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Basic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ext-Maining Method for Qualitative Evaluation through Barrier Free Certification in School Facilities

학교시설의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arrier Free) 인증 사례를 통한 정성평가 텍스트마이닝 기법 적용에 관한 기초연구

  • 윤평세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건축학과) ;
  • 이종국 (계명대학교 건축토목공학부 건축학전공)
  • Received : 2020.02.28
  • Accepted : 2020.03.30
  • Published : 2020.03.31

Abstract

Since the introduction and operation of BF certification, a total of 6,432 certificates has been issued until February 2020, of which educational research facilities make 1,091 cases (754 preliminary certification, 337 main certification) out of 6,237 buildings, acquiring BF certification of about 20%. Qualitative evaluation is conducted with focus on the three items of BF-certified building evaluation index, which are medium facilities, internal facilities, and sanitary facilities, and major keywords are the deducted through the Text Mining analysis of the derived results. As a result, problems with access paths occurred in the case of the facilities, and assessment indicators for users were found to be necessary among the assessment of the steps of the internal facilities. Finally, we could see that sanitation facilities needed to improve toilets installed in residential development facilities.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the study seeks to suggest directions for improving the evaluation index required for BF-certified school facilities.

BF인증을 도입하여 운영한 이래 2020년 2월까지 총 6,432건의 인증서 발급이 있었고, 그 중 교육연구시설은 건축물 6,237건 중 1,091건(예비인증 754건, 본인증 337건)으로 약 20%의 BF인증을 취득하였다. BF인증 건축물 평가지표 3개 항목 매개시설, 내부시설, 위생시설 중점적으로 정성평가를 실시하고, 그 도출 결과를 Text Mining 분석 통해 주요 키워드를 도출한다. 도출된 결과 매개시설의 경우 접근로에 대한 문제점이 발생되었으며, 내부시설의 계단에 대한 평가사항 중 사용자에 대한 평가지표 마련이 필요하다는 결과를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위생시설의 경우 주민 개발시설에 설치되는 화장실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시설 BF인증에 필요한 평가지표가 별로도 마련되어야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병근(2010), BF인증제도 도입에 따른 추진 및 정책방향, 2010년 BF인증제도 세미나, 보건복지부, 국토교통부
  2. 박신원(2009),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Barrier Free)의 개요와 인증현황, 토지와 기술 제3호
  3. 서현자(2009), 무장애 실현을 위한 학교시설 개선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대학원
  4. 이규일(2012),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 평가지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5. 이삼이(2015), 장애물 없는 학교시설환경 구성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6. 김대명(2018),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arrier Free) 인증현황과 개선과제, 국회입법조사처 현안분석 2호,
  7. 한국장애인개발원(2020), BF인증 실적 현황 데이터
  8. 경기도교육청(2019), 유니버설디자인 연구용역, 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9. Hotho, A., Nurnberger, A. and PaaB, G. (2005). "A brief survey of text mining". In Ldv Forum, Vol. 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