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ison Study of Traditional Landscape through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한(韓)·중(中) 문화교류를 통한 전통조경의 비교 연구

  • Peng, Hong-Xu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Qishan Campus, Fuzhou University) ;
  • Zhang, Ji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Qishan Campus, Fuzhou University) ;
  • Jiang, Qian-Du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Qishan Campus, Fuzhou University) ;
  • Rho, Jae-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Woosuk University)
  • 펑홍쉬 (복주대학교 기산캠퍼스 조경학과) ;
  • 장징 (복주대학교 기산캠퍼스 조경학과) ;
  • 장치엔두어 (복주대학교 기산캠퍼스 조경학과) ;
  •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학과)
  • Received : 2020.04.24
  • Accepted : 2020.11.06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Traditional landscape is a cultural asset left by Seonhyeon to modern society, and it can not only understand the landscape culture of ancient tradition but also provides / provided a new creative material for modern landscape designs / designed. However, it is well known that Korea and China have a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ment and exchange of landscaping in a global background, the succession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culture in a global background covers many dimensions, including protection, development and innovation, and that "traditional and modern" and "regionally and internationality" should be harmonized with each other. This study uses traditional Korean and Chinese landscaping buildings as research subjects to extract and organize related data through various channels, including basic literature research that understands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two countries. I interpreted the cultural backgrounds of the two countries by dividing them into religious ideas, traditional culture, and natural views, and highlighted the history of developm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Based on this, it analyzed the differences created by traditional landscaping between Korea and China, and also specifically analyzed the "creation of righteous army" and "the law of righteous army." In particular, this study sought to inherit and innovate traditional landscape culture for the internationalization of "One Belt, One Roa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 and China's landscape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nstruction elements and methods of Yihwawon of the Ming and Qing periods and Gyeongbokgung Palace of the Joseon Dynasty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landscaping and the significance of landscaping. Th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and exchange with landscaping between the two countries was presented in line with the development trend of Korea-China landscaping in the global environment. In the future, the development of landscaping between the two countries is expected to be key to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traditional culture, creative combination of local characteristics, creation of a harmonious landscape architecture environment, and co-prosperity of various cultures.

전통조경은 선현(先賢)들이 현대사회에게 남긴 문화적 자산으로, 고대의 전통문화를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대의 조경설계에도 새롭고 창의적인 소재를 제공할 수 있다. 한·중 양국은 고대부터 문화교류를 통해 전통 조경문화의 계승과 보호 및 발전을 이루었을 뿐만 아니라 '전통과 현대' 및 '지역성과 국제성'이 서로 어우러져 발전하여 왔음은 익히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한·중 전통조경의 비교 연구를 목적으로 우선 양국 전통조경문화를 선행연구 문헌을 통해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양국의 문화적 배경을 종교사상, 전통문화, 자연관으로 나눠 해석하고 양국의 조경 역사와 원류관계를 조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중 조경 사조(思潮)의 비교 및 전통조경의 발전과정, 한·중 조경의 예술적 공간과 경지(境地) 등 세 방향에서 분석 고찰하였으며, 양국의 전통조경의 조성 방식에 있어 차이점을 분석하고, '의경조성' 및 '의경수법'을 구명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전통조경의 이론적 배경 및 조경의 경의성(景意性)에 대해 전통조경의 배치 및 주변 환경과 형식 그리고 전통조경의 색채 등을 명·청시대의 '이화원(頤和園)'과 조선 시대의 '경복궁(景福宮)'을 사례대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한·중 조경의 특징을 토대로 국제화를 위한 전통적인 조경문화의 계승과 혁신방안을 모색하였다. 한·중 조경사의 발전 추세에 따른 양국 간 문화교류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앞으로 양국 조경의 발전은 전통문화에 대한 국제 간 협력 및 지역 특색의 창조적 결합, 화이부동(和而不同)한 전통조경 환경의 조성, 다양한 문화의 다층적 상생이 양국의 우호증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张家骥(2012). 中国造园论[M]. 山西 : 山西人民出版社.
  2. 김선희, 장태현(2007). 한(韓),중(中) 전통주거(傳統住居)에서의 담장특성 비교 -한국 호남지방과 중국 강남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1): 24-37.
  3. 김용기, 정기호(2000). 한국정원학회지 게재논문(1982-1999)의 경향 분석과 전통조경의 향후 연구방향의 모색.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8(4): 1-9.
  4. 任光淳, 金太京(2012). 传统文化思想在中韩古典园林中的体现[J]. 廣东园林. 34(05): 21-23.
  5. 偉雨涓(2015). 中国古典园林文献研究 [D]. 山东大学.
  6. 孟兆祯.(2008). 中日韩园林的相似性与独特性..(eds.)风景园林人居环境小康社会- -中国风景园林学会第四次全国会员代表大会论文选集 (下册)(pp.158-160).
  7. 龚小峰(2000). 历史与现实:儒家文化对韩国的影响 [J]. 东南大学学 报(哲学社会科学版). 2(10): 119-124.
  8. 曹林娣(2009). 中国园林艺术概论[M]. 北京 : 中国建筑工业出版社.
  9. 李华东(2011). 朝鲜半岛古代建筑文化[M]. 南京 : 东南大学出版社:165, 72, 168.
  10. 마용우, 백난영, 이재근(2006). 조경(造景) 포장(鋪裝)의 전통문양 도입에 관한 기초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4(1): 43-53.
  11. 金顺敬(2011). 儒家思想对韩国文化的影响 [D]. 山东大学.
  12. 郑凌予(2012). 中国佛教宗派对韩国佛教寺庙空间演变的影响[D]. 西南大学.
  13. 张馨文, 崔向日(2016). 中韩造园思想与美意识比较 [J]. 大众文艺 : 学术版. 7(-): 154-155.
  14. 唐莉英(2011). 诗情画意的中国古典园林与现代景观的意境营造[J]. 安徽农业科学. 36(-): 330-331. 483.
  15. 林采佑, 柳雪峰(1997). 韩国道教的历史和问题一一有关韩国仙道与中国道教问题的探讨 [J]. 世界宗教研究. 18(2): 147-152.
  16. 최기수(2005). 차경의 관점으로 본 한국의 전통조경.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1): 158-165.
  17. 이상열(1996). 中國皇家園林에 관한 硏究. 한양대학교 환경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赵熙春(2003). 明代园林研宄 [D]. 天津大学.
  19. 杜成辉(2006). 韩国儒教的历史和现状[J]. 大理学院学报 : 综合版. 5(11): 22-25. https://doi.org/10.3969/j.issn.1672-2345.2006.11.007
  20. 이재근, 송병룡, 이행렬(1999). 한국 전통창호에서 살(箭)의 형태 및 사례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7(1): 1-15.
  21. 우종평(2013). 북경 문화유산관광지 서비스품질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윤상준, 안승홍, 윤성융, 염성진, 박희성, 이원호(2015). 한, 중, 일 궁궐정원의 경관 구성 비교 연구 -창덕궁(昌德宮), 이화원(颐和園), 선동어소(仙洞御所)를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3(4): 52-64. https://doi.org/10.14700/KITLA.2015.33.4.052
  23. 이아기(2018). 중국 원림 활용 문화콘텐츠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리우쥔(2012). 한국과 중국 궁원의 수경 특성 비교.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펑홍쉬, 강태호(2018). 경주 옥산구곡(玉山九曲)의 위치비정과 경관해석 연구 - 이정엄의 옥산구곡가 를 중심으로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6(3): 26-36. https://doi.org/10.14700/KITLA.2018.36.3.026
  26. 반상, 강태호(2013). 고도(古都)보존 및 육성을 위한 고도지구 가치 평가 - 경주시 고도시범사업지구를 대상으로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41(4) : 1-9.
  27. 최영현(2020). 韓國 九曲園林의 分布와 設曲 特性에 關한 硏究., 우석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팽홍서(2019). 한.중 구곡(九曲) 원림(園林)의 비교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