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명승 제15호 '남해 다랑이논' 석축의 훼손 실태

A Study on the Damage Status of the Stone Retaining Wall in 'Namhae Dharanginon', Scenic Sites No.15

  • 홍윤순 (한경대학교 조경학과) ;
  • 김오연 (한경대학교 조경학과 대학원)
  • Hong, Yoon-Soo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Hankyung University) ;
  • Kim, Oh-Yeo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Hankyung University)
  • 투고 : 2020.10.13
  • 심사 : 2020.11.10
  • 발행 : 2020.12.31

초록

경상남도 남해군의 가천마을 다랑이논은 한국의 산업기반형 역사문화 명승 중 가장 먼저 지정된 환경이며 지금까지도 농업활동을 수반하는 유일한 대상이다. 이곳의 기반환경인 석축은 그 특성상 자연적, 인위적 변형이 될 수밖에 없는 한계를 보유하나 이제까지 그 상황을 고찰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2020년 5월 말을 기준으로 명승 지정범위의 약 30%에 달하는 조사가능 하부영역의 훼손 실태를 정량적, 정성적 측면에서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조사 대상환경 내 다랑이논 석축의 물리적 훼손을 드러내는 유실상태는 해안가 주변과 경사가 높은 북쪽 지역, 관광안내소와 주차장 인근 등에서 특히 심각하였다. 반면 석축 훼손의 정성적 측면은 마을 및 주차장 등과 인접한 석축에서 이질적 재료로 보수한 양상이 눈에 띄게 나타났으며, 거주지와 멀리 격리된 환경에서 식물의 피복으로 인한 경관 훼손 양상이 크게 발견되었다. 아울러 경사, 표고, 토양 등 자연환경요소들은 석축의 물리적 훼손 정도와 밀접한 관계성을 보여주는바, 경사가 급할수록, 표고가 높을수록, 토양 배수가 양호할수록 그 영향은 큰 특징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경작 활동, 관리 주체 등의 인문환경요소가 석축의 물리적 훼손 및 명승 관리에 중요한 인자를 이룬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향후 다랑이논과 석축의 보존을 위해서는 농업용수의 확보 및 토양개량 등 농업환경 개선과 함께 지역 거주민과 함께하는 관리방안의 모색이 필수적이라고 판단된다.

Darangnon in Gachon Village, Namhae-gun, Gyeongsangnam-do, is the first designated environment among Korea's industrial-based historical and cultural sites and is still the only one that involves agricultural activities. Although the stonework, which is the infrastructure environment here, has limitations that inevitably lead to natural and artificial deformation due to its nature, there has been no research to consider the situation so far. As of the end of May 2020,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damage in the sub-area of the survey, which is approximately 30% of the scope of the designation of the scenic spot, from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perspectiv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tate of loss, which reveals the physical damage of the arctic rice paddy stone retaining wall in the environment under investigation, was particularly serious around the coast, in the northern area with high slopes, and near tourist information centers and parking lots. On the other hand, the qualitative aspect of the damage to the stonework was noticeable in the repair of heterogeneous materials on the stone retaining wall adjacent to the village and parking lot, and the landscape damage caused by the cladding of plants was found in an environment far away from the residence. In addition, natur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slopes, elevations, and soil showed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degree of physical damage of the stone retaining wall, the higher the slope, the higher the elevation, and the better the soil drainage, the greater the impa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humanities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cultivation activities and management entities have important factors in the physical damage and management of stone retaining wall. Therefore, it is deemed essential to find management measures with local residents along with improving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such as securing agricultural water and soil improvement, for the preservation of tuna paddies and stone retaining wall in the future.

키워드

참고문헌

  1. 문화재청(2017). 명승유형별 보존관리방안 연구
  2. 문화재청(2005). 2005년 국가지정 문화재 지정보고서 천연기념물.명승
  3. 이숙향, 김영표(2011). 농산촌지역의 문화적 경관으로서의 계단식 논보전에 관한 한일 비교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5(2): 1-13. https://doi.org/10.34272/FOREST.2011.15.2.001
  4. 기근도(2017). 남해도의 지역지리, 한국지리학회지, 6(3): 425-439.
  5. 양승현(2019). 참여적 거버넌스를 통한 문화경관 관리 방안 -남해 가천마을 다랑이논을 중심으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정남식(2019). 남해 다랭이 논의 협력적 관리원칙 연구 : 오스트롬의 공유재 관리원칙을 중심으로, 한국협동조합학회지, 37(2): 53-74.
  7. 최용복, 정문섭(2006). GIS를 활용한 농촌경관 분석 사례 연구-제주도 돌담경관을 중심으로, 한국GIS학회지. 14(3): 349-361.
  8. 국립문화재연구소(2017). 문화재 훼손 유형에 따른 보존관리 방안 연구.
  9. 문화재청(2014). 문화재 훼손 유형에 따른 보존관리 방안 연구
  10. 윤경숙(2011). 명승자원으로서 다랑이 논의 보전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문화재청(2017). 지역주민과 상생하는 명승보존 및 활성화 방안 연구용역.
  12. 문화재청(2015). 국가지정문화재 정기조사 제도개선 방안 연구용역 최종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