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Korean Public Diplomacy of Appropriate Technology

한국의 적정 과학기술 공공외교 현황

  • Baek, Woonho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and Diplomac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Shin, Jin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and Diplomac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Koo, Ki-kwan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
  • Jung, Jihoo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
  • Choi, Sangjin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 백운호 (충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
  • 신진 (충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
  • 구기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 정지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 최상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Received : 2020.04.06
  • Accepted : 2020.08.13
  • Published : 2020.11.20

Abstract

Appropriate technology could be viewed in light of the framework of public diplomacy in which different countries and peoples interact with the environment and demand of residents in developing countries abroad. Korea has been relatively recently participating in public diplomacy since the effectuation of public diplomacy law in 2016, and tends to focus on cultural areas such as the Korean Wave. In this regard, this study compares the current state of public diplomacy in science and technology with major foreign countries and consider Korea's strengths, potential for development and evaluation management. The framework of public diplomacy may provide an opportunity to seek systemic cooperation in appropriate technology.

적정기술은 해외 개발도상국 지역 주민의 환경과 수요에 맞추어 서로 다른 국가 및 국민들이 상호작용하는 공공외교의 틀로 비추어 볼 수 있을 것이다. 한국에서는 2016년에 공공외교법이 발효 되는 등 비교적 최근에 이르러서야 정부, 기관, 국민들이 참여하고 있으며, 한류 등 문화 분야에 집중되어 있는 현황이다. 이와 관련하여 해외 주요국과 한국의 과학기술 공공외교 현황을 비교해보고, 한국의 강점 및 발전 가능성, 평가 관리에 대해서 고찰해 보고자 한다. 적정기술과 과학기술을 공공외교의 틀에서 접근한다면 한국 및 현지의 각 참여자들이 유기적으로 협력을 도모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의 주요사업(B8-2463-01)을 재원으로 수행한 연구과제의 결과이다.

References

  1. 외교부 공공외교포털 http://www.publicdiplomacy.go.kr (검색일 : 2020.6.30.)
  2. 문체부 해외문화홍보원, 2018년도 국가이미지 조사 보고서, 2019.1.22. http://www.kocis.go.kr/reference/view.do?seq=12172&catecode=&page=1&pageSize=10&photoPageSize=6&totalCount=0&searchType=null&searchText=&RN=6 (검색일 : 2020.6.30.)
  3. 미국블룸버그 Bloomberg, These are the world's most innovative countries, 2019.1.21
  4. OECD, OECD Main Science and Technology Indicators R&D Highlights 2019, 과학기술혁신이사회(Directorate for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March 2019, www.oecd.org/sti/msti2019.pdf
  5. 이희윤, 한국연구재단, Status and Achievement of Basic Research in Korea, 한국연구재단출범 10주년기념국제심포지엄: 사회적 가치 향상을 위한 R&D 시스템 혁신, 2019.6.25.
  6. 한국연구재단홈페이지 연구성과보도자료 목록 https://www.nrf.re.kr/ (검색일 : 2020.6.30.)
  7. 이준영외 4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정보분석센터, "국제 공동연구의 인용영향력에 대한 연구",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제7권 제6호, pp1,353-1,362, 2012 https://doi.org/10.13067/JKIECS.2012.7.6.1353
  8. 김태환, "지식외교와 싱크탱크의 역할", 「성균차이나브리프」 3권 3호, 성균관대학교 성균중국연구소, 2015.
  9. 세계은행 PASET, PASET Overview Brouchure, https://www.rsifpaset.org/ (검색일 : 2020.6.30.)
  10. 조현주, 김은미, 정헌주, "한국 공적개발원조의 다자성 양자원조에 관한 탐색적 연구, 국제관계연구, 2016.12, 35-65
  11. 기획재정부, 외교통상부, "분야별 국제개발협력 기본계획 (2011~2015년), 제8차 국제개발협력위원회 의결안건(제8-1 호)
  12. 김민영, "시민사회가 바라본 2018 한국의 OECD DAC 동료검토", 국제개발협력, 2018.3,35-49
  13. 관계부처합동, "제2차 국제개발협력기본계획", 제22차 국제개발협력위원회 의결안건(제22-1호)
  14. World Health Organization, Republic of Korea-WHO Country Cooperation Strategy 2019-2023, 2019
  15. Michael Bright, UKRI and its Role in the UK Research and Innovation Landscape, 한국연구재단출범 10주년기념국제 심포지엄: 사회적 가치 향상을 위한 R&D 시스템 혁신, 2019.6.25.
  16. HM(Her Majesty's) Government, Industrial Strategy: Building a Britain fit for the future, 2017
  17. HM(Her Majesty's) Government, International Research and Innovation Strategy, 2019
  18. 일본과학기술진흥기구 https://www.jst.go.jp/EN/
  19. 일본 內閣府(Cabinet Office), 第5期科 技術基本計, 平成28年1月22日
  20. Yoshiko Shirokizawa, JST's Activities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with Europe, Americas, Asia and Africa, 한국연구재단 출범 10주년 기념 국제 심포지엄: 사회적 가치 향상을 위한 R&D 시스템 혁신, 2019.6.25.
  21. 신진. (2016). 미국공공외교의중앙집중성과국민참여. 사회과학연구, 27(4), 437-457.
  22. 한국수출입은행, ODA통계 홈페이지, https://stats.koreaexim.go.kr/odastats.html (검색일 : 2020.6.30.)
  23. 한국연구재단홈페이지 https://www.nrf.re.kr/ (검색일 : 2020. 6.30.)
  24. 김태환, "21세기신공공외교와포럼외교" 「JPI 정책포럼」 , No. 2011-03, 제주평화연구원, 2011
  25. 이도영, "한국적정기술정책의과거, 현재, 그리고미래: 다양한 가치로 새롭게 채색된 21세기 적정기술". [한국과학기술정책] 23권 4호 (2013).
  26. 안병일, "적정기술, 지금 어디에 서있는가: 적정기술 조직 진단과 지속가능성 모색", [모심과살림 생명협동 연구지원공모사업 결과보고서] (2015).
  27. 국제에너지기구, Energy Technology Perspectives 2017, https://www.iea.org/etp2017/, 2017.6.6.
  28. United Nations, 1992,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p14, https://unfccc.int/files/essential_background/background_publications_htmlpdf/application/pdf/conveng.pdf (검색일 : 2020.7.10.)
  29. United Nations, 2015, Paris Agreement, https://unfccc.int/files/essential_background/convention/application/pdf/english_paris_agreement.pdf (검색일 202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