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User Behavior of Internet Medical Apps

인터넷 의료 애플리케이션 사용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관한 연구

  • 한소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 전공) ;
  • 이홍 (동서대학교 디자인대학) ;
  • 김형우 (동서대학교 디자인대학)
  • Received : 2020.10.16
  • Accepted : 2020.12.15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Due to the recent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improvement of income level in China, the desire for quality medical services is increasing compared to the past. As an alternative to satisfy these needs, various applications using smart phones and the like are being developed. The new corona that occurred in December 2019 began to show great interest in non-face-to-face telemedicine services using smart phones due to the worldwide spread of the coronavirus. Therefore, in this study, a total of 200 people were surveyed on the top three mobile medical applications in China, and the data of 120 people who actually used medical applications were analyzed based on Venkatesh's UTAUT2 theory. A study was conducted on the intent to use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in-law behavior. First, it has become clear that the interactive characteristics, expectations for effort, price value, interest in privacy, habits, and promotional conditions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user's use. Second,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user's intention to use influences the behavior of use, and among the intentions of use, it was found that the mobilization characteristic expectation, hedonistic motivation, price value, habits, and promotion conditions affect the use behavior. Third, a study result was derived that the controlling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school age, and annual income do not affect the user's intention to use mobile medical applications as a controlling variable. Finally, due to the nature of mobile devices that use the Internet, various security vulnerabilities exist, and this can cause great damage or personal and social impact. Therefore, for the development of mobile medical services in China, it is necessary to re-establish a research model through comprehensive and in-depth considerations to supplement these problems in the future.

최근 중국의 경제발전과 소득수준의 향상으로 과거에 비해 질 좋은 의료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대안으로 스마트 폰을 활용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2019년 12월 발생한 COVID-19의 전 세계적인 확산으로 인하여 그 관심은 비대면 원격의료 서비스로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내 상위 3개의 모바일 의료 애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총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중 의료 애플리케이션을 실제로 사용해 본 120명의 데이터를 벤카테시(Venkatesh)의 UTAUT2 이론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사용의도와 사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렉티브화 특성, 노력기대, 가격가치, 프라이버시 관심도, 습관, 촉진 조건이 사용자의 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사용자의 사용의도가 사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습관과 촉진 조건은 사용의도와 사용행위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성별, 연령, 학령, 연간 수입 등의 조절변수가 사용자의 모바일 의료 애플리케이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연구결과를 도출했다. 마지막으로 인터넷 등을 사용하는 모바일 기기의 특성상 여러 보안에 취약점들이 존재하며 이로 인해 개인 또는 사회적으로 큰 피해나 파장을 불러올 수 있다. 따라서 중국의 모바일 의료 서비스 발전을 위해 차후 이러한 문제점 등을 보완 총체적이고 심층적인 고찰을 통해 연구모형의 재수립이 필요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다이카후이(Dai Jiahui), 허우옌훙(Hou Yanhong.), "모바일 의료 운영 모델 및 상업 경로 분석," The Analysis of Operation Mode and Business Path of Mobile Health [J]. 위생 경제 연구, 학원논문, 2018
  2. 이일(Li Yi.), "국내 문진류 모바일 의료 앱의 기능분석 및 평가," [J ].중화의학도서 정보지, 학술논문, 제24권, 제12호, 63-65쪽, 2015
  3. 장각, "우리나라 모바일 의료 앱 핵심 기능 분석 및 발전 제안," 중화의학도서정보지, 2017
  4. 왕기(Wang Qi), "플랫폼 특성에 기초한 인터넷 의료 플랫폼 이용 의도영향 연구," [D]. 하얼빈공업대학, 학위논문, 2019
  5. Venkatesh V, Thong JIL, Xu X. "Consumer acceptance and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exteding the unied theory of acceptance anduse of technology," MIS Quarterly, 2012.
  6. 진석, "웨어러블 헬스케어 기기의 수용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비즈니스IT전문대학원 국내박사학위논문, 2020
  7. 주준(Zhou Jun), "설문데이터 분석-SPSS의 6가지 분석적 사고해법," 전자 공업 출판사, 2017
  8. LIANG WENYU, "중국에서 모바일 의료서비스 앱의 품질이 의료서비스의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학위논문, 2018
  9. 정선영, "모바일 쇼핑 사용자 경험이 만족과 지속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영상대학원 국내석사학위논문, 2015
  10. 김성진, "의료서비스 모바일 앱의 서비스편의성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대학원 국내박사학위논문, 2018
  11. Hauke J, Kossowski T, "Comparison of Values of Pearson's and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s on the Same Sets of Data," Quaestiones Geographicae, vol. 30, no. 2, 2011.
  12. Arndt S, Turvey C, "Andreasen N C. Correlating and predicting psychiatric symptom ratings: Spearmans r versus Kendalls tau correlation,"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vol. 33, no. 2, 1999.
  13. Chung R H, Kim B S, Abreu J M, "Asian American multidimensional acculturation scale: development,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d validity," Cultur Divers Ethnic Minor Psychol, vol. 10, no. 1, 2004.
  14. Eisinga R, Te Grotenhuis M, Pelzer B,. "The reliability of a two-item scale: Pearson, Cronbach, or Spearman-Brown,"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Health, vol. 58, no. 4, pp. 637-642, 2013. https://doi.org/10.1007/s00038-012-0416-3
  15. 정선영, "모바일 쇼핑 사용자 경험이 만족과 지속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영상대학원 국내석사학위논문, 2015
  16. 이창무, 오승교, 최덕재, "활성산소 측정 데이터를 위한 모바일 기반의 U헬스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스마트미디어저널, 제1권, 제4호, 52-58쪽, 2012년 12월
  17. 이효승, 오재철, "NFC를 활용한 병원 회진 안내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스마트미디어저널, 제5권, 제3호, 67-73쪽, 2016년 9월
  18. 여광수, 김철중, 이재현, 김순석, "상관도를 이용한 국내 의료기관용 개인정보 비식별화 방안에 관한 연구," 스마트미디어저널, 제5권, 제4호, 83-89쪽, 2016년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