Reality Use Case, https://www.youtube.com/watch?v=BJuEXwPXa3c (accessed Oct., 1, 2020).
  13. Stantec Virtual Reality Use Case, https://www.bdcnetwork.com/virtual-reality-howthree-firms-are-using-vr-technology (accessed Oct., 1, 2020).
  14. HDR Virtual Reality Use Case, https://www.hdrinc.com/insights/virtual-world-our-fingertips (accessed Oct., 1, 2020).
  15. Mano Landscape Design Office Use Case, http://vrmano.com/ (accessed Oct., 1, 2020).
  16. Akispace Architects & Engineers Use Case, http://www.archiface.com/ (accessed Oct., 1, 2020).
  17. 류정림, 추승연, 조진성, "주거단지 배치계획을 위한 증강현실 기술의 활용방안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21권, 제4호, 89-97쪽, 2010년 8월 https://doi.org/10.6107/JKHA.2010.21.4.089
  18. 김정훈, "가상현실 공간을 통한 건축 시각화 구현에 관한 연구:온양민속박물관 건축물 공간을 중심으로", 순천향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년 2월
  19. 한종성, "문환관광 VR 콘텐츠에 관한연구:전주한옥마을 중심으로", 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년 2월
  20. 강영환, "VR기술을 활용한 암각화 박물관의 콘텐츠 개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0호, 443-453쪽, 2016년 7월 https://doi.org/10.5392/JKCA.2016.16.10.443
  21. W. A. Abdelhameed. "Virtual Reality Use in Architectural Design Studios: A case of study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Procedia Computer Science, vol. 25, pp. 220-230, 2013. https://doi.org/10.1016/j.procs.2013.11.027
  22. D. Broschart, P. Zeile, "Architecture - Augmented Reality Techniques and Use Cases in Architecture and Urban Planning," Conference REALCORP 2014, pp. 75-82, May, 2014.
  23. J. Wang, X. Wang, W. Shou, B. X. "Integrating BIM and augmented reality for interactive architectural visualization," Construction Innovation, vol. 14, no. 4, pp.453-476, Sep, 2014. https://doi.org/10.1108/CI-03-2014-0019
  24. M. Gheisari, M. Foroughi, P. J. Chen, J. Irizarry, "Integrating BIM and Panorama to Create a Semi Augmented Reality Experience of a Construction Site," International Journal of Construction Education and Research, vol. 12, no. 4, pp. 303-316, Oct. 2016. https://doi.org/10.1080/15578771.2016.1240117
  25. 박재승, 석윤찬, "시선추적형 가상현실기기를 통한 광고분석 시스템," 스마트미디어저널, 제5권, 제3호, 62-66쪽, 2016년 9월
  26. J. Du, Z. Zou, Y. Shi, D. Zhao. "Zero latency: Real-time synchronization of BIM data in virtual reality for collaborative decision-making," Automation in Construction, vol. 85, pp. 51-64, Jan. 2018. https://doi.org/10.1016/j.autcon.2017.10.009
  27. G. Frank,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 An evaluation and marketing tool," The Journal of Park and Recreation Administration, vol. 3, no. 2, pp. 13-22, 1985.
  28. Jum C. Nunnally, "Psychometric Theory 3E," McGraw-Hill, pp. 1-752,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