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R기반 교육용 콘텐츠분석을 위한 통계분석서비스 모형 설계

A Design of Statistical Analysis Service Model to Analyze AR-based Educational Contents

  • 윤봉식 (남부대학교 IT공학과) ;
  • 유소월 (조선대학교 SW중심대학사업단)
  • 투고 : 2020.08.31
  • 심사 : 2020.10.07
  • 발행 : 2020.12.31

초록

온라인 교육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다양한 교육용 콘텐츠들이 출시되어지고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사용성과 사용자환경이 반영될 수 있는 콘텐츠 개발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시장의 양적 확대를 뒷받침할 콘텐츠의 질적 성장을 위해서는 새로이 개발되지는 콘텐츠의 개발 방향성 확보 시점에서 기존 출시 모형에 대한 빠른 분석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콘텐츠 개발과정에서 개발 목표 설정에 필요한 전형적 모델의 추출과정을 직관적으로 협의할 수 있는 툴의 부재로 제작시안을 기준으로 한 반복적 업무 회귀가 개발공정에 필요한 많은 인력과 시간을 낭비하게 한다. 통계를 이용한 자료원 검증툴은 개발 전 과정과 최종 개발 결과에 영향을 주는 프로토타입의 선정 시 협력 업무를 수행하는 단일기업 내 또는 다수의 기업 간 소통의 부재로 인한 성과 이원화 문제를 공정 간에 스크린해주는 긍정적 효익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시료가 충분치 않은 AR기반 교육용 콘텐츠의 개발과정에 적용할 후속 현장실험 적용 통계서비스모델을 설계하는 것으로써 유사 범주의 시료 확보를 통해 개발에 필요한 데이터를 확보하는 것이 적정하여 빅데이터를 이용한 자료의 취합과 의사결정이 프로세스를 기준으로 진행되었다. 이번 연구에서 제시되는 데이터 통계분석서비스 기본 모형은 직관적인 다차원 요인과 속성의 선택과 검출이 가능한 구조로 설계하였으며 후속 현장형 실험연구와 연계하여 조직 내 또는 다수 기업 간 협력활동에 조력이 가능한 온라인 기반 데이터 통계분석서비스로 제안하고자 한다.

As the online education market expands, educational contents with various presentation methods are being developed and released. In addition, it is imperative to develop content that reflects the usability and user environment of users who use this educational content. However, for qualitative growth of contents that will support quantitative expansion of markets, existing model analysis methods are urgently needed at a time when development direction of newly developed contents is secured. In this process of content development, a typical model for setting development goals is needed, as the rules of the prototype affect the entire development process and the final development outcome. It can also provide a positive benefit that screens the issue of performance dualization between processes due to the absence of communication between a single entity or between a number of entities. In the case of AR-based educational content which is effective to secure data necessary for development by securing samples of similar categories because there are not enough ready-made samples released. Therefore, a big data statistical analysis service is needed that can easily collect data and make decisions using big data.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design analysis services that enable the selection and detection of intuitive multidimensional factors and attributes, and propose big data-based statistical analysis services that can assist cooperative activities within an organization or among many companies.

키워드

참고문헌

  1. 류시천, 최진영, 심미희, "스마트 애플리케이션 UX 디자인 평가 접근 방법," 스마트미디어저널 제8권 제3호, 70-79쪽, 2019년 9월 https://doi.org/10.30693/SMJ.2019.8.3.70
  2. Staffan Persson, Hairong Wei, Jennifer Milne, Grier P. Page, Christopher R. Somerville, "Identification of Genes Required for Cellulose Synthesis by Regression Analysis of Public Microarray Data Set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vol. 102, no. 24, pp. 8633-8638, 2005.
  3. Uwe Scherf, Francois Collin, Yasmin D. Beazer Barclay, Terence P. Speed, Kristen J. Antonellis, Bridget Hobbs, Rafael A. Irizarry, "Exploration, normalization, and summaries of high density oligonucleotide array probe level data, Biostatistics," Oxford University Press, vol. 4, no. 2, pp. 249-313, 2003. https://doi.org/10.1093/biostatistics/4.2.249
  4. 윤봉식, 조광수, "LED조명등기구 디자인 개발을 위한 형태적 속성 분석에 관한 연구," 스마트미디어저널, 제5권 제4호, 103-110쪽, 2016년
  5. Yixuan Zhang, Kartik Chanana, Cody Dunne, "IDMVis: Temporal Event Sequence Visualization for Type 1 Diabetes Treatment," Decision Support,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vol. 25, no. 1, pp. 512-522, 2019.
  6. 2012 World Economic Forum.WEF, 2012년 02월.
  7. Thomson Reuters Labs, Thomson Reuters Company, Canada.
  8. World Economic Forum on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2018.
  9. Ardiles Septuaginta Sopakuwa, Prabu Wardono & Bagus Handoko, "Pengaruh Elemen Desain Interior Terhadap Persepsi Maskulinitas (Studi Kasus: Barber Shop)," Journal of Visual Art and Design, J. Vis. Art & Design, vol. 8, no. 1, pp. 46-64, 2016. https://doi.org/10.5614/j.vad.2016.8.1.4
  10. Conggang Yu, and Lusha Zhu, "Product design pattern based on big data-driven scenario," Advances in Mechanical Engineering, vol. 8, no. 7, pp. 1-9, 2016.
  11. Garner, W. R., & Felfoldy, G. L., "Integrality of stimulus dimensions in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processing," Cognitive Psychology, vol. 1, pp. 225-231, 1970. https://doi.org/10.1016/0010-0285(70)90016-2
  12. Robert M. Nosofsky, "Attention, Similarity, and the Identification-Categorization Relationship," Journal of Expcrimmatal Psychology: General, vol. 115, no. 1, pp. 41-42, 1996.
  13. 양종열, "컨셉테스팅에서 제품디자인선호에 대한 디자인요소들의 영향," 디자인학연구, 한국디자인학회, 제43권 제3호, 71-72쪽, 2001년
  14. Wucius Wong, Principles of form and design, Van Nostrand Reinhold, pp. 38, 1993.
  15. 윤봉식, "형태적 관점의 콘텐츠 UI구조 분석 방법 설계," 스마트미디어저널, 제8권 제4호, 58-63쪽, 2019년 https://doi.org/10.30693/SMJ.2019.8.4.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