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e Study of Establishing and Operating Maker Space in A Developing Country - Focusing on iTEC Tech-shop in Tanzania -

개발도상국 메이커 스페이스 구축 및 운영 사례 - 탄자니아 iTEC 테크샵을 중심으로 -

  • Im, Hyuck-Soon (Innovative Technology and Energy Center(iTEC)) ;
  • Jung, Woo-Kyun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 Ngajilo, Tunu Y. (Innovative Technology and Energy Center(iTEC)) ;
  • Meena, Okuli (Innovative Technology and Energy Center(iTEC)) ;
  • Lee, Ahnna (Innovative Technology and Energy Center(iTEC)) ;
  • Ahn, Sung-Hoon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 Rhee, Hyop-Seung (Innovative Technology and Energy Center(iTEC))
  • 임혁순 (한국-탄자니아 에너지-산업연계 적정기술거점센터(iTEC)) ;
  • 정우균 (서울대학교 기계공학부) ;
  • 투누 은가질로 (한국-탄자니아 에너지-산업연계 적정기술거점센터(iTEC)) ;
  • 오쿨리 미나 (한국-탄자니아 에너지-산업연계 적정기술거점센터(iTEC)) ;
  • 이안나 (한국-탄자니아 에너지-산업연계 적정기술거점센터(iTEC)) ;
  • 안성훈 (서울대학교 기계공학부) ;
  • 이협승 (한국-탄자니아 에너지-산업연계 적정기술거점센터(iTEC))
  • Received : 2020.08.03
  • Accepted : 2020.09.21
  • Published : 2020.11.20

Abstract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nd the popularization of technologies the maker movement is spreading worldwide in various ways for education, entrepreneurship, and solving social problems. This paper introduces a case of establishing and operating a maker space in Tanzania, East Africa, one of the developing countries. iTEC Tech-shop was established in the first half of 2018 at the Nelson Mandela African Institu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NM-AIST) in Arusha, Tanzania by Innovative Technology and Energy Center (iTEC), and has been operating for nearly two years. With the allocation of empty warehouse space from NM-AIST, physical facilities were established through the purchase and installation of equipment and hand tools. Based on the advice from Idea Factory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Fab-Lab Seoul, iTEC Tech-shop operational system were established. Through a total of 7 technical workshops, iTEC Tech-shop provided training courses for about 180 local personnel. In addition, the smart Techshop test-bed project was promoted in order to improve the operation level along with securing sustainability of the Techshop. The case of the iTEC Tech-shop could be a useful case for institutions or organizations promoting the maker movement to developing countries.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전개와 함께 ICT, 3D 프린터 등의 기술이 대중화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메이커 운동의 확산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메이커 운동은 아이디어 구현 공간인 메이커 스페이스를 통하여 교육과 창업, 사회문제 해결 등을 목적으로 다양하게 추진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발도상국 중 하나인 아프리카 탄자니아에 메이커 스페이스를 구축하고 운영한 사례를 소개한다. iTEC 테크샵은 한국-탄자니아 에너지-산업연계 적정기술거점센터(iTEC)가 탄자니아 아루샤 지역의 넬슨만델라 아프리카과학기술원(NM-AIST)에 2018년 전반기에 구축하여 2년여 가까이 운영하고 있다. NM-AIST로부터 빈 건물 공간을 할당받아 전기 배선과 출입문 작업으로부터 시작하여, 테크샵 운영을 위한 장비 및 수공구 구매와 설치를 통해 물리적 설비를 구축하였다. 또한, 서울대학교 아이디어팩토리, 팹랩 서울 등의 자문을 바탕으로 테크샵 운영 매뉴얼과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iTEC 테크샵은 총 9회의 기술 워크숍을 통해 193명의 현지 인력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시제품 제작과 함께 다양한 지원활동을 수행하였다. 또한, 테크샵 운영의 지속 가능성 확보와 함께 운영수준을 한 단계 향상시키고자 스마트 테크샵 테스트베드 프로젝트를 추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iTEC 테크샵의 사례는 개발도상국에 대한 메이커 운동 확산을 추진하는 기관 또는 단체들에게 유용한 예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개도국과학기술지원사업(과제번호: 2017K1A3A9A04013801)의 연구 결과입니다.

References

  1. 서진원, 최종인. (2019). 메이커스페이스에 대한 창업경영학적 접근의 필요성, 벤처창업연구, 14(3), pp. 111-127.
  2. 성지은, 한규영, 박인용. (2016). 국내 리빙랩의 현황과 과제, STEPI Insight, 184, pp. 8-10.
  3. 이승철, 전용주, 김태영. (2017). 메이커 운동의 해외사례 분석을 통한 국내 메이커 교육도입 방향 제안,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1(1), pp. 41-43.
  4. Tanzania Investment Centre. (2011). The Tanzania Development Vision 2025, pp. 14-16.
  5. 김지수, 정우균, 하보라, 문지현, 이협승, 안성훈. (2019). 스마트-독립전력망을 사용한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의 건설과 운영: 한국-탄자니아 적정기술 거점센터의 사례, 적정기술학회지, 5(2), pp. 62-69.
  6. 이승민. (2017). 제4차산업혁명과소프트파워: 제4차산업 혁명시대, 국내외 메이커 스페이스 동향,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이슈리포트 2017-25, 제2장, pp. 5-10.
  7. 이건창, 이명무, 김윤호. (2016). 일본 팹랩 사례와 한국의 적정기술 진흥정책에 관한 제언, 적정기술학회지, 2(1), pp. 11-18.
  8. 성지은. (2018). 현장과 주민이 함께 하는 혁신활동으로서 의 국내 리빙랩 현황과 과제, 적정기술학회지, 4(2), pp. 79-87.
  9. 강신호. (2017). 적정기술의 철학을 구현하는 대안에너지기술연구소, 적정기술학회지, 3(2), pp. 91-95.
  10. 이명무, 김윤호. (2017). 업사이클 플라스틱 개발: 필리핀 팹랩 보홀의 사례, 적정기술학회지, 3(1), pp. 42-52.
  11. Anza Entrepreneurs. (2016). The Innovation ecosystem of Tanzania, www.anzaentrepreneurs.co.tz
  12. Nkoudou, T.H.M. (2017). Benefits and the hidden face of the maker movement: Thoughts on its appropriation in African context, Liinc em Revista 13(1), pp. 72-88. DOI:10.18617/liinc.v13i1.3774
  13. https://ebikefocus.com/blogs/news/buni
  14. http://www.twende-tanzania.org/
  15. https://www.veta.go.tz/about-us
  16. https://ideafactory.snu.ac.kr/
  17. http://fablab-seoul.org/
  18. 권혁인, 김주호. (2019). 한국형 메이커스페이스 활성화를 위한 운영요소 분석 연구, 벤처창업연구, 14(2), pp. 105-118. https://doi.org/10.16972/APJBVE.14.2.201904.105
  19. Wang, X.L., Ha, B., Manongi, F.A., Jung, W.K., Jande, Y.A.C., Ahn, S.H. (2020). Arduino-based low-cost electrical load tracking system with a long-range mesh network, Advanced in Manufacturing, DOI:10.1007/s40436-020-00310-5
  20. Wang, X.L., Ha, B., Lee, G.Y., Kim, H.J., Yu, J.H., Rhee, H., Njau, K.N., Jande, Y.A.C., Ahn, S.H. (2020). Low-cost far-field wireless electrical load monitoring system applied in an off-grid rural area of Tanzania, Sustainable Cities and Society, 59, DOI:10.1016/j.scs.2020.102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