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Online Information Retrieval and Changes in the Restaurant Location: The Case Study of Seoul

온라인 정보검색과 음식점 입지에 나타나는 변화: 서울시를 사례로

  • Lee, Keumsook (Department of Geography, Sungshin Women's University) ;
  • Park, Sohyun (Humanities Institute, Sungshin Women's University) ;
  • Shin, Hyeyoung (Department of Geography, Sungshin Women's University)
  • 이금숙 (성신여자대학교 지리학과) ;
  • 박소현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 신혜영 (성신여자대학교 지리학과)
  • Received : 2020.03.23
  • Published : 2020.03.31

Abstract

This study identifies the impact of social network service (SNS)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retail stores locations in the hyper-connected society, which have been closely related to the everyday lives of urban residents. In particular, we focus on the changes i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restaurants since the information retrieval process was added to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a consumer's restaurant selection. Empirically, we analyze restaurants in Seoul, Korea since the smart-phone was introduced. By applying the kernel density estimation and Moran's I index, we examine the changes in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restaurants during the last ten years for running, newly-open and closed restaurants as well as SNS popular ones. Finally, we develop a spatial regression model to identify geographic features affecting their locations. As the results, we identified geographical variables and online factors that influence the location of restaur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provide important groundwork for food and beverage location planning and policy formulation.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온라인 정보검색과 사회연결망을 통한 정보 교류가 빈번해지면서 오프라인 공간에서 교통망으로 주어지는 물리적 접근성을 근간으로 구축된 기존의 입지이론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상업 입지의 양상이 전개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민의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된 생활밀접형 업종 중 음식점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출시 이후 지난 10여 년 동안 서울시 소재 음식점 입지의 분포 변화와 입지 영향 요인을 실증 분석한다. 특히 SNS상에서 맛집 검색 등 온라인 검색 활동과 음식점 입지와의 관계도 파악한다. 이를 위하여 개업, 폐업, 영업 중인 음식점 입지의 커널밀도 및 모란지수를 측정하여 음식점 분포의 군집성과 군집 양상의 변화 추이를 살펴보고, 최적의 공간회귀모형을 추정하여 음식점 입지에 영향을 미치는 온·오프라인 속성을 파악한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소비자의 장소 선택 의사 결정 과정에 있어 장소에 대한 정보검색 과정이 더해지는 초연결사회에서 음식점 입지를 계획하고 관련 정책을 수립하는 데 있어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준.김기중.안영수, 2018, "장기생존 상업 입지의 공간적 특성연구: 서울시 강남구 일대 일반음식점을 대상으로," 국토계획 53(2), pp.161-181.
  2. 김동준.이창효.이승일, 2019, "서울시 발달상권과 골목상권의 일반음식점 생존 특성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54(5), pp.76-90.
  3. 김윤화, 2019,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추이 및 이용 행태 분석,"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STAT Report 19(10), pp.1-9.
  4. 김주일, 2018, "SNS등 모바일 인터넷 매체의 활성화가 이용자의 장소선택과 요식업체 입지분포에 미치는 영향: 경주, 포항 요식업체의 최근 입지패턴 특성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9(4), pp.125-138.
  5. 김준호.김형중, 2019, "신용카드 빅데이터를 활용한 개인사업자 창업과 폐업 분석,"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20(10), pp.2035-2044.
  6. 김현철.이승일, 2019, "서울시 골목상권 매출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도시연구 20(1), pp. 117-134.
  7. 노정희.전수현, 2014, "왜 외식소비자들은 페이스북에 후기를 작성하는가?: 후기작성 동기와 그 동기가 기억재 구성으로 인해 끼친 인식변화에 대한 고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8), pp.416-430. https://doi.org/10.5392/JKCA.2014.14.08.416
  8. 노화봉.정남기, 2016, "한국과 독일 그리고 일본의 폐업 자영업자 정책 비교 분석," 질서경제저널 19(1), pp.69-84.
  9. 상가정보연구소, 2020, 부동산 시장 동향.
  10. 서울열린데이터광장, (http://data.seoul.go.kr/).
  11. 유경훈.이승일, 2017, "지리가중회귀모형을 이용한 서울시 음식점업 집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9(2), pp.189-209.
  12. 윤혜정.최지연.이중정, 2015, "부정적 후기가 음식점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 맛집 추천 앱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1), pp.418-426. https://doi.org/10.5392/JKCA.2015.15.01.418
  13. 이강배, 2019, "온라인 거래의 증가가 지역 소매 상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은행 25(2), pp.54-95.
  14. 이금숙, 2004,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출판업의 입지 및 물류체계에 나타나는 변화," 로지스틱스연구 12(2), pp.111-133.
  15. 이금숙, 2020, 식품구매행태조사(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한 온라인조사, 2020.01.30.-02.04.), 성신여자대학교 경제지리연구실.
  16. 이금숙.서위연.채지민, 2012, "지역에 대한 인터넷 블로그 정보와 지역 경제경관의 변화: 서울 북촌을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5(2), pp.206-227.
  17. 이금숙.박소현, 2019, "업종별 창업 및 폐업의 지리적 특성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2(2), pp.178-195. https://doi.org/10.23841/egsk.2019.22.2.178
  18. 이일섭.김경규.이애리, 2018, "SNS 사용자에 의해 형성된 트렌드 중심지 도출을 위한 빅 데이터 분석 방법론 연구: 인스타그램 데이터 활용 공간분석을 중심으로," Information Systems Review 20(2), pp.63-85. https://doi.org/10.14329/isr.2018.20.2.063
  19. 이정란.도난영, 2019, "브랜드가 점포의 생존 및 폐업에 미 치는 영향: 서울 주요상권 내 음식점을 중심으로," 부동산학연구 25(1), pp.49-62.
  20. 이해영, 2012, "맛집 리뷰 정보의 특징에 따른 온라인 이용자 반응 분석," 한국외식산업학회지 8(2), pp.7-23.
  21. 정기현.권지훈, 2018, "도시 공간구조와 음식점의 공간적 분포 간 관련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논문집 20(2), pp.69-76.
  22. 조윤설.조택연, 2019, "시대변화에 따른 세대별 공간 가치추구 변화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14(3), pp.39-58.
  23.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 (https://mdis.kostat.go.kr/index.do).
  24. 한국인터넷진흥원, 2018, 인터넷이용실태조사.
  25.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청년사회.경제실태조사.
  26. 한상후.최재필, 2016, "SNS를 통한 상업가로의 경험 인지 방법론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36(1), pp.55-56.
  27. Anselin, L., 2005, Exploring Spatial Data with GeoDa a Workbook, Spatial Analysis Laboratory, Department of Geography, University of Illinois-Urbana-Champaign. Urbana, IL 61081, Available at http://www.geoda.uiuc.edu/pdf/geodawork-book.pdf.
  28. Choudary, S. P., Parker, G. G. and Van Alstyne, M. W., 2016, Platform Revolution: How Networked Markets Are Transforming the Economy-And How to Make Them Work for You, New York: W. W. Norton & Company.
  29. Crewe, L., 2000, "Geographies of retailing and consumption," Progress in Human Geography 24(2), pp.275-290. https://doi.org/10.1191/030913200670386318
  30. Evans, D. S. and Schmalensee, R., 2016, Matchmakers: The New Economics of Multisided Platforms, Boston: Harvard Business Review Press.
  31. Hotelling, H., 1929. "Stability in competition," Economic Journal 39, pp.41-57. https://doi.org/10.2307/2224214
  32. Hubers, C., Schwanen, T. and Dijst, M., 2008, "ICT and temporal analytical framework and initial empirical findings," Tijdschrift voor Economische en Sociale Geografie 99(5), pp. 528-546. https://doi.org/10.1111/j.1467-9663.2008.00490.x
  33. Kimes, S. E., 2011, "The current state of online food ordering in the US restaurants industry," Cornell Hospitality Report 11(17), pp.6-18.
  34. Kosova, R. and Lafontaine, F., 2010, "Survival and growth in retail and service industries: evidence from franchised chains," The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58(3), pp.542-578. https://doi.org/10.1111/j.1467-6451.2010.00431.x
  35. LOCALDATA, (http://localdata.kr/main.do).
  36. Losch, A., 1954, The Economics of Location,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first German edition, 1940).
  37. Moran. P., 1948, "The interpretation of statistical map,"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10(2), pp.243-251. https://doi.org/10.1111/j.2517-6161.1948.tb00012.x
  38. Silverman, B. W., 1986, Density Estimation for Statistics and Data Analysis, New York: Chapman and Hall. p.175.

Cited by

  1. 커피전문점 생존 및 폐업 분포의 군집 유형별 생멸 특성 vol.23, pp.4, 2020, https://doi.org/10.23841/egsk.2020.23.4.408
  2. 광주광역시 음식점 개폐업과 교통접근성의 상관관계 분석 vol.23, pp.4, 2020, https://doi.org/10.23841/egsk.2020.23.4.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