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irst region of ginseng cultivation in the Joseon dynasty

조선 최초의 가삼 재배지에 대하여

  • Koh, Seungtae (Dept. of Bio-Chemical Eng., Dongyang University)
  • 고승태 (동양대학교 생명화학공학과)
  • Received : 2019.12.22
  • Accepted : 2020.01.20
  • Published : 2020.03.02

Abstract

Ginseng, also known as Insam, has solidified its status as one of the supreme drugs classified as life time expansion drug since ancient times and was used as a panacea based on its pharmaceutical effectiveness. The demand for ginseng rapidly increased as the demand for ginseng, which targeted only noble class people, expanded to other social class people. Accordingly, the wild ginseng supply reached its limit due to the extinction caused by indiscriminate harvesting and the difficulty of harvesting, and thus the ginseng supply method shifted to the cultivation of high-priced ginseng rather than complicated wild ginseng foraging. Although the timing of ginseng cultivation (also called gasam) in Korea has been studied, the research on the first cultivation area has not been reported yet. In this study, we critically reviewed Korea's first ginseng cultivation site by arranging data related to ginseng cultivation, and the historical data cited here include Joseon Wangjo Sillog (The Annals of Joseon Dynasty), Imwon Gyeongjeji (The Mid-19 Century Encyclopedia Koreana on Rural Living, Edible plants and Herb Volumes), Oju Yeonmun Jangjeon Sango (An Encyclopedic Writing during the Latter Half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Junggyeongji (The Junggyeong Town Chronicle), Jeungbo Munheon Bigo (The largest encyclopedia of Joseon Dynasty), Insamsa (The Ginseng History) and etc. As a result of data assortment and critical review, the first ginseng plantation in the Joseon Dynasty resulted in the Yeongnam region, and in Yeongnam region, I have no choice but to conclude that it is Punggi-myeon (currently Punggi-eup, Yeongju-si, Gyeongbuk).

인삼은 예로부터 연명(延命)의 약물로 분류된 상약(上藥)의 하나로 자리를 잡고 지닌 약성에 따라 만병통치약으로 사용되었으며, 특수계급만을 대상으로 하였던 인삼 수요가 다른 계층으로 확대되면서 그 수요가 급증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무분별한 채취로 멸절(滅絶)되어 채취하기가 어렵게 되어 자연산 인삼으로는 공급의 한계에 이르게 되자, 인삼 공급 방법은 힘든 자연산 인삼의 채취보다는 가성비 높은 가삼 재배 쪽으로 이동하게 되었다. 인삼종주국인 우리나라의 가삼 재배 시기에 관해서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첫 재배지에 관한 연구는 아직 보고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삼 재배 관련 자료의 정리를 통하여 우리나라 최초의 가삼 재배지에 관한 정리와 고찰을 하였으며, 여기에 인용된 사료는 조선왕조실록, 임원십육지, 오주연문장전산고, 중경지, 증보문헌비고, 인삼사 등이다. 정리와 고찰의 결과, 조선 시대 최초의 가삼 재배지는 영남지역으로 특히, 풍기면(현재의 경북 영주시 풍기읍)으로 추측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이흥로, 人蔘頌, (출처미상).
  2. 김이재, 中京誌, (1824).
  3. 김택영 등, 增補文獻備考, (1903-1908).
  4. 이규경, 五洲衍文長箋散槁, (19세기).
  5. 朝鮮王朝實錄, 국사편찬위원회, http://sillok.history.go.kr/main/main.do (검색일: 2019년 12월 31일).
  6. 고승태, 인삼사 제2권 인삼정치편, (고문당, 2015).
  7. 고승태, 인삼사 제4권 인삼재배편, (고문당, 2010).
  8. 고승태, 인삼사 제5권 인삼의약편, (고문당, 2015).
  9. 서유구 저, 노평규, 김영 역주, 林園經濟志-灌畦志, 2, (소와당, 2010).
  10. T. Imamura, 人蔘史, vol. 2, (朝鮮總督府專賣局編, 1935).
  11. T. Imamura, 人蔘史, vol. 4, (朝鮮總督府專賣局編, 1936).
  12. T. Imamura, 人蔘史, vol. 5, (朝鮮總督府專賣局編, 1937).
  13. 고승태, 동양에 있어서의 인삼재배 역사, 인삼문화 1, (고려인삼학회, 2019), pp. 57-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