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Maxillectomy is performed to remove the tumor in the palate, maxillary sinus, buccal mucosa or nasal cavity. The resection range depends on the size and the extent of the tumor and it affects speech production or cause nasal regurgitation during feeding. Obturator can occlude an opening such as an oro-nasal fistula and protect the defect area. Successful reconstrucion of the patient's oral cavity who have gone over the maxillectomy is a difficult task. The condition and number of teeth, the remaining support area, and the extent of the defect area have a great influence on manufacturing the obturator. If these factors are disadvantageous, the prognosis of the prosthesis is uncertain. The final obturator must have a sufficient retention in the patient's oral cavity and must not irritate the surrounding tissue and support area where the resection was performed.In this case, a 55 year old female went through the maxillectomy and the only 3 teeth remained. And the retention of the maxillary prosthesis seems to be poor. So that, we fabricated the closed hollow obturator which has reduced weight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bturator. Consequently the closed hollow obturator can give better sealing and the adaptation.
경구개, 상악동, 또는 협측 점막이나 비강에 존재하는 종양이 생긴 경우 이를 제거하기 위해 상악 절제술을 행한다. 종양의 크기나 범위에 따라서 그 절제 부위는 달라지며, 이로 인해 해부학적 경계가 없어지기도 하며 발음 장애나 연하 장애가 발생한다. 이렇게 해부학적 구조가 결손되거나 개방된 경우, 이 때 발생한 공간을 닫고 결손된 부위를 보호하기 위해 폐색장치(Obturator)를 착용한다. 폐색장치를 성공적으로 재건하는 것은 굉장히 까다로운 작업이다. 폐색장치를 제작함에 있어 치아의 상태와 수, 남아있는 지지 영역 그리고 결손 부위의 범위나 정도 등이 큰 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요소들이 불리하다면 보철물 제작 시 그 예후는 불확실하다. 완성된 폐색장치는 환자의 구강 내에서 충분한 유지력을 지녀야 하며, 동시에 절제술을 시행한 주변 조직과 지지 영역에 자극을 주어선 안된다. 본 증례는 55세 여환으로 광범위한 상악 절제술을 시행하여 소수의 잔존치아만이 남았고, 상악 보철물 제작 시 유지력이 불리할 것으로 보였다. 이에 무게를 감소시킨 hollow한 폐쇄형 폐색장치(Closed hollow obturator)를 제작하였고, 결과적으로 보다 나은 밀폐 효과와 적응도를 보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